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니 패트릭
Jennie Patrick제니 패트릭 | |
---|---|
태어난 | |
국적 | 미국인의 |
모교 | 투스케기 대학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로 알려져 있다. | 아프리카계 미국 여성 최초로 전통 화학공학 박사학위 취득 |
과학 경력 | |
필드 | 화학공학 |
기관 | 투스케기 대학 |
논문 | 비이상의 액체혼합물 및 순수성분의 과열 한계온도 (1979) |
제니 패트릭(Jennie Patrick, 1949년 출생)은 미국의 화학 기술자 겸 교육자다.고등학생 때 앨라배마 공립학교 통합에 참여했다.[1]1979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그녀는 전통 화학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이 되었다.[2]산업에서 그녀는 초임계 유체 추출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했다.그녀의 교육적인 업무는 흑인 학생들과 여학생들의 멘토링에 초점을 맞춰왔다.[3]
유년기
제니 패트릭은 1949년 1월 1일 앨라배마주 개즈덴의 제임스와 엘리자베스 패트릭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그녀는 "조용한 시골, 아주 느리지만 전형적인 남부 도시"라고 묘사했다.[3]그녀는 다섯 아이들 중 넷째였다.[4]그녀의 아버지는 노동자였고, 어머니는 가정부로 일했다.둘 다 6학년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그들은 교육이 가난에서 벗어나는 길이라고 믿었고 모든 자녀들이 정규 교육을 추구하도록 격려했다.[4]그들은 패트릭이 동네 공공도서관의 책과 함께 읽은 자녀들을 위해 백과사전 2세트를 샀다.[4]
패트릭은 자신을 매우 호기심이 많은 아이라고 묘사한다.제네트 E와의 인터뷰에서.브라운은 "나는 왜 사물이 존재하는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고 싶었다"고 설명했다.시골에서 살다 보니 자연과 매우 가까워졌다.자연의 경이로움이 왜 어떤 식으로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하기 위해 내 욕구를 더욱 부채질한 것 같았다."[3]
패트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분리되었지만 지지적이었다.그녀는 일이 어떻게[5] 돌아가는지 궁금했고 매우 상상력이 풍부했다.[2]그녀는 자신의 5학년 선생님인 앤서니 놀레지 씨가 또래 선생님들보다 훨씬 높은 수준에서 수학을 가르쳤다고 회상하며, 6학년 선생님인 핑키 브리지스 부인을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성취할 수 있는 영감"으로 여긴다.[3]
1964년 패트릭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 이후 이 도시에서 가장 우수한 공립학교인 개즈든 고등학교를 통합한 흑인 학생 중 한 명이었다.[1]패트릭은 중학교 때까지 화학자가 되고 싶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3] 패트릭이 과학 연구에 필요한 과학 장비를 가지고 있는 [3]개즈든 고등학교에 등록한 최초의 흑인 학생으로, 지역 흑인 학교에서 사용할 수 없었다.Jeannett E와의 인터뷰에서.브라운은 "나는 한 가지 생각을 가지고 학교에 갔고, 그것은 내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교육을 받기 위해서였다"[3]고 설명했다.
