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허쉬필드

Jane Hirshfield
제인 허쉬필드
Hirshfield in 2011
2011년 허쉬필드
태어난 (1953-02-24) 1953년 2월 24일 (68세)
미국 뉴욕시
모교프린스턴 대학교
장르.

제인 허쉬필드(Jane Hirshfield, 1953년[1] 2월 24일 출생)는 미국의 시인, 수필가, 번역가다.

삶과 일

제인 허쉬필드는 뉴욕시의 이스트 20번가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이 학교의 첫 졸업반에서 프린스턴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받아 여성을 신입생으로 포함시켰다.

1979년 허쉬필드는 샌프란시스코 센터에서 소토 젠에서 평원 서품을 받았다.[2]

허쉬필드의 아홉 권의 시집은 수많은 상을 받았다. 그녀의 다섯 번째 책인 Given Sugar, Given Salt내셔널비평가 서클상 최종 수상자였고 여섯 번째 책인 After는 "T.S. Eliot Prize"(영국)에 최종 후보자로 선정되었고 워싱턴 포스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파이낸셜 타임즈(Financial Times)의 '2006년 베스트북'에 선정되었다. 그녀의 여덟 번째 작품인 "The Beauty"는 오랫동안 National Book Award[3] 선정되었고 The San Francisco Chronicle의 '2015년 베스트 도서'로 선정되었다.[4] 그녀는 두 권의 에세이를 썼는데, '나인 게이츠: 시의 마음 속으로'와 '열의 창'이다. 얼마나 위대한 시가 세상을 변화시키는가. 그녀가 고전시대 일본의 양대 여성 시인의 작품을 공동 번역한 <잉크 다크문>은 미국 시인들의 관심을 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과거 시인들의 작품을 모은 4권의 책을 편집했으며, "중요한 장학금의 물결의 일부로서 여성 작가들의 잊혀진 역사를 되찾으려 한다"[5]는 평을 받고 있다. 1985년 구겐하임 펠로우십, 2004년 미국시인협회 유공자 펠로우십[6], 2005년 전국예술인 펠로우십, 2012년 도날드 홀-제인 케년상을 받았다.

2012년 허쉬필드

허쉬필드는 전임 학자는 아니지만 캘리포니아대 버클리대 샌프란시스코대 베닝턴 글쓰기 세미나에서, 그리고 신시내티대 엘리스톤 방문 시인으로 강의했다.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신경과학과 헬맨 방문예술가, 2016년 미국 스탠퍼드대 모어 시학부 초빙교수였다. 브레드 로프와 나파밸리 작가 콘퍼런스를 비롯한 많은 작가 컨퍼런스에서 강의했으며 베닝턴 미술작문 세미나에서 핵심 및 부교수로 활동했다.[7] 허쉬필드는 제럴딘 R을 포함한 미국과 해외의 문학 축제에 자주 등장한다. 닷지 축제, 전국 도서 축제,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국제 도서 축제(영국 런던), 중국 시 축제(중국 시안), 제2회 시인의 국제 모임[크라쿠프, 폴란드] 야드도, 맥도웰 콜로니,[8] 로센버그 재단,[9] 록펠러 재단 벨라지오 센터, 시비텔라 라니에리,[10] 데라시 레지던트 아티스트 프로그램 등 수많은 레지던트 펠로우십을 받았다.[11][12] 그녀또한푸쉬카트 상 앤톨로지 전 객원 편집자, 오리온트리사이클의 자문 편집자였던 알래스카 분기 리뷰플로우샤레스에서 기고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허쉬필드는 미국 시인 아카데미(2012~2017년)의 수상을 지냈다.[7]

2019년에 허쉬필드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13]

데이비드 베이커는 허쉬필드를 "가장 훌륭하고 가장 기억에 남는 동시대의 시인 중 한 명"[14]이라고 묘사했고, 미국의 시인인 수상자인 케이 라이언은 허쉬필드를 "진정한 문학가"[7][15]라고 불렀다. 허쉬필드의 시는 종종 감각적이고 통찰력 있고 명료한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 Hirshfield의 2004 미국 시인 협회 시상식에서, Rosanna Warren은 언급했다.

