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아힘 3세
Joachim III of Bulgaria요아힘 3세 | |
---|---|
불가리아의 총대주교 | |
교회 | 불가리아 정교회 |
설치된. | c. 1282년 |
기간이 종료됨 | 1300 |
전임자 | 마카리우스 |
후계자 | 도로테우스 |
개인내역 | |
국적 | 불가리아어 |
디노미네이션 | 동방 정교회 |
요아힘 3세(불가리아어: иам III)는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이 조지 테르터 1세, 스마일츠, 차카 황제의 치세에 있어 가장 낮은 쇠퇴점에 도달한 1282년부터 1300년 사이에 불가리아 정교회의 총대주교였다.그는 1300년 황제 테오도르 스베토슬라브에 의해 반역죄로 처형되었다.교회는 그의 유죄를 인정하지 않았고 그의 이름이 《보릴의 서》의 불가리아 총대주교 명단에 포함되었다.그의 자리는 불가리아의 수도 타르노보였다.
초기 경력
1272년과 1274년 사이에 요아힘은 1054년 이후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를 양분했던 대슈교를 종식시키기 위해 비잔틴 황제 마이클 8세 팔래올로고스에 대한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제안을 논의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한 불가리아 사절단에 포함되었다.콘스탄티노플에서 요아힘은 서방 대표단 단장인 미래의 교황 니콜라스 4세와 접촉을 맺었고, 처음에는 두 교회 사이의 연합을 지지하는 쪽으로 기울었을 가능성이 높다.[1]그러나 불가리아 황후-고문 마리아 팔라이올로기나 칸타쿠제네(재위 1269–1279)는 마이클 8세의 조카로 삼촌과 평생 불화를 겪으며 가톨릭과 교섭하려는 성향이 있는 비잔틴인에 대해 교회가 반대할 것을 촉구했다.[2]1204년 콘스탄티노플이 제4차 십자군의 군대에 함락된 이후부터 스스로를 정통 기독교의 중심지라고 여겼던 불가리아 정교회는 제안된 연합과 비잔티움인들의 양보를 위한 명백한 의지에 강하게 반대했다.당시 불가리아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는 "정교의 기둥"[2]이라고 불렸다.요아힘이 교회 서열에서 급부상한 것을 설명하는 불가리아 총대주교 자리에 충성을 다한 것으로 보인다.[1]
총대주교
요아힘 3세는 황제 조지 테르터 1세(재위 1280–1292)의 통치 초기에 즉위하였다.그러나 그 직후 요아힘 3세는 첫 번째 부인 마리아 테터가 아직 살아 있다는 이유로 키라 마리아와의 황제의 재혼을 인정하지 않았다.[1][a]1279년 조지 테터가 마리아와 이혼한 후 그는 그녀와 그의 첫 아들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를 비잔틴 제국에 인질로 보냈다.[3][4]총대주교는 1282년 비잔틴 포로생활에서 돌아온 키라 마리아를 버리고 첫 아내와 재혼하는 것을 인정할 때까지 조지 테터 1세를 교회 성찬식에 허락하지 않았다.[1]
1285년 요아힘 3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파견되어 여전히 인질로 남아 있는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를 해방시켰다.어려운 협상 끝에 총대주교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그 대가로 그는 테오도어 스베토슬라브에게 비잔틴 메가스 층계 존 시나데노스의 딸과 약혼하기로 동의했다.[1][5][6]
1291년 교황 니콜라스 4세는 3월 23일자 요아힘 3세에게 편지를 보내 불가리아 총대주교에게 옛 우정을 상기시키고 로마교회에 가입할 것을 촉구했다.[1]교황은 또 불가리아가 로마의 권위에 복귀하는 것을 보고 싶다는 서한을 조지 테르 1세에게 보내 1205년 칼로얀 황제 치세 때 체결된 불가리아와 로마의 연합을 암시했다.약간의 망설임에도 불구하고 요아힘 3세는 이 문제에 대해 불가리아 정교회의 확고한 입장을 견지했고 교황의 주도권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7]
요아힘 3세의 재임은 몽골의 위협이 불가리아 사회의 모든 단계에서 만연했던 불가리아 국가에게 매우 어려운 시기와 겹쳤다.비록 조지 테르터 1세가 몽골 황금 호드의 신하가 되어 1285년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에게 인질로 보내야만 했지만, 파괴적인 몽고의 습격은 계속되었다.몽골인과 그들의 지도자 노가이 칸과 대결할 수 없었던 그는 1292년 왕위를 버리고 비잔틴 제국으로 도망쳤다.[8]1292년 요아힘 3세는 발칸 산맥과 스레드나 고라 사이에 광대한 토지를 소유한 영향력 있는 거물 스마일츠(r. 1292–1298) 황제로 즉위했다.[9]1299년 노가이 칸의 아들 몽고 차카에게 왕관을 씌웠는데, 그는 황금 호드에서의 내전으로 테오도르 스베토슬라브와 함께 타르노보로 도망쳤다.[10][11]
죽음
1300년까지 테오도르 스베토슬라브들은 귀족들의 지지를 모아 인기 없는 차카를 퇴위시켰다.차카는 목이 졸려 머리가 황금 호데 토크타의 칸에게 보내졌다.[12]그가 왕위에 오르자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는 모든 반대파를 다루기 위해 무자비하게 행동했다.요아힘 3세는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에게 "요아힘 3세가 자신을 몽골에 넘겨주길 원한다고 오랫동안 의심해왔기 때문에 반역죄로 기소되었다.[13][14]총대주교는 사형을 선고받고 차레베츠 성벽에서 얀트라 강 협곡으로 던져졌다.[7][13][15][16]
