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 클라이네
Jeff Clyne제프리 오비드 클라이네([2]Jeffrey Ovid Clyne, 1937년[1] 1월 29일 ~ 2009년 11월 16일)는 영국의 재즈 베이스 연주자(베이스 기타와 더블 베이스 모두를 연주함)[1]이다.
전기
1958년부터 1년 동안 그룹 재즈커리어스에서 터비 헤이스, 로니 스콧과 함께 일했으며, 1959년 11월 로니 스콧의 재즈 클럽을 연 뮤지션 그룹의 일원이었다.[3]그는 1961년부터 헤이즈 그룹의 정회원이었다.[1]
Clyne accompanied Blossom Dearie, Stan Tracey (on his Jazz Suite Inspired by Dylan Thomas's "Under Milk Wood" album),[1] Ian Carr, Gordon Beck (on Experiments With Pops, with John McLaughlin), Dudley Moore, Zoot Sims, Norma Winstone, John Burch and Marion Montgomery.그는 1970년대에 핵, 이소코프, 길가메쉬, 자일스 파나비의 드림 밴드, 터닝 포인트의 멤버였다.[1]그는 종종 드러머 Trevor Tomkins와 함께 일했다.
클라이네는 2009년 11월 16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2]
음반 목록
리더로서
사이드맨으로
닐 아들리와 함께
- 그리스 변형 & 기타 에게 운동 (Columbia, 1970)
- 아마란스의 교향곡 (Regal Zonophone, 1972년)
- 온 더 라디오: BBC 세션스 1971 (Dusk Fire, 2017)
고든 벡과 함께
- 대화 작품 1과 2 (보기, 1980)
- 팝스를 사용한 실험(Major Minor, 1968년)
- 자이로스코프 (모건, 1969년)
- 써니가 파랗게 질릴 때 (터틀, 2018)
로이 버드와 함께
- 버디 'n' 보사(Pye, 1970)
- 두려움이 열쇠 (Pye, 1972년)
- 겟 카터 (Odeon, 1971)
- 국제 프로젝트 (Trunk, 2019)
블러썸 디어리와 함께
- 블라썸 타임(Fontana, 1966)
- 그것이 내가 되고 싶은 길이다(Fontana, 1970)
- Live in London Vol. 2 (Harkit, 2004)
밥 다우니스와 함께
- 다이버전스 (Openian, 1971)
- 헬스 에인절스 (Openian, 1975년)
- 5 트리오스 (Openian, 2010)
Tubby Hayes와 함께
- 터브비의 그루브 (템포, 1960년)
- 터브스 (Fontana, 1961)
- 밤과 낮(Magnum America, 1996년)
- 100% 증명(Fontana, 1967)
- 영국의 후기 재즈 그레이트(IAJRC, 1987년)
- 200% 입증(마스터 믹스, 1992년)
- Live in London (Harkit, 2004)
- 커먼웰스 블루스 (Art of Life, 2005)
- 강도: 1965년 테이프 (Tentoten, 2008년)
- 터비 뉴 그루브 (Candid, 2011)
핵 포함
- 탄성암 (Vertigo, 1970)
- 나중에 얘기하자(Vertigo, 1971)
- 더 프리티 레드헤드 (Hux, 2003)
- 반구 (Hux, 2006)
- Live 1970 (Gearbox, 2014)
존 스티븐스와 함께
- 화학 (비닐, 1977)
- 프리밥(Affinity, 1982년)
- 블루 (Culture Press, 1998)
다른 사람들과 함께
- 어쿠스틱 알케미, 사이먼 제임스 & 니콜라스 웹 기타 듀오 (마스터마임, 1981년)
- 어쿠스틱 알케미, 얼리 알케미(GRP, 1992년)
- 케빈 에이어스, 장난감의 기쁨 (BGO, 1989년)
- 피트 브라운, 잊혀지지 않는 협회 (Deram, 1973년)
- 존 버치, 재즈비트 (리듬 & 블루스, 2019)
- 이언 카, 솔라 플렉서스 (Vertigo, 1971)
- 로이 캐슬, 비 오는 날을 위한 노래 (Columbia, 1966)
- 지네, 셉토버 에너지(RCA, 1971년 네온)