Hirshfield는 우리의 빨리 나아가는 정신 습관을 멈추게 하는 감각적인 철학적 예술을 정교하게 묘사했다. 그녀의 시는 단순해 보이고, 단순해 보이지 않는다. 그녀의 언어는, 청결함과 투명성에서, 조용히 형이상학적 본성을 수수께끼로 하고 있다. 절에 의한, 이미지에 의한 이미지, 신비롭고 흔한 언어에 있어서, 허쉬필드의 시는 반성과 변화를 위한 공간을 깨끗이 한다. 그들은 윤리적 인식을 유도하고, 미묘한 균형을 확립한다.[7]

폴란드 노벨상 시인 세슬로 밀로스는 "모든 생물의 고통에 대한 깊은 공감... 제인 허쉬필드의 시에서 내가 찬양하는 것은 바로 이것이다. 그녀의 시의 주제는 다른 사람들 사이의 평범한 삶과 지구가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모든 것, 즉 나무, 꽃, 동물, 새들과 지속적인 만남이다.매우 감각적인 디테일에 그녀의 시는 마음가짐의 불교적 미덕을 비춘다."[16]

허쉬필드의 시는 나인 게이츠와 텐 윈도우의 수필에서도 발견되는 아시아와 서양 양쪽의 폭넓은 시적 전통에 대한 그녀의 몰입도를 반영한다. 폴란드, 스칸디나비아, 동유럽 시인들은 일본과 중국의 시와 함께 그녀에게 특히 중요했다. Zbigniew Herbert의 시 "Pebble"은 Hirshfield가 After and Come, Traider에 포함된 "Pebbles"라고 이름붙인 작은 연구 뒤에 모델로 서 있다.[17]

허쉬필드의 작품은 사회 정의와 환경 인식의 주제, 특히 자연 세계와 인간 세계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믿음을 꾸준히 탐구하고 있다. 마크 A. 이튼은 문학 전기 사전에서 "히르쉬필드의 작품은 인간이 지구와 거래하는 전폭적인 범위와 책임을 인정하는 것이지, 단순한 암시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허쉬필드의 아홉 번째 수집품인 레저를 리뷰하고 있는 도나 시먼은 허쉬필드의 "지구 생명력의 끊임없는 뺄셈과 대기에 탄소를 끊임없이 더하고, 바다에 산을 끊임없이 첨가하는 것을 생각할 때 조심스레 무게 있는 톤"을 묘사했다.[18] Hirshfield는 평화, 정의, 환경 문제에서 점점 더 눈에 띄는 대변자가 되었다. 그녀의 일곱 번째 수집품인 Come, Traid, Afaa M에 대한 리뷰에서. 위버는 그녀의 시가 "정치 갈등의 더 큰 풍경과 우리가 서로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개인적 풍경 사이에서 중간지대를 찾는다"[19]고 썼다. Hirshfield의 평화, 정의, 환경 문제 대변인 목소리가 점점 더 가시화되고 있으며, 그녀의 작품은 미국 도서관의 "전쟁이 아니다: '[20]미국의 반전평화 300년'과 다른 많은 사회적 인식의 시집에 등장.[21][22]

시평의 비판적 조사》(2002)의 한 기사는 선(Zen)이 허쉬필드의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그녀의 시는 특정한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라는 평소의 의미에서는 거의 정치적이지는 않지만, 그녀의 모든 작품은 모든 사람들을 둘러싼 정치적 현실과 마음의 동요를 통합한다는 의미에서는 정치적이다. 의심할 여지 없이, 그녀의 시의 이러한 특징과, 시가 무엇인지에 대한 바로 그 개념인 "존재의 확대"에 대한 근원은 그녀의 강력한 선불교 훈련에서 비롯된다. 그녀가 연민을 강조하는 것, 주체와 사물의 존재의 존재하는 통일성, 자연에 대한 것, 존재의 자급자족성에 대한 것, 그리고 변태성을 받아들이는 벅찬 도전에 대한 것은 불교에서 유래한 그녀의 시에서 중심적인 주제들이다. 그러나 허쉬필드는 무겁고 노골적인 젠의 태도로 그녀의 시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오직 가끔만 직접적인 언급이 있다.[23]

많은 평론가들이 허쉬필드의 불교 중심주의를 그녀의 작품의 필터로 삼기도 한다고 언급하는 반면, 허쉬필드는 여러 인터뷰에서 그렇게 낙인찍힌 것에 대해 좌절감을 표현했다. "나는 언제나 '젠' 시인으로 불리면 약간의 낭패감을 느낀다. 전 아닙니다. 나는 인간 시인이다,[24] 그것뿐이야." 리사 러스 스파어는 허쉬필드를 "선지자"라고 부르며 계속 이렇게 말했다. "디킨슨의 "마음 위에서 노는 마음의 갈림길"의 수수께끼, 존재, 의미에 대한 실존적 농담이 서정시의 노래만큼이나 강력한 원천이라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허쉬필드의 비전의 중심은 수수께끼와 코안의 핵심에 있는 일종의 거룩한 기쁨이다."[25]

