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윅스 (이스트엔더스)

Joe Wicks (EastEnders)
조 윅스
Joe Wicks.jpg
이스트엔더스 캐릭터
묘사자폴 니콜스
기간1996–1997
첫 등장에피소드 1267
1996년 3월 25일 (1996-03-25)
마지막 출연1532화
1997년 11월 14일 (1997-11-14)
작성자이언 앨드윙클
소개자코린 홀링워스
분류이전; 일반

조 윅스는 폴 니콜스가 연기한 BBC 연속극 이스트엔더스의 허구적인 인물이다.그는 1996년 3월 25일에서 1997년 11월 14일 사이에 스크린에 출연한다.이스트엔더스는 이 캐릭터가 정신분열증을 묘사한 것으로 찬사를 받았다.

줄거리

조는 1996년 볼튼에서 앨버트 스퀘어에 도착해 여동생 카렌이 교통사고로 사망한 뒤 아버지 데이비드 윅스(마이클 프렌치)를 찾는다.처음에 데이빗은 아들을 거부하고 집으로 돌려보낸다.그러나 조가 다시 도망쳐 데이빗의 집에 나타난 후에는 더욱 수용적이 된다.결국 조와 그의 어머니 로레인(Jacqueline Leonard)은 런던으로 이사하고 조는 데이빗과 함께 이사한다.카렌의 죽음은 조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쳤고 그는 카렌이 죽은 날, 차 앞좌석에 누가 앉을 것인가에 대해 논쟁을 벌였기 때문에 자신을 탓한다.트럭이 차에 충돌했을 때 조가 이겼고 카렌은 뒤에 있었다.조가 가벼운 부상을 입고 탈출하는 동안 카렌은 중상을 입고 죽었다.이것은 조가 정신분열증을 앓고 점점 더 이상한 행동을 보이게 한다.조현병을 앓는 동안 는 자살을 시도하며 넬리 엘리스(엘리자베스 켈리)의 죽은 고양이 만두를 침실의 상자에 숨긴 뒤 외계인과 관련된 오래된 신문기사로 방을 덮으면 아버지에게 충격을 준다.

월포드에 있는 동안, 조는 사라 힐스(다니엘라 덴비 아셰)와 약혼을 하지만 그의 둘째 사촌인 메리 플래허티(멜라니 클라크 풀렌)와 하룻밤을 함께 한다.이것은 그가 결혼을 하기에는 너무 어리다는 것을 깨닫도록 한다. 그래서 그는 약혼을 취소한다.그와 그의 어머니 로레인은 1997년에 볼튼으로 돌아가지만 조는 수년 후에 사라와 화해한 것으로 알려졌다.2012년 데이빗이 어머니 (팜 세인트)을 방문했을 때. 클레멘트), 그는 조가 아이를 가진 여자친구가 있고, 한동안 그들과 함께 지냈지만 잘 되지 않았다고 그녀에게 말한다.그러나 데이빗이 캐롤 잭슨(린지 콜슨)과 다투고 있을 때 조와 데이비드는 연락이 끊겨 아들을 위한 주소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창조와 개발

이스트엔더스 스토리 편집자인 이안 알드윙클은 질병에 걸린 사람들이 관련된 폭력적이고 극적인 사건들을 다룬 드라마 '사상자'를 작업한 후 정신분열증을 가진 캐릭터를 도입하기로 결정했지만 의학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췄다.알드윙클은 이 병에 대해 조사했고 그것이 100명 중 한 명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고 충격을 받았다고 말하지만, 이 병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그는 "이스트엔더스는 계속적인 줄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신분열증이 한 가족과 개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인간화해서 사람들에게 미치는 감정적인 영향을 보고 싶었다고 말했다.[1]그는 "정신질환은 정치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낙인찍히지 않고 농담을 할 수 있는 마지막 주제 중 하나인 것 같고, 그것은 잘못된 것 같다"고 이야기 줄거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조 윅스라는 캐릭터가 삶을 더 좋게 바꾸는 데 도움을 줬다는 한 사람으로부터 단 한 통의 편지만 받으면 나는 기뻐할 것이다."[1]

