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완어족

Jarawan languages
자라완
지리학
분배
카메룬 남서부(구), 나이지리아 남동부
언어구분니제르콩고?
원문언어프로토자라완
글로톨로지jara1262
Map of the Jarawan languages.svg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내에서 보여지는 자라완어

자라완은 나이지리아의 바우치 주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의 집단으로, 일부는 같은 나라의 타라바 주와 아다마와 주에도 산재해 있다. 카메룬에서 이전에 사용되었던 두 개의 관련 언어는 현재 멸종되었지만 이 그룹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나이지리아와 카메룬의 이러한 연관성은 토마스(1925년)의 덕택이다. 자라완 언어가 다른 반투족 언어들과 함께 가장 잘 분류되는지 아니면 반투 반토이드어가 아닌 언어들 사이에서 가장 잘 분류되는지는 현재 진행중인 논쟁의 문제다. 20세기 초의 많은 설명과 분류는 그것들이 역사적으로 반투 언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반투 그 자체는 아니라는 것을 암시한다. 어휘소스트론적 모델링과 언어 비교를 위한 다른 계통생성 기법에 기초한 다른 관점에서는 대신 자라완 언어가 구역 A 반투 언어(A31-A40-A60)와 함께 적절하게 분류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최신 연구에 기초한 분류는 예를 들어 Blench(2006), Piron(1997), Grollemund(2012)를 참조한다.

언어들

블렌치(2011년)에 따른 자라완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1]

이름 및 위치

아래는 Blench(2019)의 언어 이름, 인구, 위치 목록이다.[2]

언어 군집 방언 대체 철자 언어의 고유 이름 내명 기타 이름(위치 기반) 언어의 기타 이름 익명 스피커 위치
담란치 미분류의 다믈라라 담란치 500-1000명의 민족, 그러나 지금은 빈사상태는 아니지만 50세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 바우치 주, 알칼리 LGA, 마키도 마을
미분류의 1,000명 미만(LA 1971) 바우치 주, 토로 엘지아
항아리 군집 다라와(Koelle 1854), 자라와 항아리, 자라완코기, 자라완카사, 자라신코기/카사 고원, 바우치, 아다마와 주
보바(?) 항아리 바우치 주,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2007년 조사 결과 해당 언어를 찾지 못하여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
도리 항아리 이전 출처(예: Maddieson & Williamson 1975)는 듀구리를 여러 지역 방언으로 나누었지만, 모든 Doi가 기본적으로 상호 이해 가능한 강의를 하기 때문에 이것은 타당하지 않을 수 있다. 도드리 두구란치 두구라와 바우치 주, 알칼리 주, 타파와 베일과 LGAs; 고원 주, 카남 LGA
갈람키아 항아리 Mbat의 방언일 수 있다. 칸나 독, 자라완코기, 가라카 바다와, 음바다와 10,000(SIL) 량2·기디드 등 음바트 남서쪽 가남 LGA 북서부
항아리 깅왁 자란치 자라완 부누누누, 자라신 카사 19,000 (LA 1971) 다스 시와 남쪽으로 공골라 강 서쪽 다스와 바우치 주 타파와 베일과 LGAs, 다스와 바우치 주
칸타나 항아리 고원 주, 카남 엘지아
리그리 항아리 800명의 스피커(아유바 에스트). 2008). 타라바 주, 카림 라미도 LGA
엠바트 항아리 음바다, 배트, 바다, 바하 칸나 독, 자라완코기, 가라카 바다와, 음바다와 10,000(SIL) 가남 LGA 북중부, 고원 주, 가그디검을 중심으로
자르 항아리 덤불라와(스투미 마을)는 ɓ칼 사투리를 구사할 수 있다. 자르 샨칼, 뱅칼, 뱅칼라 뱅칼란치, 바란치 뱅칼라와 2만 (LA 1971) 다스 시와 북쪽으로 공골라 강 서쪽에 있는 바우치 시와 다스 시, 바우치 주, 토오 LGAs에 있는 바우치 시로.
자쿠구비 성단
라브르 라브비티크르 자쿠, 자쿠 자칸치 약 10개 마을에서 사용되며, 아마도 5000명의 스피커(2019년 에스트) 바우치 주(州), 바우치-곰베 도로 남쪽, 바우치 엘지아(Bauchi LGA)의 칸얄로 공골라 강에서 알칼리 엘지아(Gar)까지.
슈키 구비, 구바 구바와 300 (LA 1971) 바우치
둘부 80 (LA 1971) 바우치
절름발 군집 2,000(1973 SIL) 바우치 주, 토로 엘지아, 레임구
루후 변변찮은 루푸 향 루파와 1987년에는 연사가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음바루 변변찮은 음바르, 밤바로, 밤부로, 밤바라, 봄바로, 봄보로, 밤보로 봉보라와, 분보라와 3500-4500(CAPRO 1995a). 바우치 주 토로 엘지아 툴루 타운
구라 변변찮은 투구라 sg. 바-구라, pl. 모구라 아가리, 아가리
음불라 군집 7,900 (1952년), 25,000 (1972년); 23,447 (1977년) 블렌치: 음불라 (Mbula) 또는 음불라와 브와자 (Bwazza) 둘 다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아다마와 주, 누만 주, 셸렝 주, 송 LGAs
음불라 음불라
탐보 음불라
브와자 음불라 사투리 없음 ɓàà pl pl pl pl pl pl pl pl pl pl. 아와차 시와자 베어, 베레[마을 이름] 아다마와 주, 뎀사, 누만, 셸렝, 송 LGAs. 26개 마을.
칠레 음불라 쿤-지일레는 음불라와 상호이해가 가능하다고 한다. 빌레, 빌리, 빌란치 쿤질레 아 질레 30,000개(CAPRO, 1992년); 36개의 마을이 있고, 36개의 마을이 있고, 16개의 다른 마을들에서는 일부 닐이 사용되고 있다. 우카리 도로 동쪽 누만에서 남쪽으로 25km 떨어진 아다마와 주, 누만 LGA.
마마 n/a 크와라, 칸타나 7,891 (1922 사원), 6,155 (1934 Ames), 20,000 (1973 SIL) 나사와 주, 아크라나 LGA
쿨룽 시 n/a 쿠쿨루 바쿨룽 밤버르, 우르쿰 우르쿠나와 (고우스 1907년) 15,000(SIL) 타라바 주, 카림 라미도 LGA, 발라사, 밤부르, 기림, 우카리 LGA, 가다 마요