다른 평론가들은 삶이 퍼즐로 접근되는 허쉬필드 시의 조사적 성격에 주목한다. Judith Kitchen은 조지아 리뷰의 Come, Traid in The Georgia Review에서 "Jane Hirshfield의 그리움은 자기 지식이 아니라, 그것보다 더 순간적이지 않은 통찰력으로 묘사한다"고 썼다. 더 포괄적이고, 설명할 수 없는 표현이 갑자기 주어진 것과 더 유사하다.[26]

통찰력과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그녀의 모든 집중에도 불구하고, 1995년 초에 스티븐 옌서는 예일 리뷰 허쉬필드의 경험적 관심에서 주목했다. "경험 세계의 아마도 말할 수 없는 연민: 제인 허쉬필드의 시는 모든 점에서 그것을 인정하고 있다."[27] 도나 시먼은 도서목록 주연의 리뷰에서 허쉬필드의 "어처구니없는 추론, 그녀의 시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역설적인 자각의 풍부함에 대한 놀라운 명상 등"[28]에 더 최근에 주목했다.

허쉬필드의 시와 삶은 물리학과 다른 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생물학에 대한 그녀의 오랜 관심을 점점 더 반영하고 있다. 그녀는 "창조성과 뇌에 관한 과학자, 간병인, 환자, 임상의사, 그리고 대중들 사이의 대화를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29]2013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 신경과학과의 헬만 방문 예술가였습니다. 2010년, 그녀는 H.J. 앤드루스 실험 숲의 장기 생태 반사 프로젝트에서 블루 리버 펠로우로 활동했는데,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200년 동안 같은 장소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예술적 반응을 추적하는 것이다.[30]

2017년 허쉬필드는 본 D.C.를 위해 과학 시인을 위한 구성 요소를 조직했다. 4월 22일, 지구의 날에 워싱턴 몰에서 열린 과학의 행군. 그녀는 주요 집회 연사로 2017년 1월 24일 연방정부 기관 웹사이트에서 과학 정보를 삭제하는 데 항의하는 시인 '제5일에'를 읽었다. 이 시는 3월을 일주일 앞두고 워싱턴포스트 오피니언 섹션 1면에 실렸다.[31] 오하이오 켄트 주립대학에 본부를 둔 윅 시 센터와 함께 일하면서, 허쉬필드는 또한 과학자를 위한 시인들의 텐트가 3월 이전 강의의 일부가 되도록 주선했는데, 이 텐트는 과학자들과 그들의 지지자들이 그들 자신의 과학적인 근거에 근거한 시를 읽고 쓰도록 초대되었다.[22][32][33] 3월부터 미래까지 과학 활동을 위한 시인들은 윅 시 센터의 웹사이트에서 주최된다.[34] 과학을 위한 행진곡에서 허쉬필드가 낭독하는 영상.[35]

그녀의 작품은 자아와 감정의 내면세계를 깊이 들여다보는 반면, 허쉬필드는 자신의 작품이 스스로 서는 것을 선호하면서 그녀의 시와 시인으로서의 공적 생활 둘 다에서 그녀의 사생활에 대한 대부분의 세부사항을 지켰다.

Hirshfield의 작품은 The New Yorker, Atlantic Monthly, The Nation, the Los Angeles Times, The Times, The Times 문학 부록, New York Times, 많은 문학잡지, 그리고 The Best American Poets and Fushart Prize의 여러 권에 실렸다.[36] 그녀의 시는 여러 국립 공중파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자주 읽혀졌고, 그녀는 두 편의 빌 모이어스 PBS 텔레비전 특별기획 '시의 소리말로 장난치는 소리'에 출연했다. 2015년 3월 '미녀'와 '텐 윈도'가 출간된 것을 계기로 허쉬필드와의 인터뷰가 SF 게이트에 실렸다.[37] 동료 시인 일리야 카민스키(파리 리뷰),[38] 카베 악바르(미국 시 리뷰),[39] 마크 도티(게르니카)[40]와의 확대대화는 2020년 레저 출판과 연계해 등장했다.