이스트엔더스는 줄거리를 최대한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국립 조현병 펠로우십의 전문가들과 긴밀히 협력했다.[2]이 펠로우쉽의 게리 호그먼은 "이것은 정신분열증 인식 계획 중 가장 큰 규모로, 일주일에 세 번 1,000만 명의 청중에게 도달했다"고 말했다.사람들은 조가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을 지켜볼 수 있었다.우리는 상황이 나쁘지 않고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극단적인 사례에 초점을 맞춘 언론과 함께 정신분열증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너무나 많다.그리고 조는 잘생긴 청년이지 얼룩덜룩한 외톨이가 아니었다.정신분열증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고, 사람들이 쉽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고 말했다.[3]

국립 조현병 펠로십은 다른 나라의 정신 건강 기관들과 연락하여 그들이 어떻게 스토리 라인을 사용하여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 그들에게 브리핑했다.[3]

2012년 1월, 니콜스는 기자 협회에서 이스트엔더스에서 조로 활동했던 시간을 기억할 수 없다고 말했다.[4][5]그 배우는 "정말 기억이 안 나.정말 이상하네요.운전해서 출근하고 촬영장에 몇 번 있었던 기억이 나지만, 지금 돌이켜보면 그냥 빈칸이다.나는 그 안에 있었던 것이 정말 기억나지 않는다.나는 이스트엔더스에서 나온 것을 기억한다. 그리고 처음 6개월 동안 관심이 50% 감소했고, 그리고 몇 년 후 그것은 95%가 되었다."[4]

리셉션

세인즈베리 정신건강센터의 앤디 벨은 정신분열증 환자를 절망적인 상황에 처한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묘사해 TV와 영화를 비판했지만, 이스트엔더스는 "훌륭한 스토리라인이었고,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매우 잘 다루어졌다"[2]고 말했다.

이 줄거리는 수 천명의 환자와 그 가족들로부터 국립 정신분열증 펠로우십에 전화를 걸게 했는데, 그들은 이 이야기가 질병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회의 금기를 깨뜨리고 그 질병이 묘사되는 민감한 방식을 칭찬했다고 말했다.이 펠로우십은 이 이야기가 정신분열증에 대한 오명을 깨는 데 그 어떤 가치 있는 언론의 호소보다도 더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이 펠로우쉽의 최고 경영자인 Bharat Mehta는 이스트엔더스가 정신분열증이란 사람이 분열된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질병이 그들을 폭력적으로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신화를 파괴하는 것을 도왔다고 말했다.[1]

가디언의 매튜 베일리스는 조의 정신분열증은 데이빗의 아들이자 팻의 손자였기 때문에 이스트엔더스에게 많은 찬사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의 병은 우리가 알고 아끼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조의 주요 장면들은 감정으로 가득 차 있었다."[6]니콜스의 조 역은 그가 1996년 전국 텔레비전 시상식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인'을,[7] 그 다음 해에는 '가장 인기 있는 배우'를 지명하는 것을 보았다.[7]

이 캐릭터의 비누 퇴장은 2,200만 명의 사람들이 보았다.[8]

참조

  1. ^ a b c "EastEnders TV Program covers Schizophrenia". schizophrenia.com. 10 May 1997. Retrieved 12 May 2009.
  2. ^ a b Triggle, Nick (3 April 2005). "How well does TV and film tackle disease?". BBC News Online. Retrieved 12 May 2009.
  3. ^ a b "Website launched for mentally ill". BBC News Online. 26 August 1999. Retrieved 12 May 2009.
  4. ^ a b "Paul Nicholls 'blank' on EastEnders". Press Association. 16 Jan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12. Retrieved 16 January 2012.
  5. ^ Kilkelly, Daniel (16 January 2012). "Paul Nicholls: 'I can't remember EastEnders'". Digital Spy. Hearst Magazines UK. Retrieved 18 June 2012.
  6. ^ Bayliss, Matthew (16 November 1999). "Soap's secret rules". The Guardian. Retrieved 12 May 2009.
  7. ^ a b "Awards for "EastEnders"". Internet Movie Database. Retrieved 27 March 2009.
  8. ^ Addley, Esther (21 June 2001). "Cancer, HIV, depression......being in soaps can damage your health". The Guardian. Retrieved 12 May 200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