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헨리크 토만더
Johan Henrik Thomander요한 헨리크 토만더 | |
---|---|
비숍 | |
![]() | |
교회 | 스웨덴 교회 |
교구 | 룬드 교구 |
재직중 | 1856–1865 |
전임자 | 헨리크 로이터달 |
후계자 | 빌헬름 플렌스부르크 |
주문 | |
서품 | 1821 |
개인 정보 | |
태어난 | |
죽은 | 1865년 7월 9일( 스웨덴 룬드 | (67세)
배우자. | 에밀리아 카타리나 마이어 (m.1834년) |
요한 헨리크 토만데르(Johan Henrik Thomander, 1798년 6월 16일 ~ 1865년 7월 9일)는 스웨덴의 교수, 주교, 번역가, 작가이다.그는 1836년에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1856년에 스웨덴 아카데미의 18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토맨더의 딸들은 학생 거주지로 사용하기 위해 룬드에 있는 샌가탄에 있는 집을 룬드 대학에 유산으로 남겼다.이 기숙사는 오늘날에도 존 헨리크 토만더스( Henryk Thomanders 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교육 및 초기 경력
요한 헨리크 토만더는 1798년 크리스티안스타드 카운티의 ä킹게에서 부목사 알브레히트 요한 피사르스키와 마리아 소피아 토마이우스 (1776–1851)[1]의 사생아로 태어났다.그의 부모는 그의 아버지가 Fjélkinge에 있는 그의 외할아버지 토마스 토맨더 교구에서 근무하고 있을 때 만났다.토메와 토메로 표기되기도 하고 귀족 아델스쾰드와 관련이 있는 어머니의 가족은 1615년경에 토레코프에 발이 묶인 스코틀랜드 귀족의 후손으로 나중에 헬싱보리에서 석공으로 인정받았고, 스스로를 [2]한스라고 불렀다.요한 헨리크 토만더는 작가이자 찬송가 작가이자 성직자인 Jöran Jakob 의 조카였다 그의 어머니는 나중에 인쇄업 감독관 토마스 본드와 결혼했다.
미혼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토맨더는 할머니 엘사 소피아 만도르프와 [3]함께 자랐다.그는 1812년에 룬드 대학에서 공부하기 시작했지만, 1814년에 그의 공부를 중단하고 칼샴에 있는 상인 가족의 개인 가정교사로 일하게 되었다.그러나 그는 틈틈이 공부를 하고 시험에 합격해 1821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1826년 룬드에 있는 신학교의 도슨트로 임명된 토만더는 1831년 부교수로 부임해 1831년 학장 자리를 물려받았지만 1833년 목회신학 교수가 됐고 [1]1836년 코펜하겐대에서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경력에서 더 나아가서
그는 1845년 교리학과 도덕신학 교수가 되었고, 1847년 제2대 신학 교수가 되었고, 1850년 그가 1851년에 취임한 예테보리의 학장이 되었다.1856년 그는 헨릭 로이터달을 이어 룬드 교구의 주교가 되었다.1840년 그는 삼부계급 성직자의 일원으로 정치생활을 시작했고 1855년 페르 다니엘 아마데우스 아테르봄의 뒤를 이어 스웨덴 아카데미에 선출되었고, 스웨덴 아카데미는 1849년 같은 [1]해에 발표된 설교집을 통해 수사학으로 큰 상을 그에게 수여했다.

Thomander는 천재적이고 매우 다재다능한 사람이었다.1830년 그가 룬드에 학장직에 지원했을 때, 칼 아돌프 아가르드는 그를 로이터달과 비교하며 다음과 [1]같은 의견을 내놓았다.
"토만더는 훨씬 우월한 사람이고, 건강한 몸매, 활발한 태도, 따뜻함, 재치, 현대 문학에 대한 지식, 필요할 때 나서는 능력, 대담함, 침착함, 자신을 중요하게 만드는 방법,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을 약간씩으로 만든다.그는 궁정, 시인, 정치가, 작가, 번역가, 비평가, 변호사, 신부, 교수 등 모든 것을 할 수 있는데 왜 학장이 안 되느냐"고 말했다.