참고 문헌 목록

컬렉션

  • Hirshfield, Jane (1982). Alaya. Quarterly Review of Literature. ISBN 0-614-06397-3.
  • Of Gravity & Angels (HarperCollins, 1988) 캘리포니아 도서 시상 수상
  • 10월 궁전(HarperCollins, 1994) 시화원 도서상 수상자
  • Bay Area Book Reviewers Award 수상작인 The Life of the Heart (HarperCollins,1997)
  • Given Sugar, Given Salt (HarperCollins, 2001), 전국 도서 비평가 서클상 최종 수상자
  • 페블스 어세이 (Brooding Heron Press), 2004
  • 라이온스에 의해 울려 퍼지는 각각의 행복 (Bloodaxe Books UK, 2005)
  • 이후 (HarperCollins, 2006), (Bloodaxe Books UK, 2006)
  • Come, Thief: Poems.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February 5, 2013. ISBN 978-0-375-71207-4.
  • 마이너스/my ness (Missing Links Press), 2014. ISBN 978-0-9899228-3-8
  • The Beauty: Poems.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March 17, 2015. ISBN 978-0-385-35108-9.
  • Ledger: Poems.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March 10, 2020. ISBN 978-0-525-65780-4.

시 목록

제목 연도 초간출판 재인쇄/집합
"버섯이 씻겨진 부엌에서" 2011 Hirshfield, Jane (Fall 2011). "In a kitchen where mushrooms were washed". Ploughshares. 37 (2&3). Hirshfield, Jane (2013). "In a kitchen where mushrooms were washed". In Henderson, Bill (ed.). The Pushcart Prize XXXVII : best of the small presses 2013. Pushcart Press. p. 295.
"남편" 2015 Hirshfield, Jane (April 13, 2015). "Husband". The New Yorker. Vol. 91, no. 8. p. 48. Retrieved June 21, 2015.
"잉그라빙: 나뭇가지 하나에 빈 벌집이 있는 세계 나무" 2016 Hirshfield, Jane (June 12, 2016). "Engraving: World tree with an empty beehive on one branch". The New York Times T Magazine. Retrieved June 18, 2016.

논픽션

영예와 상

  • 시화원 도서상
  • 캘리포니아 북 어워드
  • 구겐하임 재단 펠로우십
  • 펠로우쉽, 록펠러 재단,
  • 미국 시인 협회
  • 펠로우쉽, 국가 예술 기부금
  • 도널드 홀-제인 케년 미국시상
  • 컬럼비아 대학교 번역 센터상
  • 캘리포니아 연방 시훈장
  • 베이 에어리어 북 리뷰어상
  • 미국 시인 아카데미(2004)의 뛰어난 시적 업적을 위한 아카데미 펠로십
  • 결승전, T. S. 엘리엇상
  • 파이널리스트, 전국 도서 비평가 서클상
  • 롱리스트 내셔널 북 어워드
  • 미국 시인협회장(2012~2017년)[43]
  • 선출된,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2019)[13]

