얀 츠치콜드
Jan Tschichold얀 츠치콜드(Jane Chichold, Iwan Tschichold 또는 Ivan Chichold; 1902년 4월 2일 ~ 1974년 8월 11일)는 독일의 서예가, 타이프라이터, 서적 디자이너였다. 그는 20세기 그래픽 디자인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첫째, 타이포그래픽 모더니즘의 원리를 개발하고 촉진하고, 그 뒤에 보수적인 타이포그래픽 구조를 이상화함으로써. 그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0년 동안 펭귄북스의 시각적 정체성에 대한 방향은 기업 정체성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새로운 디자인 관행의 모델이 되었다. 그는 또한 서체 사본도 디자인했다.[1]
인생
츠치콜드는 지방 수화작가의 아들로 서예 교육을 받았다. 1919년 헤르만 델리츠슈의 수업에서 "라이프치히 예술 아카데미"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의 놀라운 업적 때문에, 그는 곧 Gebr의 폰트 디자이너인 Walter Tiemann의 교장의 마스터 제자가 되었다.-클링스포 주조 공장, 동료 학생들에게 위탁받아 운영. 동시에 「라이프지거 메세」의 틀에서 최초의 주문을 받아 1923년에는 인쇄소의 타이포그래픽 컨설턴트로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했다.
이러한 장인적 배경과 서예 훈련은 불가피하게 건축이나 미술에 대한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그를 당시의 거의 모든 저명한 서예가들과 차별화시켰다. 그것은 또한 왜 그가 많은 타이프라이터들이 그랬던 것처럼 수제 페이퍼와 맞춤 글꼴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신 상업용 페이퍼 주식의 신중한 선택에 스톡 글꼴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지금까지 그는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타이포그래피로만 작업해 왔지만 바이마르에서 열리는 바우하우스 전시회를 처음 방문한 후 접근법을 획기적으로 바꿨다.[2] 라슬로 모홀리-나기, 엘 리시츠키, 커트 슈비터스 등 종래의 타이포그래피라는 경직된 계략을 깨기 위해 급진적인 실험을 하고 있는 중요한 예술가들을 소개받은 뒤. 그는 새로운 표현 방법을 찾고 훨씬 더 실험적인 작업 방식에 도달하려는 이러한 시도에 공감하게 되었지만, 동시에 단순하고 실용적인 접근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
그는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가장 중요한 대표자 중 한 사람이 되었고, 1925년 '초등 타이포그래피'라는 제목으로 '전형 커뮤니케이션' 특별호에서 새로운 접근법을 논문 형태로 엮었다.
독일에서 히틀러가 당선된 후 모든 디자이너들은 문화부에 등록해야 했고, 모든 교직은 공산주의에 동조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협박을 받았다. 곧, Chichold가 Paul Renner의 명령으로 뮌헨에서 교직에 오른 후, 그들은 둘 다 "문화적인 볼셰비스트"라고 비난 받았다. 1933년 3월 나치가 집권한 지 열흘 만에 츠치콜드 부부는 체포되었다. 체포 과정에서 그의 집에서 소련 포스터가 발견되어 공산주의자들과의 협력 혐의를 받게 되었다. 츠치콜드의 모든 책들은 "독일 국민의 보호를 위해" 게슈타포에 의해 압수되었다.[citation needed] 6주 후 경찰관이 어떻게든 스위스행 티켓을 발견했고, 그와 그의 가족은 1933년 8월 나치 독일을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1937년(펜로즈 연례회의 초청으로), 1947~1949년(Penguin Books의 디자인에 함께 작업한 영국의 타이포그래퍼 루아리 맥린의 초청으로) 영국에 더 오래 머무른 것을 제외하고, 츠치콜드는 평생 스위스에서 살았다. 그는 1974년 로카르노의 병원에서 사망했다.[3]
디자인

츠치콜드는 1923년 제1회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전시회를 관람한 후 모더니즘적 디자인 원리로 개종했다. 그는 모더니즘 디자인의 선두 주창자가 되었다. 처음에는 위에 언급된 영향력 있는 1925년 잡지 부록으로), 그 다음에는 1927년 개인전, 그리고 나서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Die nee Typographie"로. 이 책은 그가 산세리프(독일에서는 그로테스크라고 부른다)를 제외한 모든 활자를 비난한 현대적 디자인의 선언서였다. 그는 또한 비중심적인 디자인(예: 제목 페이지)을 선호했으며, 다른 많은 모더니스트 디자인 규칙을 체계화했다. 그는 모든 인쇄물에 대해 표준화된 종이 크기의 사용을 주장했고, 정보를 빠르고 쉽게 전달하기 위해 다른 크기와 무게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설명을 했다. 이 책에는 독일의 일반 노동자와 인쇄업자들 사이에서 큰 영향을 끼친 모더니스트 타이포그래피 원리에 대한 실용적인 매뉴얼이 잇따랐다. 그러나, 전쟁 직전에 영국을 방문했음에도 불구하고, 츠치콜드의 4개 정도의 기사만이 1945년까지 영어로 번역되었다.