패트릭은 개즈든에 있는 동안 학생과 교사들뿐만 아니라 통합에 반대하는 시위자들로부터 차별과 학대를 경험했다.그녀의 동료들 중 일부는 입원할 정도로 얻어맞았다.[3]그녀는 자신의 경험에 대해 "초기 몇 달은 살아 있는 악몽이었다.우리에 대한 감정적, 심리적, 정신적, 육체적 폭력은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4]통합학교에 입학한 흑인 학생들의 가족들이 쿠클룩스 클랜에 의해 위협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부모는 지지했다.[3]함께 개즈든에 입학한 흑인 학생 11명 중 절반은 졸업 전에 학교를 떠났고 패트릭은 학교에서 제공하는 가장 어려운 과정인 대학 준비수업으로 고려되기 위해 직원들에게 도전장을 내밀어야 했다.[3]그녀는 지넷 E에게 말했다.브라운 : "나는 항상 집중해야 할 정신적, 정서적 힘이 있었어.그래서 그들이 나를 거기까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었다. (...) 나는 나를 육체적으로 보호하려고 하는 그 이상이었다."[3]패트릭은 1967년에 우등으로 졸업했다.[4]그녀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기 때문에 내셔널 아너 소사이어티에 가입할 수 없었다.[1]
교육
패트릭은 그녀의 꿈의 학교인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에 장학금을 제안받았다.그러나 패트릭은 어머니의 뜻에 따라 처음에는 집에서 더 가까이 공부하여 앨라배마주 투스케지 대학(당시 투스케지 학원으로 불렸다)에서 장학금을 받았다.[3][6]그곳에서 그녀는 화학공학에서 단명 프로그램을 전공했다.투스케기 학원은 전통적으로 흑학파였지만 화학공학부장은 패트릭이 화학공학을 전공하는 것에 반대하여 그녀와 '나쁜' 사이였던 백인 남학파였다.[3]그 프로그램이 무너지자 그녀는 버클리 대학으로 전학을 갔지만, 더 이상 장학금을 받을 자격이 없었다.그녀는 버클리를 통과하기 위해 1년 동안 일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겨우 먹고 살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돈이 없었다.[4]그녀는 매년 여름, 처음에는 다우에서 보조 엔지니어로 일했고, 그 다음엔 스토퍼 화학 회사에서 일했다.[4]그녀의 선생님들 중 한 명인 해리 모리슨 박사의 추천으로, 그녀는 학업을 추진할 수 있는 보조금을 받았다.[3]그녀는 1973년에 B학점을 받았다.화학공학과 sc.는 10년 만에 버클리에서 유일한 흑인 여성 학부생이자 최초의 흑인 화학공학과 학생이다.[3]그녀가 버클리 대학에 있는 동안, 다른 학생들과 교수진들은 그녀가 그곳에 속해 있지 않다고 느끼고 표현했고,[4] 심지어 그녀의 작품까지 파괴했다.[1]그녀는 교실에 들어갈 때마다 "그녀 앞 바닥에 엎드리곤" 했던 특정 교수를 떠올리며, 시험 도중 그녀를 응시하기 위해 일부러 몸을 기대어 그녀를 따돌리려 했다.[3]패트릭은 버클리에서의 경험이 그녀가 정신적 강인함과 독립성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믿는다.[6]
그녀는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따내기 위해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에 진학했다.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박사학위가 필요하지는 않았지만, 그녀는 "항상 가능한 최고의 교육을 원했다"고 했고, "그렇게 하지 않고는 과정을 마치지 못했을 것 같다."[3] MIT는 미국에서 공학 공부를 위한 최고의 학교 중 한 곳이었다.[4][6]그녀는 또한 MIT가 이공계 흑인 학생들에게 더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MIT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들의 비율은 작지만, 미국의 다른 대학들보다 여전히 높았다.[4]패트릭은 거칠고 도전적인 분위기를 즐겼고, 일주일에 7일을 일하는 매우 헌신적인 학생이었다.[3]그녀는 열역학, 균질 핵, 열과 질량 전달을 연구했고, 연구 보조원으로 일했다.[4]그녀의 고문은 로버트 C였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열역학자인 레이드와 그녀의 논문 주제는 핵 현상을 다루었다.[3]그녀는 1979년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최초의 흑인 여성인 화학공학과 함께 졸업했다.[3][4]그녀의 논문의 제목은 "비이상 액체 혼합물과 순수 성분의 과열-한계 온도"[2]이다.그 안에서 그녀는 액체를 증기가 되지 않고 끓는 온도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과열도를 조사했다.그녀는 순수한 액체와 액체의 혼합물이 과열될 수 있는 온도를 연구했다.[7]