- 마이크 쿠퍼, 내가 아는 장소 (Dawn, 1971)
- 줄리 드리스콜, 1969년 (폴리도르, 1971)
- 조지 명성, 명성의 두 얼굴 (CBS, 1967)
- 자일스 파르나비, 자일스 파르나비의 드림 밴드 (아르고, 1973년)
- 마이클 깁스, 탕글우드 63 (Deram, 1971)
- 길가메쉬, 길가메쉬 (Caroline, 1975년)
- 길가메쉬, 두 번 도착 (Cuniform, 2000)
- 배리 가이 & 런던 재즈 작곡가 오케스트라 오데(Incus, 1972년)
- 짐 홀, 런던 라이브 (Harkit, 2019)
- John Holler, Lost Keys (마스터 믹스, 1993년)
- 린다 호일, 조각스 오브 미 (Vertigo, 1971)
- 동위원소, 동위원소(Gull, 1974년)
- 동위원소 & 게리 보일, BBC 생방송 (Hux, 2004)
- The Jazz Couriers, Tippin': 더 재즈 커리어 라이브 인 모어캠 1959 (Gearbox, 2012)
- 마리안 몽고메리, 온 스테이지! (큐브, 1978)
- 마리온 몽고메리, 나이스 앤 이지 (재즈 하우스, 1990)
- 더들리 무어, 킵 잇 업 (Decca, 1969년)
- 더들리 무어, 더들리 무어 트리오 (Decca, 1969년)
- 토니 옥슬리, 세례받은 여행자 (CBS, 1969)
- 토니 옥슬리(Tony Oxley), Sextet 4개 작곡(CBS, 1970)
- Tom Paxton, How Come the Sun (Replise, 1971)
- 아네트 피콕, 엑스드림(Aura, 1978년)
- Gilles Peterson, Gilles Peterson으로 인상적인 2 (Universal/Impressed Re-compressed 2004)
- 프린스 라샤, 인사이트 (CBS, 1966)
- 돈 렌델 & 이안 카, 체인지 이스 (Columbia, 1969년)
- 로니 스콧 & 터비 헤이스, 재즈의 배달원 (런던 아메리칸, 1958년)
- 로니 스콧, BBC 재즈 클럽 (Gearbox, 2013)
- Zoot Sims, Joot at Ronnie Scott's (Fontana, 1962)
- 자발적 음악 앙상블, 챌린지 (Eimarket, 1966)
- 자발적 음악 앙상블, 올리브 & 패밀리 (Emanem, 2014)
- The, Individed(Epic, 1986년)
- 키스 티펫, 당신은 여기... I Am Here (Polydor, 1970)
- 스탠 트레이시, 재즈 스위트(Columbia, 1965년)
- Stan Tracy, Alice in Jazz Land (Resteamed, 2007)
- 테오 트래비스, 더 엣지에서 본 뷰(33 재즈, 1994)
- 터닝 포인트, 밤의 창조물 (Gull, 1977)
- 터닝 포인트, 침묵의 약속 (Gull, 1978)
- 제임스 타일러, 래그타임 (Desto, 1979년)
- Steve Waterman, 목적지 알 수 없음(ASC, 1995)
- 워킹 위크, 컴퍼니 (Virgin, 1986년)
- 워킹 위크, 페이데이(Vealth/Virgin, 1988년)
- 로버트 와이어트(Robert Wyatt, Flotsam Jetsam) (Rough Trade, 1994)
참조
- ^ a b c d e Colin Larkin, ed. (1992). The Guinness Who's Who of Jazz (First ed.). Guinness Publishing. p. 91. ISBN 0-85112-580-8.
- ^ a b "Jazzwise Magazine". 16 January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1-16. Retrieved 25 July 2021.
- ^ Steve Voce "Jeff Clyne: 영국 재즈계의 배시스트와 건장한 40년" The Independent, 2009년 11월 20일.
외부 링크
- 칼릭스 전기
- Jeff Clyne – 데일리 텔레그래프 부고
- Jeff Clyne: 재즈 베이스 연주자 – 타임즈 부고
- 제프 클라이네 – 가디언 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