특성.

자라완어에 대해 언어학자들이 알고 있는 대부분의 것은 20세기 초에 편찬된 단어 목록으로부터 따온 것이며, 그 중 많은 단어들은 수십 개에서 약 400개의 단어까지 포함되며, 때로는 몇 개의 구절이나 간단한 문장이 포함되어 있다. 자라완 언어는 특정 반투족 코인족의 존재에 따라 반투족 언어라고 주장되기도 하지만, 이들 코인족의 수와 종류는 견고하지 않다. 자라완 어휘소는 치디아어, 특히 하우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차디치 언어와의 접촉 때문인지 자라완 언어는 잃어버린 명사 계급 체계의 잔재일 가능성이 있는 "동결" 접두어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블렌치(2007)와 매디슨 & 윌리엄슨(1975년)에서 앞서 논의된다. 이것은 접두사 자체가 치디치에서 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앞선 조상으로부터 온 것일 가능성이 높다. 접두사는 더 이상 생산적이지 않으며, 현대 반투어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합의나 일치의 관련 체계가 없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자라완 언어는 단수 명사와 복수 명사 사이에 단순한 대립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나며, 단수 명사는 명사 줄기와 같고, 같은 접두사에 의해 복수형이 형성된다. 적어도 셀 수 있는 명사에 대해서는 말이다.

자라완 언어는 주로 고립(분석적) 형태학을 보인다. 명사에 복수 접두사를 제외하고, 지금까지 언급된 유일한 붙이는 것은 양면적인 습관적 접미사 또는 동사 줄기의 모양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 동사 "확장"이다. 이는 게르하르트(1988)에서는 '자르'와 칸타나에서 논의되지만, 그린(2020년, 2021년)에서는 음바트(바다)에서도 논의되고 있다.