일
졸업 후 패트릭은 뉴욕주 쉐넥타디의 일반전기연구소에 입사해 3년 반 동안 연구 엔지니어로 일했다.그녀는 고압 분리 및 정화 기술인 초임계 유체 추출 기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4] 이 분야의 몇 안 되는 전문가 중 한 명이 되었다.[3]
그녀는 계속해서 새로운 최첨단 초임계 유체 추출 기술 프로그램을 이끌고 버지니아주 리치몬드에 있는 필립 모리스 연구 센터에서 시범 공장을 설계했다.그곳에서 그녀는 담배에서 맛과 정수를 추출하는 기술을 사용했다.[3]
1985년, 그녀는 펜실베이니아 브리스톨의 롬과 하스의 기초 화학 공학 연구 책임자가 되었고,[3] 초임계 유체 추출에 관한 연구 외에도 폴리머 과학과 에멀전 기술 연구에 참여하였다.그녀는 5년간 기술 및 경영 책임자로[4] 연구부장으로 일하며 롬과 하스에서의 그녀의 역할에 대해 말했다. 그녀는 "우리는 정말로 그들의 공장이 잘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두뇌 파워로 그들의 시설에서 공정 기술 측면에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3]
1990년, 그녀는 앨라배마 버밍햄의 Southern Company Services에서 부사장의 조수가 되었다. 그녀는 3년간[4][8]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패트릭은 렌셀라이어 폴리테크닉 연구소(1982–1985)[3]와 조지아 공과대학(1983–1987)에서 겸임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1993년에 그녀는 산업계에서 학계로 옮겨 화학공학과 교수로 투스케기 연구소로 복귀했고, 투스케기 대학 3M 에미넴 스콜라즈 석좌를 차지한 최초의 과학자로써 돌아왔다.[9]1993년부터 1997년까지 그녀는 과학과 공학에 관심이 있는 소수민족 학생들을 돕는 일에 적극적이었습니다.[4]투스케지 대학에서 그녀는 과학 분야 여학생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했다.[3]그녀는 학생들에게 적대적인 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전략을 가르쳤다.[8]그녀는 "성숙한 누군가에게 노출시키기 위해" 멘토에 개별적으로 선발한 우등생들과 기숙사에서 살았다.[3]그녀는 이렇게 설명했다. "여기 (투스케지에) 있으면 학생들의 삶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나는 그들을 가르치고 그들과 나의 많은 경험을 공유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들에게 희망적으로 미래가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통찰할 수 있게 해주었다."[4]
1997년 투스케지 대학을 나와 앨라배마주 버밍엄에 있는 레이시온 엔지니어 앤드 컨스트럭터스에서 3년간 기술 컨설턴트로 일하며 도시 아이들의 교육을 연구했다.[4][3]
패트릭은 자신의 경력에 대해 보여줄 만한 많은 출판물도 가지고 있지 않고, 산업계에서의 그녀의 경력과 관련된 정치에도 기인한다: "당신이 누구냐에 따라, 비록 당신의 생각이 혁명적일지라도, 그들은 그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보류할지도 모른다. (...) 그들은 그 일에 대해 결코 인정을 주지 않기 위해 그 결정을 내릴 수 있다."[3]
화학 산업에서 일하는 동안, 패트릭은 많은 화학 물질에 노출되었고, 이것은 그녀의 건강에 영향을 주었다.제네트 E와의 인터뷰에서.그녀는 "나는 화학 산업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내 면역 체계를 파괴하고 내 몸의 정상적인 기능을 파괴하는 극도로 독성이 강한 화학 물질에 노출되어 화학적으로 병이 났다"고 설명했다.패트릭은 2000년 은퇴한 이후 환경 웰니스 연구소를 설립하여 환경 위험에 대해 대중을 교육했다.[1][3]그녀는 조지아 주 피치트리 시에 교육 및 환경 솔루션을 설립했고, 여전히 그들을 위한 컨설팅을 하고 있다.[4]
수상
패트릭은 1980년 국립흑화학기술자협회(NOBCChE)로부터 이공계 우수 여성상을 받았다.[4][7]그녀는 미국 화학 기술자 협회, 시그마 자이, NOBCChE의 회원이다.[4]
1983년에 패트릭은 시바-게이지 예외적인 흑인 과학자들 포스터 프로그램에서 원리 역할을 했다.[3]
그녀는 1984년 투스케지 대학에서 명예 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3]같은 해 그녀는 100명의 흑인 여성 연합으로부터 캔디스상을 받았다.[10]
1987년 전국고등교육기회로부터 대통령 표창을 받았고, 1989년 세계 여성의 후예로 선정되었다.