다이에 타이포그래피는 고전적인 것으로 남아있지만, 츠치콜드는 인쇄 디자인에서 고전주의로 다시 이동하면서 1932년경부터 그의 경직된 신앙을 서서히 포기했다(예: 그의 사스키아 활자체 1932년형, 그리고 몸 형태의 고전 로마 활자체 수용).[5] 그는 후에 Die neue Typographie가 너무 극단적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또한 일반적으로 모더니즘적 디자인이 권위적이고 본질적으로 파시즘적이라고 비난하기까지 했다.
1947년과 1949년 사이에 Chchicold는 영국에 살았고, 그곳에서 Penguin Books가 출판한 500개의 페이퍼백의 재설계를 감독했고, 그들에게 표준화된 타이포그래픽 규칙인 Penguin Composition Rules를 남겼다.[6] 비록 그는 펭귄의 책들(특히 펠리칸 산맥)을 통일된 모습으로 보이게 하고 오늘날 당연하게 여겨지는 타이포그래픽 연습의 많은 부분을 시행했지만, 그는 다양한 표지와 제목 페이지를 가진, 각각의 작품의 본질이 펭귄의 외관을 좌우하도록 허용했다. 값싼 대량 판매용 페이퍼백을 만드는 회사에서 일하면서, 그는 자신의 경력 동안 항상 추구해왔던 값싼 대중문화 형태(예: 영화 포스터)의 작업 라인을 따르고 있었다.[citation needed] 그는 한스 슈몰러에 의해 펭귄에서 계승되었다.
그가 모더니즘 원칙을 포기한 것은 전후 스위스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 스위스 국제 타이포그래픽 스타일의 중심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가 형편없이 디자인된 모델의 부활로 본 현실주의자 또는 네오 그로테스크한 활자체의 사용에 감동받지 않고, 광고에서 활자체에 대한 그의 조사는 의도적으로 그러한 디자인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으며, '최근 짧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19세기로부터의 생존'[7]을 언급하기 위해 절약했다.
활자체

1926년과 1929년 사이에 그는 독일어의 몇 안 되는 다문자와 비음문 철자를 정리하기 위해 "범용 문자"를 고안했다. 예를 들어, 그는 멀티그래프 ch와 sch를 대체할 새로운 캐릭터를 고안했다. eu를 oi로, w를 v로, z를 ts로 체계적으로 바꿔 철자를 바꾸겠다는 의도였다. 긴 모음은 그 아래에 있는 마크롱으로 표시되었는데, 엄라우트는 여전히 위에 있었다. 알파벳은 산세리프(sans-serif)로 대문자 없이 하나의 서체는 산세리프였다.
Tschichold가 설계한 활자체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교통편(1931년)은 "레터지테리즈 암스테르담, 보오르헤인 테테로데"와
- Saskia(1931/1932), for: Schelter & Giesecke, Leipzig.