자라완은 초기에는 차디치적 영향을 받았으나 차디치어가 자라완의 영향을 받는 역상황은 차디치쿨룽이 주변 차라완 쿨룽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기이한 경우에서 발견된다. 두 언어의 화자는 쿠룽족으로 식별되지만 언어는 관련이 없는 언어군에 속한다.[2]

이전 연구

블렌치(2006)는 초기 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자라완 반투 언어는 항상 반투 고유어와의 관계가 좋지 않았다. 북부 카메룬과 나이지리아 동부 중부에 흩어져 있으며, 그들은 제대로 문서화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고, 특징도 형편없다. 자라완 반투의 첫 번째 기록은 코엘레(1854년)로, 그의 Dṣ̄rrawa는 아마도 현대 뱅칼에 해당할 것이다. 고워스(1907)는 바우치 지역의 주로 차디치 언어에 대한 조사에 포함된 자라완 반투(봄보라와, 뱅칼라와, 구바와, 자쿠, 자라와, 우르쿠나와)의 6개 단어 목록을 가지고 있다. Strümpell(1910)은 이전에 메강가 근처의 카메룬/CAR 국경에서 사용되었던 자라완 반투 언어 음보아(Jarawan Bantu langu language Mboa)의 단어 목록을 가지고 있다. 북부 카메룬의 가로우아 SE 나차리를 중심으로 한 나구미의 유일한 기록은 스트룹펠(1922년)과 보들레르(1944)이다. 존스턴(1919: 716 ff.)은 코엘이 녹음한 언어를 자신의 '세미반투' 언어 그룹 중 하나인 '센트럴바우시'에 할당했다. 토마스(1925년, 1927년)는 나이지리아 자라완 반투족의 반투 친절을 인정하였으나 도케(1947년)와 구트리(1969년–71)는 자라완 반투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반투에 관한 최신 참고서에서도 이를 배제하고 있다(Nurse & Philipson 2003년). 일부 자라완 반투 언어는 베누에-콩고 비교 단어 목록(Hencefrth BCCW)(윌리엄슨 & 시미즈 1968; 윌리엄슨 1973)에 수록되어 있으며, 1970년대 초 이바단 대학의 학생 설문지는 다른 언어에 대한 추가적인 스케치 데이터를 제공했다."[3]

또한 크래프트의 치디치어 목록에는 뱅칼과 자쿠에 관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사치닌&다이우(1974년)와 모하마드우(1979년)에는 현재 멸종된 카메룬어 나구미와 같은 언어일 수도 있는 은공의 단어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카메룬의 자라완에게도 모하마드우(1980년)에는 음보아(Mboa)의 단어 목록이 들어 있는데 음보아라고도 한다. 이것들은 모하마두(2002/2020)에 요약되어 있다. 아델베르거&클라이네윌링호퍼는 2016년 선교사 아이라 맥브라이드가 편찬한 쿨룽의 역사 스케치와 어휘를 출간했다.

블렌치(2006년)에 따르면 : "매디슨 & 윌리엄슨(1975)은 이러한 언어의 위치에 대해 이 데이터를 합성하려는 최초의 시도를 나타낸다. 그 시기 이후 출판물들은 제한되어 왔다…. 루카스와 게르하르트(1981)는 음불라에 대해 다소 성급하게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 한편, 게르하르트(1982)는 이 새로운 자료의 일부를 분석하여 자라완 반투(1982)를 "돌아온 반투"라고 암기적으로 명명했다. 게르하르트(1982)는 마마와 칸타나에서 언어의 확장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블렌치(2006)도 마찬가지로 이들을 반투족 언어로 분류했다. 울리히 클라이네윌링호퍼는 1990년대 초 SFB 268의 일환으로 수집된 자암보(덕타), 브와자, 음불라, 담즙, 듀구리, 쿨룽 등 6개의 자라완 반투 강의 단어 목록을 입수했다.

와이클리프 나이지리아는 나이지리아의 자라완 그룹을 대상으로 음불라-바자(Rueck et al. 2007)와 자르 클러스터(Rueck et al. 2007) 등 두 차례 조사를 실시했다. 2009) 나이지리아에서 자라완의 상태에 대해 훨씬 새롭고 더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2018년 시러큐스 대학의 그린이 시작한 작업은 '자르' 군집의 언어, 특히 음바트(바다)와 두구리의 설명과 문서화에 초점을 맞췄다.

