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리 솔츠

Jerry Saltz
제리 솔츠
Pulitzer2018-jerry-saltz-20180530-wp.jpg
태어난 (1951-02-19) 1951년 2월 19일 (70세)
미국 일리노이주 오크파크
직업언론인, 작가, 미술 평론가
교육시카고의 미술학원
기간1990년대-현재
주목할 만한 작품큰 소리로 보기: 1998-2003년 마을 목소리 예술 칼럼, 크게 내다보다
주목할 만한 상퓰리처상 비평상
배우자로베르타 스미스

제리 솔츠(Jerry Saltz, 1951년 2월 19일 일리노이 시카고 출생)는 미국의 미술 비평가다. 2006년부터 뉴욕 잡지의 수석 미술 평론가 겸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더 빌리지 보이스의 수석 미술 평론가로 활동했던 그는 2018년 퓰리처상을 받아 2001년과 2006년 이 상의 후보에 올랐다.[1] 솔츠는 비주얼 아트스쿨, 컬럼비아대, 예일대, 시카고 예술연구소와 뉴욕 스튜디오 레지던시 프로그램에서 방문 비평가로 활동했으며, 1995년 휘트니 비엔날레의 단독 고문이었다.

솔츠는 2008년[2] 시카고 미술학원, 2011년 캔자스 시립 미술원 등 3명의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3]

초년기

솔츠는 그의 아버지가 덱스터 핸드 재봉틀을 발명한 후 교외로 이주하기 전에 시카고의 도심에서 태어나 자랐다.[non-primary source needed] 그의 어머니는 그가 10살이었을 때 돌아가셨는데, 그가 시카고 예술 연구소로 기억에 남는 여행을 한 직후, "여기 있는 모든 것은 이야기를 말하고 있고, 여기 있는 모든 것은 코드를 가지고 있고, 언어가 있고, 나는 이 모든 언어를 배울 것이고, 나는 그 이야기를 알게 될 것이다."[4]라는 것을 발견했다. 는 유대인이다.[5][6]

솔츠는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시카고 미술 학원에 다녔다가 중퇴했다. 그는 26세에 뉴욕으로 이사하기 전에 그 도시에서 예술가가 운영하는 갤러리를 설립했다.[7]

예술 비평

2006년부터 솔츠는 뉴욕 잡지의 수석 미술 평론가 겸 칼럼니스트였다. The Village Voice의 수석 미술 비평가였던 그는 다른 미술 출판물들 중에서 미국의 미술, 플래시 아트 인터내셔널, 프리제, 모던 페인츠에도 기여했다.[1]

솔츠는 아트넷 매거진에 실린 기고문에서 "학습을 받았든 아니든 모든 위대한 현대 예술가들은 본질적으로 독학으로 미친 듯이 기술을 탈취하고 있다"고 자신의 견해를 성문화했다. 난 예술에 대한 기술을 찾지 않아...기술은 기술력과는 상관이 없다... 나는 기술을 재고하는 사람들, 그것을 재정의하거나 재구상하는 사람들, 즉 기술자, 말하자면 돌로 로켓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관심이 있다."[8] 2008년 솔츠는 "예술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과 실제로 말하고자 하는 것, 작품이 사회에 대해 드러내는 것, 그리고 살아 있는 시간이 없는 조건들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9]

솔츠는 미술 평론가가 되기 전인 41세까지 장거리 트럭 운전사였다.[10][11]

2003년 발간된 마을 목소리 칼럼 '큰 소리로 본다'에서 그는 자신을 피터 플래겐스가 '골리'라고 부르는 비평가로 생각한다고 말했다.[12]

솔츠는 매니 파버의 "테마이트 아트"와 조안 디디온의 "바빌론"뿐만 아니라 예술계에 대한 다른 광범위한 체계적 은유들을 인용했다. 비록 그는 예술 시장을 옹호했지만, "예술계는 젊음을 먹는다"[13]고 말하면서 유행하는 시장 행동과 젊은이들에 대한 페티시라고 불리기도 한다.

2007년 2월 대학미술협회 패널에서 솔츠는 "우리는 위키피디아 미술계에 살고 있다. 20년 전만 해도 백과사전은 4~5개밖에 없었으며, 나는 그들에 들어가려고 노력했다. 이제, 모든 글은 위키피디아에 있다. 몇몇 출품작들은 가짜고, 몇몇 출품작들은 최고다. 우리는 열린 예술의 세계에 살고 있다."