- 제우스(1931) for: 슈리프트구스 AG, 드레스덴
- Uhertype-Standard-Grotesk(1931) 초기 사진형식 설정 기계용. 본질적으로 변형된 길 산스.[8][9]
- 사본(1966/1967) [1].
Sabon은 Monotype과 Linotype 시스템 모두에서 동일한 번식을 제공하는 서체로 설계되었으며, 유형 주조 공장을 위해 만들어진 행렬도 있었다. 생산된 모든 타입은 교환할 수 있다. 브래드베리 톰슨에 의해 발매된 후 일찍이 워시번 칼리지 바이블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후에 리노타입에 의해 츠치콜드의 원작 사본의 '해석'으로 '사본 넥스트'가 발매되었다.
참고 문헌 목록
- 다이뉴 타이포그래피. Ein Handbuch für zeitgemaeh Schaffende, Verlag des Bildungsverbandes der Deutschen Buchdrucker, 1928년 베를린.
- 영어 번역: 새로운 타이포그래피. 뉴에든.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2006.
- Eine Stunde Druckgestaltung: Grundbegriffe der Neuen Typografie in Bildbeispielen für Setzer, Werbefachleute, Drucksachenverbraucher und Bibliofilen (in German), Stuttgart: Akademischer Verlag Dr. Fritz Wedekind & Co., 1930
- 아이네 스턴드 드루크게스탈퉁. 슈투트가르트: 아카데미셔 베를라크 박사 프리츠 웨데킨드 주식회사, 1930.
- 슈리프트슈라이벤 퓌르 세처 프랑크푸르트 오전: 클림슈 & 코퍼레이션, 1931.
- 타이포그라피슈 엔트우르프슈테니크. 슈투트가르트: Akademischer Verlag Dr Fritz Wedekind & Co., 1932.
- 타이포그라피슈 게스탈퉁. 바젤: Benno Schwabe & Co., 1935.
- 구테 슈리프트폼. 바젤: 레흐르미텔베르라그 데 에르지흥스탈출장소, 1941/42, 1943/44, 1945/46
- 빌든의 게시히테 데르 슈리프트. 바젤: Holbein-Verlag, 1941/1946 (리프린트: 함부르크: 하우스데델, 1951/1961년).
- 영어 번역: 레터링과 글쓰기의 역사. 런던: O.V., 1947.
- 치네시스 게디치파피에르가 마이스터 데르 젠밤부샬레를 토해낸다. 바젤: 홀빈-베를라크, 1947.
- 제만드는 부크드룩 위센 솔테를 토해냈다. 바젤: Birkhauser-Verlag, 1949.
- 샤츠카머 데어 슈라이브쿤스트, 2번가 바젤: Birkhauser Verlag, 1949.
- 임디엔스테 데부치, SGM-뷔체레이, 세인트 갈렌 1951.
- Chinesischer Farbendruck aus dem Lerbuch des Senfkorngartens, Holbein-Verlag, Basel 1941 u. 1951.
- 슈리프트쿤데, 슈라이부붕겐과 스키지렌 퓌르 세처, 홀베인-베를라크, 바젤 1942. – Reprint: Schriftkunde, Schreibübungen und Skizzieren, 확장 edn. 베를린: 베를라크 데 드루카우스 템펠호프, 1951년
- 데르 홀츠슈나이더와 빌드드드루커 후청옌. 바젤: 홀빈-베를라크, 1943/1952.
- 치네시스슈 파르벤드루케 데르 게겐와트 바젤: 홀빈-베를라크, 1944/1953.
- 영어 번역: 오늘의 중국 컬러 프린팅. 런던-뉴욕: O.V. 1953.
- 포르멘완드룽겐 데르 에자이헨. 1953년 프랑크푸르트, 스템펠
- 첫 번째 영어 번역: 앰퍼샌드: 1957년 런던 Wodhuysen, Origin and Development.
- 두 번째 영어 번역: A Brief History of the Amperand, Paris, Zeug, 2017. ISBN 979-10-95902-06-5
- Erfreulice Drucksachen durch gut Typograpie. 에르프렐리체 드루크 라벤스버그: 오토 마이어-베를라크, 1960년 [레프린트] – 아우크스부르크: 마로-베를라크, 1988, ISBN 3-87512-403-0.