참고 문헌 목록

  • 아델베르거, 요르그 & 울리히 클라이네윌링허퍼. 2016. Kulung 어휘: 선교사 Ira McBride가 편찬했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우니베르시타트: 마인츠.
  • ALCAM 1984. 아틀라스 언어학자 듀 카메룬. ACCT.
  • 블렌치, 로저 2006년 Jarawan Bantu: 새로운 데이터와 Bantu와의 관계.
  • 다이우, M. & M. 사치닌. 1974년. 보카불라레 은공: 야우데우 세르데톨라
  • 게르하르트, L. 1982. 자라완 반투: 북쪽으로 돌아선 반투의 잘못된 정체. 아프리칸 뷔르제, LXV:75-95.
  • 게르하르트, L. 1988 자라완 반투의 언어적 확장에 관한 노트. 서아프리카어학회지, XIII, 2:3-8.
  • 1907년 W.F. 1907.N. 나이지리아 바우치 주(州)에서 사용되는 42개의 언어 어휘. ms. 국가기록원, 카두나
  • 그린, 크리스토퍼 R. 2020 음바트(자라완 반투) 동사의 조화와 불협화음. Languageistique et Langues Africanaines 6, 43-72.
  • 그린, 크리스토퍼 R. 2021. Mbat (Jarawan Bantu)에서 시작 군집과 코다 사이의 링크. 자연언어와 언어이론 39, 97-122.
  • 그롤레문트, 레베카, 2012년 누벨레는 분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접근한다. 응용 보조 언어 반투 뒤 노르드-ouest. 박사학위 논문 루미에르 리옹 2번 대학
  • 거드리, 1969-71 비교 반투(4볼트) 판버러: 그레그.
  • ̈Kraft, Charles (1981년). 차디찬 단어 목록. 베를린: 리머
  • 매디슨, I., K. 윌리엄슨 1975. 자라완 반투. 아프리카어, 1:125-163.
  • 미크, C.K. 1925. 나이지리아의 북부 부족. 2권. 런던: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미크, C. K. 1931. 나이지리아 북부의 부족 연구. (2권) 런던: 케건 폴.
  • 모하마드우, 엘드리지 2002/2020. 동부 상부 베누 분지에서 자라완 반투 확장 1700-1750. 2002년 3월 4-8일 서아프리카 사바나의 환경 및 문화적 역동성, 국제회의의 진행, Meduuright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2002년 3월 4~8일.
  • 피론, 패스케일 1997년 분류 내부 그룹 반토트 드. 뮌헨 린콤 유로파.
  • 루크, 마이클 J. 넨각 바코, 루터 혼, 존 무니루, 리누스 오트론이, 자차리아 요더 2009. 사회언어학에서 본 '항아리 방언 조사'의 예비적 인상. 조스양.
  • 루크, 마이클 J. 자카리아 요더 & 카타리나 하넬로바. 나이지리아 아다마와 타라바 주 음불라, 탐보, 바코피, 곽바, 브와자, 쿨롱, 빌레인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조사. 조스.
  • 시미즈, K. 1983. 노르드니게리아 주, 보우치 연방의 사라완-반투스프라헨 데스 분데스스타테스 바우치. 아프리카에 있는 Sprache Geschichte und Kultur에서. R. Vossen & Claudi, U.S. (eds.) 291-301. 함부르크: 버스케.
  • 1910년 F.T. 스트럼펠 Vergleichendes Wörterverzeichnis der Heidensprachen Adamaauas. 미트 보르베메르쿤겐 폰 B. 맞았다. 제이트슈리프트 퓌르 에트놀로지 XLII:444-488.
  • 토마스, 1925년 더 랭귀지즈. 인: 나이지리아의 북부 부족. C.K. 미크 에드 132-247 런던: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윌리엄슨, K. (1971) 베누에 콩고어족과 이조족. 언어학의 현재 동향에서, 7 (pp. 245–306) ed. T. 세벽.
  • 윌리엄슨, 케이 1972 베누에-콩고 비교 단어 목록: 제2권. 이바단: 서아프리카 언어 협회
  • 윌리엄슨, K, K. 시미즈로68번길 베누에-콩고 비교 단어 목록, 1권. 이바단: 서아프리카 언어 협회

참조

  1. ^ Blench, Roger (2011). "'The membership and internal structure of Bantoid and the border with Bantu" (PDF). Berlin: Humboldt University. p. 32.
  2. ^ a b Blench, Roger (2019). An Atlas of Nigerian Languages (4th ed.). Cambridge: Kay Williamson Educational Foundation.
  3. ^ Blench, Roger (2006). "Jarawan Bantu: New Data and Its Relation to Bantu" (PDF). p.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