이전에 비잔틴 포로로부터 테오도르 스베토슬라브를 구했던 요아힘 3세의 처형 이유가 완전히 명확하지는 않다.역사학자 이반 보질로프와 바실 규젤레프는 총대주교가 1285년 몽골의 침략에 책임이 있는 고위 인사들 중 한 명이라고 추측하고 있으며, 그 후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는 황금 호드에 인질을 보내야 했다.[14]존 반 앤트워프 파인 주니어는 이 배반 혐의가 스마일츠가 조지 테터 1세를 전복시켰던 불명확한 시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16]또 다른 사람들은 이번 평결이 새 황제가 젊은 시절의 고난에 책임이 있다고 여겼던 사람들에게 개인적인 보복을 구하고자 한 의욕의 결과라고 생각한다.[15]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의 행동이 흔들리는 황실의 권위를 공고히 하고 그의 길고 성공적인 통치를 위한 길을 닦았다는 데 동의한다.[14]불가리아는 1300년에서 1321년 사이에 번창했다; 몽골의 간섭은 처리되었고 심지어 그 나라는 황금 호르드에서 베사라비아를 되찾기까지 했다.[14][17]
불가리아 정교회는 요아힘 3세에 대한 기소에 단호히 반대하고 황제의 행동을 개인적인 복수라고 여겼다.그것은 보릴책에 보존되어 있는 총대주교 명단에 그의 이름을 포함시켰고, 그를 재판부에 언급하였다.그의 명예에 찬 리타니들은 요아힘 3세가 교회에서 존경으로 기억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15]그는 집권 군주에 의해 처형된 두 번째 불가리아 총대주교로 이반 아센 2세(재위 1218–1241)가 세 번째 결혼을 축복하기를 거부한 후 비난한 바 있다.[18]
각주
메모들
^a: 조지 테르터는 이바일로 봉기로 인한 혼란 중에 동생 이반 아센 3세가 비잔틴 지지로 불가리아 왕관을 점령한 후 1279년 키라 마리아와 결혼했다.결국 이반 아센 3세는 왕위에서 쫓겨났고 조지 테터는 그의 대신 황제로 추대되었다.[3]
참조
- ^ a b c d e f g 안드리프, 라자로프 & 파블로프 2012, 페이지 319
- ^ a b 즐라타르스키 1972년 535페이지
- ^ a b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235
- ^ 화창한 1987년, 페이지 225
- ^ 화창한 1987 페이지 227
- ^ 폴미스 1968, 페이지 179
- ^ a b "Patriarchs of Tarnovo". Official site of the Bulgarian Orthodox Church (in Bulgar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rch 2016. Retrieved 12 June 2016.
- ^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238
- ^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241
- ^ 안드리프, 라자로프 & 파블로프 2012, 페이지 319–320
- ^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243
- ^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246–247
- ^ a b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247
- ^ a b c d 보질로프 & 규젤레프 1999, 페이지 543
- ^ a b c 안드리프, 라자로프 & 파블로프 2012, 페이지 320
- ^ a b 맑음 1987 페이지 228
- ^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247–248
- ^ 안드리프, 라자로프 & 파블로프 2012, 페이지 114
원천
- Андреев (Andreev), Йордан (Jordan); Лалков (Lalkov), Милчо (Milcho) (1996). Българските ханове и царе (The Bulgarian Khans and Tsars) (in Bulgarian). Велико Търново (Veliko Tarnovo): Абагар (Abagar). ISBN 954-427-216-X.
- Андреев (Andreev), Йордан (Jordan); Лазаров (Lazarov), Иван (Ivan); Павлов (Pavlov), Пламен (Plamen) (2012). Кой кой е в средновековна България [Who is Who in Medieval Bulgaria] (in Bulgarian). Изток Запад (Iztok Zapad). ISBN 978-619-152-012-1.
- Божилов (Bozhilov), Иван (Ivan); Гюзелев (Gyuzelev), Васил (Vasil) (1999). История на средновековна България VII–XIV век (History of Medieval Bulgaria VII–XIV centuries) (in Bulgarian). София (Sofia): Анубис (Anubis). ISBN 954-426-204-0.
- Fine, J. (1987).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0-472-10079-3.
- Polemis, Demetrios I. (1968). The Doukai: A Contribution to Byzantine Prosopography. London, United Kingdom: The Athlone Press.
- Златарски (Zlatarski), Васил (Vasil) (1972) [1940].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държава през Средните векове. Том III. Второ българско царство. България при Асеневци (1185–1280). (History of the Bulgarian state in the Middle Ages. Volume III. Second Bulgarian Empire. Bulgaria under the Asen Dynasty (1185–1280)) (in Bulgarian) (2 ed.). София (Sofia): Наука и изкуство (Nauka i izkustv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