- Meisterbuch der Schrift: Ein Lehrbuch mit vorbildlichen Schriften aus Vergangenheit und Gegenwart für Schriftenmaler, Graphiker, Bildhauer, Graveure, Lithographen, Verlagshersteller, Buchdrucker, Architekten und Kunstschulen (in German) (3. unv. Nachdruck der 2 ed.), Ravensburg: Otto Maier-Verlag, 1965, ISBN 3-473-61100-X
- 영문판:
- Die Bildersammung der Zehnbambushalle, Eugen-Lentsch-Verlag, Zürich/Stuttgart 1970.
- Foto-auge [Zusammen mit Franz Roh], Akademischer Verlag Dr. 프리츠 웨데킨드 & 코퍼레이션, 슈투트가르트 1929 [Reprint]. – 아우흐: 에른스트 와스무트, 튀빙겐 1973.
- Ausgewahlte Aufsetze über Fragen der Gestalt des Buches und Der Typeographie, Birkhauser-Verlag, 1987년, ISBN 3-7643-1946-1.
- 데뷰티 반 헤트보크(Die Proparenten des Buches), 암스테르담, 암스트롱, 인터그레이피아, 1955년, 드 뷰이텐칸트, 1991년
- 슈리프텐: 1925–1974 밴드 1/2 1992년 베를린.
- 책의 형식: 좋은 디자인의 도덕성에 관한 에세이. 로버츠, WA: 하틀리와 마크, 1995.
- 얀 츠치콜드, 마르틴 F. 아방가르드의 포스터. Le Coultre, Alston W. Purvis, VK-프로젝트, Laren, The 네덜란드, 2007, ISBN 978-90-5212-003-4
- 얀 츠치콜드 — 인쇄술사 마스터: His Life, Work & Legacy, Cees W. de Jong, Alston W. Purvis, Martin F. 르 쿨트르, 리처드 B. 더블데이, 한스 라이차르트, 런던: 2008년 템스 앤 허드슨, ISBN 978-0-500-51398-9
- 얀 치콜드, 그리고 뉴 타이포그래피, 폴 스티튼, 예일, 2019, ISBN 978-0-300-24395-6
참고 항목
참조
- ^ Haley, Allan; Poulin, Richard; Tselentis, Jason; Seddon, Tony; Leonidas, Gerry; Saltz, Ina; Henderson, Kathryn (2012). Typography, referenced : a comprehensive visual guide to the language, history, and practice of typography. Beverly, MA: Rockport Publishers. p. 105. ISBN 9781610582056. OCLC 785574282.
- ^ McLean, Ruari (1997). Jan Tschichold: A Life in Typography.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7–8. ISBN 9781568980843.
- ^ 얀 츠치콜드—Martijn F에 의해 쓰여진 아방가르드의 포스터들. 르쿨트르와 알스톤 푸르비스 21페이지
- ^ 얀 츠치콜드—Martijn F에 의해 쓰여진 아방가르드의 포스터들. 르쿨트르와 알스톤 푸르비스, 페이지 43, 그림 4. "여러 개의 칼럼이 없는 중세 원고에 이상적인 비율의 틀. 1953년 얀 츠치콜드에 의해 결정되었다. 페이지 비율 2:3. 여백 비율 1:1:2:3, 황금 섹션에 비례하는 텍스트 영역. 텍스트 영역의 하단 바깥쪽 구석도 대각선으로 고정되어 있다."
- ^ "Jan Tschichold : Design Is History". www.designishistory.com. Retrieved 2019-05-30.
- ^ Richard Doubleday. "Jan Tschichold at Penguin Books" (PDF).
- ^ Hollis, Richard (2006). Swiss Graphic Design: The Origins and Growth of an International Styl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 Horn, Frederick A. (1936). "Gutenberg on his Metal: c". Art & Industry. pp. 42–3. Retrieved 12 August 2017.