그의 유머, 불손함, 자기비하, 관용성이 그를 예술계의 로드니 위험 영역이라고 부르도록 만들었다.[14] 그는 예술 비평가들이 예술가의 직업 성공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취향 제공자로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표시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트리뷰는 그를 2009년 파워 100 리스트에서 예술계에서 73번째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했다.[14]

2007년에는 대학미술협회로부터 미술비평을 받아 프랭크 유젯 매더상을 받았다.[15]

솔츠는 2018년 인터뷰에서 "오늘까지 일찍 일어나 책상에 올라가 거의 즉시 글을 써야 한다. 빠른 걸 말하는 거야. 악마들이 날 잡기 전에 말이야 난 글씨를 써야 해. 그리고 거의 모든 것을 쓰고 나면, 하루 종일 거의 글을 쓸 것이고, 책상을 떠나지 않고, 다른 삶이 없다. 쇼 보러 갈 때 외에는 세상 사람이 아니다고 말했다.[16]

페이스북을 통한 독자와의 대화

솔츠는 2020년 12월 9만4039명이었던 그의 친구들 청중에게 매일 질문과 글을 올리면서 다른 많은 미술 평론가들보다 페이스북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그는 미술 비평가들을 예술가들과 일반 미술관 관객들에게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그의 게시물은 뉴욕 매거진이나 vulture.com에 기고한 글에 비해 세련되고 절제력이 약하며 가족간의 비극, 경력단절, 식생활 등 개인적인 문제들을 공유해왔다. 그는 뉴욕 옵저버에게 "5천 명과 함께 이 방에 있다는 것은 흥분되는 일이다. 내겐 시더바나 맥스의 캔자스시티 같은 곳이야."[17]

그는 자신이 '순수 경찰'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진지함'의 추종자들과 논쟁을 벌이며 자신의 페이지를 이용해 예술에 아이러니를 사용하는 것을 옹호해 왔다.[18]

2010년, 예술가 제니퍼 달튼은 솔츠와 그의 온라인 친구들의 페이스북 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What Are We Not Cutch Up About?"이라는 작품을 뉴욕의 플래그 재단에 전시했다.[19] 달튼은 아르틴포와의 인터뷰에서 이 작품에 대해 "제리 솔츠의 페이스북 페이지는 서면대화의 놀라운 사이트로, 즉석에서 문화가 만들어지는 곳으로 관심을 갖게 됐다. 내 작품과 제리 솔츠의 페이스북 페이지 자체는 예술계의 많은 사람들이 대화와 공동체를 갈망하고 있으며, 공간이 충분한 사람들을 환영할 때 정말로 거기에 몰려든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20]

2010년 솔츠는 자신의 페이스북 친구들에게 아트 스튜디오(또는 사무실) 문간판에 대해 물어본 후, 그 응답을 컴파일할 사람을 구했다. 그 결과 솔츠와 그의 페이지 팔로워 수십 명이 인용한 책이 나왔다: Jerry Saltz Art 비평가의 팬들, 친구들, 그리고 부족들이 리얼 라이프나 판타지의 아트 스튜디오 문을 제안했다. ISBN978-0-9798261-0-8).[21]

솔츠는 2015년 페이스북에서 사용자로부터 자극적인 게시물에 대한 불만을 접수한 뒤 잠시 중단됐다.[22][23]

텔레비전 성격으로서의 미술 평론가

솔츠는 브라보 TV 시리즈인 "워크 오브 아트"에서 심사위원으로 일했다. 2010년 6월 9일부터 2011년 12월 21일까지 공연된 넥스트 그레이트 아티스트.

수상

솔츠는 2018년 비판의 퓰리처상을 받았고 2001년과 2006년 이 상의 후보에 올랐다.

솔츠는 2008년[2] 시카고 미술학원, 2011년 캔자스 시립 미술원 등 3명의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3]

사생활

솔츠는 뉴욕 타임즈의 공동 예술 평론가인 아내 로베르타 스미스와 함께 뉴욕에 살고 있다. 그들은 1992년에 결혼했다.[24]

책들

  • 솔츠, 제리. 큰 소리로 보기: The Village Voice Art Columns, 1998-2003. GT 배링턴: 그림, 2003; 2007; 410 페이지 (페이퍼백), ISBN 978-1-930589-17-9.
  • 솔츠, 제리. 더 크게 보는 것. 허드슨 힐즈 프레스 LLC, 2009; 420 페이지. (하드커버), ISBN 978-1-55595-318-8.
  • 솔츠, 제리. 경계 너머: 뉴욕의 New Art. 1986; 128 pp. ISBN 978-0-912383-31-6[25]
  • 솔츠, 제리. 예술가가 되는 방법. 2020; 144 페이지 ISBN 9780593086469[26]

