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앤 베일리 윌슨

Joan Bailey-Wilson
조앤 베일리 윌슨
Joan Bailey-Wilson.png
태어난1953년 (68~69세)
모교웨스턴 메릴랜드 대학교 (B.A.)
인디애나 의과대학(박사)
배우자
아이들.2
과학 경력
필드통계유전학
기관뉴올리언스 루이지애나 의료 센터
국립 인간 게놈연구소
박사학위 자문위원조 C. 크리스찬
영향로버트 엘스턴
로버트 누스바움

조안 엘렌 베일리 윌슨(Joan Ellen Bailey-Wilson, 1953년 출생)은 미국의 통계 유전학자다.그녀는 국립 인간 게놈 연구소의 계산 및 통계 게놈 분과의 선임 연구자 겸 공동 책임자다.

교육

베일리 윌슨은 1981년C의 지시로 인디애나대 의과대학에서 생체역학 부전공으로 의학유전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기독교의그녀는 루이지애나 주립대학 의학 센터의 생물측정학과에서 로버트 엘스턴과 함께 박사후 훈련을 마쳤다.[1]

경력

베일리 윌슨은 1995년 국립보건원에 입사하기 전 뉴올리언스의 루이지애나 메디컬 센터에서 교수가 되었다.2006년 유전병연구부 공동지부장에 임명됐고 2014년 국립인간 게놈연구소 전산통계유전체학부 공동지부장에 올랐다.[1]그녀의 연구 프로그램은 다양한 복잡한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위험 요소와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베일리 윌슨은 통계유전학과 유전역학을 전문으로 하며 특히 폐암, 전립선암, 눈병, 자폐증, 구강절개술의 위험요인에 관심이 많다.[2]

그녀는 암 가족 등록 CFRCCS 자문 위원회, 국립 사법 연구소 및 유전자 분석 연구 자문 위원회, 세계 무역 센터 친족 및 데이터 분석 위원회를 포함한 많은 과학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했다.그녀는 또한 IGES 대통령 당선자, 대통령 및 과거 대통령(2006-2008)으로 국제유전역학회(IGES) 이사회의 위원(1999-2001)을 역임했으며 IGES 윤리, 법률 및 사회 이슈 위원회의 의장을 역임했다.[1]

리서치

2002년 베일리 윌슨이야

베일리 윌슨은 폐암, 전립선암, 근시 및 기타 눈병, 자폐증과 구순구개열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있다.통계 유전학 교육을 받은 그녀는 복잡한 질병의 유전학을 이해하고 유전자와 환경이 질병 인과관계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분리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관심이 있다.그녀는 폐암에 특히 관심을 가져왔는데, 그 때인 1980년대 초, 극소수의 과학자들이 폐암에 유전적 연관성이 있다고 믿었던 시기였다.오늘날, 훨씬 더 많은 데이터는 특정 흡연자의 폐암 발병 위험을 극적으로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에 대한 민감성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베일리 윌슨 등은 최근 '폐암 컨소시엄의 유전역학(GELCC)'이라는 공동 연구를 통해 잠재적 폐암 유전자의 위치를 6번 염색체 영역으로 좁혔고, RGS17은 고도로 집적된 폐암에서 폐암 위험과 연관성을 보여주는 이 영역의 종양 억제 유전자임을 보여줬다.가족들그녀의 협력자들과 함께, 그녀는 추가적인 폐암 취약성 위치의 인과 변형을 찾기 위해 GELCC의 고도로 통합된 폐암 가족 세트, 그들의 가족-역사-긍정적 사례, 그리고 연령-성별-흡연 일치 대조에서 조밀한 유전자형 패널과 차세대 DNA 염기서열을 사용하고 있다.[1]

베일리 윌슨은 다른 암 관련 유전자를 찾기 위해 비슷한 접근법을 사용해 왔다.예를 들어, 그녀와 그녀의 협력자들은 전립선암과 관련된 유전자가 염색체 1, 8, 17, X의 특정 부위에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표했다.이러한 발견이 복제되었고, 전립선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이는 희귀 변형을 가진 후보 유전자 3개가 복제되었는데, 리보누클리스 L을 인코딩하는 RNASEL(HPC1)과 대식세포 스캐빈저 수용체 1을 인코딩하는 MSRI, 홈박스 B13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HOXB13이다.베일리 윌슨은 현재 진행 중인 연구에서 이러한 암과 다른 암에 대한 추가적인 민감성 유전자를 식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현재 그녀는 전립선암 유전학을 위한 국제 컨소시엄과 함께 전립선암 가족력이 강한 가족들에 대한 전체 연구 결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ICPCG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족 연구의 통계학자로 활동하고 있다.[1]

베일리 윌슨은 또한 이러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도구를 시리아 아랍 공화국(가족당 2~17명의 영향을 받는 개인)의 고도로 통합된 비증상 구강 구강 구강 구강 구강 구강 구강 구강 구강 구강 가족 연구와 일련의 다세대 자폐증 스펙트럼 질병 가족 연구에도 적용하고 있다.자폐증 연구에서, 자폐증을 가진 아이 중 적어도 한 명이 비정상적인 콜레스테롤 수치를 가지고 있는 가정의 부분집합은 특히 흥미롭다.[1]