참조

  1. ^ Bryson, J. Scott; Thompson, Roger, eds. (2008). Twentieth-century American nature poets. Detroit, MI: Gale Cengage Learning. pp. 178–184. ISBN 978-0-7876-8160-9. LCCN 2008022299. OCLC 229446118. OL 11095126M.
  2. ^ Busch, Colleen Morton (2011). Fire Monks: Zen Mind Meets Wildfire at the Gates of Tassajara. New York: Penguin Press. p. 15. ISBN 978-1-59420-291-9. LCCN 2011010226. OCLC 682892561. OL 25108970M.
  3. ^ Kellogg, Carolyn (September 15, 2015). "National Book Award poetry longlist announced". Los Angeles Times. Retrieved April 26, 2019.
  4. ^ "Best of 2015: 100 recommended books". SFChronicle.com. December 15, 2015. Retrieved January 29, 2018.
  5. ^ Mark A. Eaton, "20세기 미국 자연 시인" 에드 J. 스콧 브라이슨과 로저 톰슨. 문학 전기 사전 제342권 디트로이트: 게일, 2008.)
  6. ^ 2004년 미국 시인 협회
  7. ^ a b c d 미국 시인 아카데미의 제인 허쉬필드 프로필 2007년 1월 15일 접속
  8. ^ "Index of Fellows on Portable MacDowell – The MacDowell Colony". MacDowellColony.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6, 2009. Retrieved January 29, 2018.
  9. ^ "Past Residents". RauschenbergFoundation.org. October 15, 2014. Retrieved January 29, 2018.
  10. ^ "Civitella Rainieri". Civitella.org. Retrieved January 29, 2018.
  11. ^ 제라시 상주 예술 프로그램
  12. ^ "Djerassi Resident Artists Program Jane Hirshfield". Djerassi Resident Artists Program. Retrieved May 31, 2018.
  13. ^ a b "Newly Elected Members". amacad.org. Retrieved May 8, 2019.
  14. ^ 데이비드 베이커, 2005년 봄 미국 시인
  15. ^ 2012년 보도자료 미국 시인 아카데미Kay Ryan이 The American Poeter에 재출판했다.
  16. ^ 2012년 10월 12일 미국의 도서관 Reader's Almanac에서 인용한 Ceslaw Milosz, Prze Kroj (폴란드)
  17. ^ "A Conversation between Brian Bouldrey & Jane Hirshfield, Pt. 3". The Best American Poetry. Retrieved March 9, 2020.
  18. ^ Seaman, Donna (March 15, 2020). Ledger. Booklist. Retrieved May 14, 2020.
  19. ^ Reviewed by Afaa M. Weaver (October 25, 2011). "Come, Thief". Orion Magazine. Retrieved March 9, 2020.
  20. ^ "War No More: Three Centuries of American Antiwar & Peace Writing – Library of America". LOA.org. Retrieved January 29, 2018.
  21. ^ "Poems of Resistance: A Primer". The New York Times. April 21, 2017. Retrieved January 29, 2018.
  22. ^ a b Alter, Alexandra (April 21, 2017). "American Poets, Refusing to Go Gentle, Rage Against the Righ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anuary 29, 2018.
  23. ^ Peter Harris. "About Jane Hirshfield: A Profile". pshares.org. Retrieved March 9, 2020.
  24. ^ Kim Rosen (April 1, 2013). "Poet Jane Hirshfield on the Mystery of Existence". spiritualityhealth.com. Retrieved March 9, 2020.
  25. ^ "Monday's Poems: Three by Jane Hirshfield".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September 24,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5, 2011. Retrieved March 9, 2020.
  26. ^ Kitchen, Judith. "Jane Hirshfield's Come, Thief". The Georgia Review Summer 2012. Retrieved April 7, 2014.
  27. ^ 스티븐 옌저, 예일 리뷰(1995년 4월) 페이지 147-152
  28. ^ Catherine (July 12, 2011). "Meet the 2011 Faculty: Jane Hirshfield". NapaWritersConferenc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3, 2013. Retrieved January 29, 2018.
  29. ^ "Hellman Visiting Artist Program, UCSF Memory and Ageing centre". Memory and Aging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5, 2012. Retrieved March 9, 2020.
  30. ^ "About Andrews Forest Art & Humanities – Andrews Forest Log". AndrewsForestLog.org. Retrieved January 29, 2018.
  31. ^ Jane Hirshfield (April 14, 2017). "On the Fifth Day". The Washington Post.
  32. ^ Dana Isokawa (April 19, 2017). "The Two Feet of One Walking: Poets March for Science". Poets & Writers Magazine. Retrieved January 29, 2018.
  33. ^ North, Anna (April 23, 2017). "Opinion – Making Art at the March for Scienc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anuary 29, 2018.
  34. ^ "Science Stanzas: The March for Science › Poets for Science". Science Stanzas: The March for Science. Retrieved January 29, 2018.
  35. ^ Earth Day Network (April 24, 2017). "March for Science Earth Day 2017 Speaker – Jane Hirshfie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4, 2021. Retrieved January 29, 2018 – via YouTube.
  36. ^ "Hirshfield profile". HarperCollins. Retrieved March 9, 2020.
  37. ^ "Interview with poet Jane Hirshfield". SFGate.com. March 12, 2015. Retrieved January 29, 2018.
  38. ^ Kaminsky, Ilya (March 11, 2020). "A Poem Is Not a Frontal Assault: An Interview with Jane Hirshfield". The Paris Review. Retrieved May 14, 2020.
  39. ^ Akbar, Kaveh (March 2020). "On Writing Poems Facing Into the Broken World". The American Poetry Review Volume 49, No. 02. Retrieved May 14, 2020.
  40. ^ Doty, Mark (April 30, 2020). "The Worlds We Find Ourselves In: Mark Doty and Jane Hirshfield in Conversation". Guernica. Retrieved May 14, 2020.
  41. ^ "Amazon.com: The Heart of Haiku (Kindle Single) eBook: Jane Hirshfield: Kindle Store". Amazon.com. Retrieved January 29, 2018.
  42. ^ Peschel, Joseph (May 25, 2015). "Caution: World-Changing Poetry at Work". The Daily Beast. Retrieved January 29, 2018 – via TheDailyBeast.com.
  43. ^ "Jane Hirshfield". poets.org. Retrieved May 8,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