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스만개구리
Jervis Bay tree frog저비스만개구리 |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양서류 |
주문: | 아누라 |
패밀리: | 히리스과 |
속: | 리토리아 |
종류: | 저비시엔시스 |
이항명 | |
리토리아저비시엔시스 | |
저비스만개구리 분포 | |
동의어 | |
|
냄새 때문에 카레 개구리로도 알려진 저비스 베이 나무 개구리는 뉴사우스웨일스 동부 해안의 왈룸 습지와 관련된 호주 개구리의 한 종류로 퀸즐랜드 국경에서 빅토리아 동부에 걸쳐 분포한다.
묘사
이것은 길이가 55mm에 이르는 적당한 크기의 나무 개구리다.등쪽은 보통 갈색이며, 눈 사이부터 통풍구까지 등에 큰 이중 띠가 있다. 이 띠는 일부 표본에서 불분명할 수 있다.그것은 코에서 시작해서 팔의 밑부분에서 끝나는 어두운 띠를 가지고 있다.겨드랑이는 노란색이고 허벅지는 주황색이다.홍채는 금갈색이다.발가락 디스크는 크고 발가락에 물갈퀴가 있다.
분류법
1994년까지, 이 종은 히스 개구리인 Litoria littlejohni와 구별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다.히스 개구리는 크기가 더 크고 겨드랑이에 노란색 대신 주황색을 띠고 있다.
생태 및 행동
이 종의 개구리는 해안 습지, 특히 월럼 습지와 강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수컷들은 보통 비가 온 후에 시원한 달을 운다.콜은 3노트의 '위프위프'입니다.번식은 더 크고 영구적인 수역에서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Frank Lemckert, Murray Littlejohn, Graeme Gillespie, Peter Robertson (2004). "Litoria jervisiensi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4: e.T41035A10391824. doi:10.2305/IUCN.UK.2004.RLTS.T41035A10391824.en. Retrieved 11 November 2021.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프랭크 Lemckert, 머레이 Littlejohn, 그레미 길레스피, 피터 로버트슨(2004년)."Litoria jervisiensis".IUCN의.2004년:e.T41035A10391824.doi:10.2305/IUCN.UK.2004.RLTS.T41035A10391824.en.11월 11일 2021년 Retrieved.(링크)데이터베이스 항목 왜 이 종 이상의 다양한 지도와 간단한 정당성을 포함한다{{ 들고 일기}}:CS1 maint:복수의 이름:작가들을 열거한다.
- Anstis, M. 2002호주 남동부의 올챙이.리드 뉴 홀랜드:시드니.
- 로빈슨, M. 2002호주의 개구리 필드 가이드.호주 박물관/레드 뉴 홀랜드:시드니.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의 Litoria jervisiensis 관련 매체
Wikis 종의 Litoria jervisiensis 관련 데이터
- 개구리 호주 네트워크– 개구리 콜 사운드 클립은 이쪽에서 입수할 수 있습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개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