참조

  1. ^ a b 파르미게니, 산드로 (2011년 2월) "일 90% 델라르테 에페시마, 9% 부나, 1% 파블로사 (e favolosa, e forse restera)" (이탈리아 의 이탈리아어판 검토). 일지오르날레 델라르테. 306호. ilgiornaledellarte.com. 2018-07-20을 회수했다.
  2. ^ a b "Past Speakers and Honorary Degree Recipients".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Retrieved January 18, 2019.
  3. ^ a b "Jerry Saltz gets his third honorary Ph.D. - artnet Magazine". artnet.com. Retrieved January 18, 2019.
  4. ^ "Jerry Saltz with Jarrett Earnest". The Brooklyn Rail. June 2017. Retrieved January 18, 2019.
  5. ^ @jerrysaltz (January 23, 2018). "And as a Jew I ask, what is your point? And what should be done? Fire them? Have 51% of the employees be women be…" (Tweet) – via Twitter.
  6. ^ https://www.vulture.com/2020/05/jerry-saltz-my-appetites.html
  7. ^ Sandler, Irving (September 12, 2012). "Jerry Saltz with Irving Sandler". brooklynrail.org. Brooklyn Rail. Retrieved September 12, 2016.
  8. ^ 2005년 12월 20일 솔츠, 제리, "Seeing Out Loud," www.artnet.com. 2015-10-01 검색됨
  9. ^ 손튼, 사라. 예술계의 7일. 뉴욕: W. W. Norton & Company. 2008. (174–75)
  10. ^ 파르시, 노비드 "제리 솔츠: 인터뷰" 시간 초과: 시카고 2010년 5월 27일.
  11. ^ "'You Will Be Poor… Accept It': 11 Pieces of Advice for Struggling Artists From Pulitzer Prize Winner Jerry Saltz". artnet News. May 4, 2018. Retrieved January 18, 2019.
  12. ^ 솔츠, 제리. 큰 소리로 보기: 마을 음성 예술 칼럼 1998년 가을 - 2003년 겨울 더 피겨스. 2003 (20–21).
  13. ^ 솔츠, 제리. "바빌론 콜링" 아트넷 매거진. 2000년 9월 13일
  14. ^ a b 해리슨, 헬렌 A. "예술가들은 존경을 받지 않는다" 사그 하버 익스프레스. 2010년 8월 7일. 2015-10-01 검색됨
  15. ^ "Awards". The College Art Association. Retrieved October 11, 2010.
  16. ^ "Longform Podcast #311: Jerry Saltz · Longform". Longform. Retrieved January 18, 2019.
  17. ^ 네이파크, 레온 '제리 솔츠의 많은 친구들' 뉴욕 옵저버. 2010년 2월 16일.
  18. ^ 버틀러, 샤론 L. "페이스북의 아트 월드:프라이머" 브루클린 레일. 2009년 3월.
  19. ^ 존슨, 켄 "아트 리뷰: 제니퍼 달튼메이킹 센스" 뉴욕 타임즈. 2010년 8월 13일.
  20. ^ "제리 솔츠의 페이스북 페이지로부터 예술을 만든 제니퍼 달튼" 아르틴포. 2010년 7월 7일.
  21. ^ "아트 스튜디오 도어 사인북 온라인 프리뷰 포털"
  22. ^ "Jerry Saltz, New York Magazine Art Critic, Suspended From Facebook". New York Times. New York, NY. March 4, 2015. Retrieved February 5, 2017.
  23. ^ "Jerry Saltz on His (Brief) Exile From Facebook, and the Virtues of Medieval Torture Porn". Artspace. Retrieved September 18, 2018.
  24. ^ "Jerry Saltz and the Future of the Critic-Artist". artnet News. December 9, 2016. Retrieved March 18, 2018.
  25. ^ "Beyond Boundaries New Yorks New Art Jerry Saltz Author Van Der Marck Editions". publishersweekly.com. Retrieved January 18, 2019.
  26. ^ "How to Be an Artist by Jerry Saltz: 9780593086469 PenguinRandomHouse.com: Books". PenguinRandomhouse.com. Retrieved October 30,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