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 M. 킹

Jessie M. King
제시 마리온 킹
Jessie Marion King.jpg
태어난
제시 마리온 킹

(1875-03-20)1875년 3월 20일
죽은1949년 8월 3일 (1949-08-03) (74세)
국적스코틀랜드의
교육글래스고 미술학교
로 알려져 있다.그림, 디자인
움직임아르누보, 글래스고 스타일, 상징성
배우자E. A. 테일러

제시 마리온 킹(Jesse Marion King, 1875년 3월 20일 ~ 1949년 8월 3일)은 삽화가 된 어린이 책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일러스트레이터였다.[1]그녀는 또한 책꽂이, 보석, 직물을 디자인하고 도자기를 칠했다.킹은 글래스고걸로 알려진 예술가들 중 한 명이었다.[2]

조기생활과 교육

킹은 글래스고 인근 던바튼셔주 베어스덴의 만세 뉴킬패트릭에서 태어났다.[3]그녀의 아버지는 스코틀랜드 교회의 목사인 제임스 와트너스 킹이었고, 어머니는 메리 앤 앤 앤더슨이었다.그녀는 엄격한 종교 교육을 받았고 예술가가 되는 것을 낙담했다.킹은 아주 어렸을 때 어머니가 그 그림을 찢어버릴까 봐 학교에서 만든 그림을 숨겼었다.[4]가정주부 메리 맥냅은 형성적인 영향을 끼쳤고, 킹에 의해 두 번째 어머니로 여겨졌다.[5]킹은 그녀가 산비탈에서 잠들었을 때 10대 때 아르길에서 영적인 경험을 했고, 요정의 손길을 느꼈고, 그녀의 존재는 계속 믿었다.[6]

제시 M. 킹은 1891년 퀸 마거릿 칼리지(Glasgow)에서 미술 교사로 훈련을 받기 시작했다.1892년 그녀는 글래스고 미술학교에 입학했다.학생 시절 전국대회 첫 은메달인 사우스켄싱턴(1898년)을 비롯해 다수의 상을 받았다.

직업과 일

1913년 12월 15일 발행된 The Studio의 크리스마스 부록에서 제시 M. King의 삽화

킹은 1899년 글래스고 미술학교에서 책 장식과 디자인 과외선생님이 되었다.그녀는 E. A.와의 결혼 때까지 계속 가르쳤다. 1908년 테일러는 그녀의 처녀적 이름을 지키기 위해 곡식을 거슬러서 선택했다.[2]

킹은 그 시대의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았으며,[7] 그녀의 작품은 글래스고 포의 작품과 분위기에 맞는다.아르누보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말 그대로 현실 세계를 번역하지 않는 독특한 디자인을 창조하도록 영감을 받았다."나는 디자인을 베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그녀가 말했으나, "내 머리 속에서 그림을 그리기를 고집했다."[2]초기 기간 동안, 그녀는 송아지 고기 위에 펜과 잉크 그림을 자세히 만들었다.[4]

킹의 초기 작품들은 대부분 삽화가 포함되었지만, 그녀는 또한 책을 썼고 숙련된 보석 디자이너였다.[2]그녀의 첫 번째 출판된 디자인들과 몇몇 사람들은 그녀가 가장 훌륭한 작품들이 1899년에서 1902년 사이에 베를린 글로부스 베라크에 의해 출판된 책 표지를 위한 것이라고 믿는다.출판사는 베를린의 위대한 백화점 베르테임의 자회사였다.게오르크 베르테임 출판사는 그녀가 "새로운 스코틀랜드 스타일"[2]의 다양한 아이템을 디자인하기를 원했다. 1907-1924년에 그녀는 에든버러 회사인 T. N. 파울리스에 의해 출판된 20권 이상의 책을 삽화했다.[8]그녀는 100권 이상의 책과 다른 출판물의 표지를 삽화, 집필, 장식 또는 디자인했다.[8][9]

그녀는 1902년에 독일이탈리아순회했고 보티첼리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같은 해 토리노에서 열린 국제 현대 장식 미술 전시회에서 "L'Evangile de L'Enfance"의 그녀의 제본은 금메달을 받았다.동행 증서는 '시그노라'가 수상할 상금에 대한 규정이 없어 '시그너 제시 마리온 킹'에게 제작됐다.[10]킹은 글래스고 미술가 협회(1903)의 위원이 되었고 글래스고 미술가 협회(1905)의 회원이 되었다.아르누보에 대한 그녀의 기여는 그녀의 첫 전시회인 글래스고의 아난 갤러리와 런던의 브루턴 스트리트 갤러리(1905)에서 정점을 찍었다.