그녀는 2000년에 미국 화학 기술자 협회로부터 윌리엄 W. 그라임즈 상을 받았고,[3][11] 2008년에는 미국 화학 기술자 협회의 화학 공학 상을 수상한 바 있다.[7]
사생활
그녀의 경력 동안 패트릭은 그녀의 일과 사생활과 가족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나는 항상 다른 무엇보다도 내 가족을 소중하게 여겼기 때문에, 만약 어떤 것이 순간적으로 뒤로 미뤄져야 한다면 그것은 내 경력이나 직장 상황이었다."[3]라고 설명했다.패트릭이 앨라배마주 버밍햄으로 다시 이사한 이유 중 하나는 나이든 부모님을 돌보기 위해서였다.[3]
패트릭은 의사이자 전직 화학 기술자였던 의사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이를 "아주 친한 친구"이자 "그냥 멋진 인간"이라고 묘사하고 있다.[3][4]은퇴 후 그녀는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조용한 시간'인 정원 가꾸기를 즐긴다.[4]
그녀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충고한다: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야 하고, 자기 자신에 대해 편안해야 하며, 자신을 사랑해야 하며, 자신을 존중해야 한다.그러면 다른 모든 것들은 부차적인 것이 된다.가능한 한 최고의 목표를 달성하되, 성과만으로 당신이 누구인지 정의하도록 내버려두지 마십시오.빨리 결정해라.물질적 사물이나 세계인식이 당신의 원동력이 되지 않도록 하라."[4]
참조
- ^ a b c d e "Jennie Patrick: Pioneering Chemical Engineer". HistoryMakers. April 10,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February 2017. Retrieved 8 February 2014.
- ^ a b c Smith, Jessie Carney (1996). Notable Black American women (1st ed.). Detroit: Gale Research. pp. 516–519. ISBN 081039177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제니 R. 패트릭, 제넷 E 인터뷰2006년 3월 30일 조지아 주 애틀랜타에서 브라운(Philadelphia:화학 유산 재단, 구술 역사 기록 # 0691).구술 역사 센터: https://oh.sciencehistory.org/oral-histories/patrick-jennie-r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Brown, Jeannette E. (2012). African American women chemist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742882.
- ^ Collins, Sibrina (8 March 2012). "Patrick, Jennie R. (1949–)". BlackPast.org Blog. Retrieved 8 February 2014.
- ^ a b c Collins, Sibrina (28 June 2002). "An Interview With Jennie Patrick". Science Careers. Retrieved 8 February 2014.
- ^ a b c Wayne, Tiffany K. (2011). American women of science since 1900. Santa Barbara, California: ABC-CLIO. pp. 743–745. ISBN 9781598841589.
- ^ a b Jordan, Diann, ed. (2006). Sisters in science: conversations with black women scientists about race, gender, and their passion for science. West Lafayette, Indiana: Purdue University Press. p. 164. ISBN 1557533865.
- ^ "About the College of Engineering". Tuskege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16. Retrieved 8 February 2014.
- ^ "Candace Award Recipients 1982-1990". National Coalition of 100 Black Women. p. 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4, 2003.
- ^ "Minority Affairs Committee's William W. Grimes Award for Excellence in Chemical Engineering". aiche.org.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2015. Retrieved February 1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