베일리 윌슨은 유전자 표지를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계산법을 개발하고 시험한다.그녀의 그룹은 특히 기계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질병의 위험에 제한적이거나 한계적인 영향은 없지만 강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인과 변종(다른 유전적 변종 또는 환경적 위험 요소와의 상호작용)을 탐지하는 데 관심이 있다.그녀는 또한 유전적 상호작용 시험과 기계학습 방법에 대한 연결불균형 또는 밀접하게 간격을 두고 있는 로키의 비랜덤 연관성의 영향을 다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연결 불균형은 두 loci가 염색체에서 매우 가까이 있을 때 두 loci 사이의 재조합 빈도가 낮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두 개의 위치가 가까울수록, 그들은 더 많은 연관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따라서 불과 100kb 떨어져 있는 마커는 100~5,000kb 떨어져 있는 마커보다 훨씬 더 큰 연관성을 보인다.표준 연계 분석 방법은 일반적으로 로키 사이에 어떤 연관성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베일리 윌슨 그룹은 이러한 방법을 능률화하여 밀집한 유전자 표지를 연구하기 위한 접근법을 개발했다.그녀는 각종 질병의 위험을 높이는 유전적 위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불안정한 데이터, 합맵 데이터, 인간 게놈의 배열 등을 연계하는 연관법을 활용하고 있다.그녀는 이러한 분석 방법들과 다른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특정 표식기 로키에서의 알레르기가 여러 명의 영향을 받은 구성원이 있는 가정의 세대를 통해 질병과 함께 전염되는지 여부를 판별했다.[1]

베일리 윌슨은 또한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질병이 있는 사람들이 우연히 설명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자주, 그리고 질병이 없는 사람들이 덜 자주 지니고 다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이 연구는 조사관들이 잠재적인 질병 관련 유전자를 찾는 데 필요한 대상 지역의 수를 크게 줄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그녀의 그룹은 또한 전부가 특성에 한계적인 영향을 미치는 단일 유전적 위치 내의 변종들 사이에 강한 LD가 존재할 때 관찰될 수 있는 인식적 상호작용에 대한 거짓 양성 증거를 증가시키는 접근법을 개발하고 있다.[1]

수상 및 수상

베일리 윌슨은 의학유전학부, 인디애나대 의대 의대(1995년), 서부 메릴랜드대 의대(1998년), 국제유전역학협회 리더십상(2006년) 등 다수의 수상과 영예를 안았다.Phi Beta Kappa(2010년)와 NHGRI 우수 멘토상(2011년)에 가입했다.베일리 윌슨은 미국 의학 유전학 위원회의 외교관이자 미국 의학 유전학 대학의 창립 멤버다.[1]

사생활

알렉산더 F.윌슨과 조안 베일리 윌슨 볼티모어 베이뷰 캠퍼스의 NHGRI 유전병 연구 지부 공동 지부장이었다.그녀는 통계유전학부장을 맡고, 그는 유전체학부장을 맡고 있다.[3]

조앤 베일리 윌슨과 알렉산더 F. 윌슨메릴랜드 웨스트민스터의 웨스턴 메릴랜드 대학에서 유일한 유전학 교수진과 함께 일하던 중 학부생으로 만났다.한 가지 일이 다른 일로 이어졌고, 그들은 결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함께 대학원을 다녔고, 그곳에서 의학 유전학, 수학, 컴퓨터 과학을 공부했다.[3]

이들은 1978년 결혼했고, 2년 뒤 박사학위를 받고 뉴올리언스에 있는 루이지애나 주립대 의과대학에 진학해 로버트 엘스턴과 함께 일했다.엘스턴은 당시 유행병학, 유전학, 분자생물학, 컴퓨터과학, 통계학의 요소를 바탕으로 한 신흥 분야인 통계유전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이들은 박사 후 동료로 LSU에 입학해 15년간 머물며 각각 최종 교수 직급에 올랐다.엘스턴이 1995년 클리블랜드의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으로 LSU를 떠나자 윌슨과 베일리 윌슨도 NHGRI로 옮기기로 결정했다.[3]

처음에 그들은 별도의 분원—로버트 누스바움이 이끄는 유전병연구부의 윌슨과 클레어 프랑코마노가 이끄는 의학유전학부의 베일리 윌슨이었다.그러나 그들의 작업은 다른 전통적인 벤치 과학자들과 너무 달라서 행정적인 도전을 제기하였다.[3]

"우리는 물자를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수집을 위한 계약을 맺는다.우리가 컴퓨터를 살 때, 그것은 랩탑 컴퓨터가 아니라 큰 서버입니다," 라고 윌슨이 설명했다.[3]

그래서 2년 후, 윌슨과 베일리 윌슨은 그들 자신들만의 지부가 되었다. 바로 유전병 연구 지부(IDRB)이다.NIH의 반내포티즘 규정은 배우자 한 명이 다른 배우자를 감독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누스바움이 지사장 직무대행을 맡게 되었다.세월이 흐르면서 누스바움은 윌슨과 베일리 윌슨에게 점차적으로 과장직의 행정적인 측면을 가르쳤기 때문에, 그들은 올해를 인수할 준비를 잘 했다."그는 우리를 훈련시켰다."라고 윌슨이 말했다.[3]

NIH에서는 공동 지부장이 드물고, 결혼한 공동 지부장은 더욱 드물다.베일리 윌슨과 윌슨은 아이가 둘 있다.[3]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oan E. Bailey-Wilson, Ph.D." Genome.gov. Retrieved 2019-07-02.
  2. ^ "Principal Investigators". NIH Intramural Research Program. Retrieved 2019-07-02.
  3. ^ a b c d e f g Ross, Karen (March 2006). "Marriage of the Minds: Co-Equals Chair Inherited Disease Research Branch". NIH Catalyst. Retrieved 2019-07-03.
Public Domain이 글에는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문서의 공용 도메인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