1908년 킹과 그녀의 남편은 그들의 외동딸인 메를 엘스페스(1909~1985)가 1909년에 태어난 살포드로 이사했다. 메리 맥나브는 그 집에 합류했고, 이것은 킹이 계속 일할 수 있게 했다.[3][5]이 커플은 아르란 섬에서 신혼여행을 갔고 그곳에서 하이 코리에 있는 오두막을 빌려서 여름의 회화와 스케치 학교를 운영하게 된다.[11]1910년에 그들은 테일러가 어니스트 퍼시벌 튜더-하트 스튜디오에서 교수직을 얻은 파리로 옮겨갔다.1911년 킹과 테일러는 파리에 쉴링 아틀리에 학교를 열었다.이 기간 동안 킹은 드레스와 디아길레프의 발레 루스[12] 파리에서 그녀의 작품들을 위한 세트 디자인에서 레온 박스트가 소개한 새로운 색깔들과 마주쳤다.킹과 테일러는 1915년 커크커드브라이트로 이주하여 그녀가 죽을 때까지 그곳에서 계속 일했다.

킹은 또한 도자기를 장식하고 바틱과 함께 일했는데, 이것은 그녀가 자유의 여신상에 소개한 공로로 인정받고 있다.[10]1924년에 그녀는 "제시 M. 킹이 쓰고 삽화를 그린 바틱에 관한 브로셔"[13]라는 "신데렐라가 무도회에 갈 수 있었던 방법"을 출판했다.

킹은 1949년 8월 3일 심장마비로 인해 커스터브라이트 자택에서 사망했다.그녀는 커크커드브라이트에서 화장되었고 그녀의 유골은 메리 맥나브가 묻힌 교회의 아르기엘 주 미나드에 뿌려졌다.[3][9]

갤러리

참조

  1. ^ Taylor, John Russell (1 December 2004). "Real Page Turners". Times (United Kingdom). Retrieved 24 February 2015.
  2. ^ a b c d e Burkhauser, Jude (1993). "Jessie M. King (1875–1949)". Glasgow Girls: Women in Art and Design 1880-1920. Edinburgh: Canongate Press, Plc. pp. 132–139. ISBN 0963698508.
  3. ^ a b c Marsh, Jan (2004). "King [married name Taylor], Jessie Marion (1875–1949), illustrator and designer".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38944. Retrieved 14 February 2020.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4. ^ a b Ortakales, Denise (2002). "Jessie M. King". Women Children's Book Illustrato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07. Retrieved 24 February 2015.
  5. ^ a b "King, Jessie M.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d.lib.rochester.edu. Retrieved 14 February 2020.
  6. ^ King, Jessie M. (1984). The City of the West. Foreword by Anne Barren Skipwith. Polygon. ISBN 0904919862.
  7. ^ Murdoch, W.G. Blaikie (December 1917), "British Illustrators", The American Magazine of Art, 9 (2): 54, JSTOR 23935248, And it is [Aubrey Beardsley's] work in this lapidarian manner which has proved influential to Miss Jessie King and to Miss Annie French, whose craftsmanship, in various of her little pictures for old ballads, has a charm making every particle claim microscopic study.
  8. ^ a b "Jessie M. King: Scottish Book Illustrator : Textualities". Retrieved 14 February 2020.
  9. ^ a b "King, Jessie M.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d.lib.rochester.edu. Retrieved 14 February 2020.
  10. ^ a b Macmillan, Duncan (28 July 1999). "King's Evidence". The Scotsman. ProQuest 326710597.
  11. ^ "Jessie M King Mapping Memorials to Women in Scotland". womenofscotland.org.uk. Retrieved 5 November 2020.
  12. ^ 켈러, 브이, 파커, 지오프(ed.), 첸크라스투스 23번, 1986년 여름, 페이지 28 - 33, ISSN 0264-0856
  13. ^ ""Contents of How Cinderella Was Able To Go to The Ball."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d.lib.rochester.edu. Retrieved 14 February 2020.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