- ^ Richard Hollis (2006). Swiss Graphic Design: The Origins and Growth of an International Style, 1920-1965. Laurence King Publishing. p. 199. ISBN 978-1-85669-487-2.
원천
- 아인슬리, 제레미 독일의 그래픽 디자인, 1890–1945 (2000년)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22796-4.
- 블랙웰, 루이스 20세기형(2004년). 예일대 프레스) ISBN 0-300-10073-6.
- 귄터 보세 운트 에리히 브링크만 (Hrsg). 얀 츠치콜드: 슈리프텐 1925–1974. (Zwei Bahnde) 밴드 1: 1925–1947, 밴드 2:1948–1974, 브링크만 & 보세, 1992. ISBN 3-922660-37-1.
- 한스 루돌프 보샤르: 막스 빌 콘트라 얀 츠치콜드. 모더네에 있는 데르 타이포그라피스트라이트. 니글리, 주리히 2012 ISBN 978-3-721-20833-7
- 브레허스트, 로버트 타이포그래픽 스타일의 요소 (1992년). 하틀리 & 마크스) ISBN 0-88179-033-8.
- 버크, 크리스토퍼 활발한 문학. 얀 츠치콜드와 새로운 타이포그래피 (2007. 하이픈 프레스) ISBN 978-0-907259-32-9)
- 데종, 씨즈 W, 알스톤 푸르비스, 마르틴 F. 르 쿨트르, 리처드 B. 더블데이와 한스 라이차트 얀 츠치콜드—마스터 타이포그래퍼: His Life, Work & Legacy(2008) 템스 & 허드슨) ISBN 978-0-500-51398-9.
- 더블데이, 리차드 B. 얀 츠치콜드, 디자이너: 펭귄의 해 (2006년) Oak Knoll Press & Lund Humphries) ISBN 978-1-58456-178-1; ISBN 1-58456-178-5.
- 게르트 플라이슈만: Chichold – na und?, Göttingen, Wallstein Verlag, 2013(Ahthetik des Buches; 3) ISBN 978-3-8353-1353-8
- 프리들, 프리드리히, 니콜라스 오트, 버나드 스타인. 타이포그래피: 역사를 통한 유형 디자인 및 기법에 대한 백과사전 조사(1998년). 블랙 도그 & 레벤탈) ISBN 1-57912-023-7.
- Leben und Werk des Tychicold, mit Einleitung von Werner Klemke, der Bibliographie aler Schriften und Fünf growen Aufshtzen von Chicholdie über zweihundert, teilsen Abildungen. Dresden : Verlag der Kunst, 1977.
- 맥밀런, 닐 타입 디자이너의 A-Z(2006년). 예일대 프레스) ISBN 0-300-1151-7.
- 맥클린, 루아리. 얀 츠치콜드: A Life in Typography (1997년) Princeton Architecture Press) ISBN 1-56898-084-1
- Julia Meer: Neue Blick auf die Neue Typographie – Die Rezeption der Avantgarde in Der Fachwelt der 1920er Jahre. 녹취록, 빌레펠드 2015, 인스베어 S. 206–216 und 219 ff. ISBN 978-3-8376-3259-0
- 메그스, 필립 B.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 (1998년). 존 와일리 & Sons) ISBN 0-470-04265-6.
- Idea Magazine No 321: Jan Chichold의 작품. [2]
- Stirton, Paul (2019). Jan Tschichold and the New Typography: graphic design between the World Wars. Bard Graduate Center Gallery. New York City: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24395-6. OCLC 1048946723.
외부 링크
![]() | 위키코트에는 얀 치콜드(Jan Chichold)와 관련된 인용구가 있다. |
- www.tschichold.de(플래시 플러그인 사용 가능).
- 텍스트즘의 얀 츠치콜드에 대한 짧은 전기.
- 얀 츠치콜드: 타이포그래피로 만든 타이탄
- 게티 연구소의 얀과 에디트 츠치콜드 논문 지원 찾기
- Paul Stirton의 Jan Chichold 및 새 타이포그래피 발표(SlidesLiv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