토맨더에 대한 아가르드의 아첨과 비난의 성격은 룬드에서 학장 자리를 놓고 싸우는 동안 형성되었다.토맨더가 나이 많고 자격 있는 사람들과 함께 이 자리를 얻지 못한 것은 분명 공정했다.Thomander는 이 논쟁을 악명높게 만드는 의심스러운 장점이 있었다.특히 동료 지원자인 아카티우스 칼(Achatius Kahl, [4]을 상대로 한 그의 작품 Antiandalskrift와 닐스 오토 안펠트 Otto Anfelt, sv 와 함께 발표한 저널 Gefion을 통해 그는 논쟁가이자 풍자가로써의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얻었다.이 능력은 그를 떠나지 않았다.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그것은 원숙해졌고 젊음의 불손함을 잃었다.초기에 그는 그것을 자유롭게 했다.그것은 그가 K.F.와의 서신에서 특징적으로 볼 수 있다.달그렌.이 편지들은 또한 Thomander의 광범위한 문학 관심사에 대한 좋은 통찰력을 제공한다.군대 생활 동안 그는 특히 최근의 유럽 문학에서 보기 드문 지식을 습득했다.그의 젊은 시절에는 미적 관심이 지배했던 것 같다.당시 미학 교수직은 미래의 [1]꿈처럼 보였다.
문학적 산출물
이때 그의 문학적 성과 또한 심미적으로 변모했다.그 때 그는 자신의 탁월한 번역 재능에 대한 훌륭한 증거를 제시했다.이에 따라 1825년 셰익스피어의 '윈저의 즐거운 아내들', '좋아하는 대로', '십일야',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리처드 2세' 등이 등장했고, 칼 어거스트 하그버그의 해석도 훌륭했고, 1826년 아리스토파네스의 '구름', 1830년 바이런 경의 맨프레드, 브루타의 '구름'도 등장했습니다.원고에서도 그는 아만다 바이 모레토(1831년 상연),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겐소울의 르 타디프, 아리스토파네스의 테스모포리아주새와 개구리 등 여러 작품을 동시에 제작했는데, 이 세 작품은 그의 스크리프터에 [4]처음 인쇄되었다.
신학적 연구
그는 De antichristo primae ecclesiae (1826년)라는 논문으로 그의 신학 저술을 시작했다.그는 헨리크 로이테르달과 함께 1828년부터 1832년까지, 그리고 1836년부터 [4]1840년까지 신학적 계간지 (Theological Quartalskrift)를 출간했는데, 이것은 스웨덴 신학사에서 한 시대를 형성한다.Thomander의 기고문헌 중에는 스웨덴의 최근 동질문헌에 대한 리뷰가 있으며, 이 리뷰는 오늘날까지 그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헨릭 샤르타우를 높이 평가한 것이다. 헨릭 샤르타우는 그렇지 않으면 교육 및 문학계에서 대단한 명성을 얻지 못했다.1835년 토맨더는 신약성서의 번역본을 출판했다.[4]그 의도는 당시 성경 위원회의 원칙과 결별하는 것이었다.그러나 토맨더의 시도는 [1]성공하지 못했다.
Thomander 환경
강사로써, 토맨더는 그다지 유명하지 않았고 학생들 사이에서 특별한 인기를 누리지도 못했다.하지만, 그는 룬드 대학의 학술 협회 설립의 발단자 중 한 명이었고 초대 [5]회장이 되었다.그는 또한 1838년부터 1839년까지 [6][7]이 대학의 목사였다.토만다는 그의 종교적, 신학적 견해에 있어서 보수적이었고 에사이아스 테그네르에 의해 샤르타우의 제자인 정통 베르그퀴스트와 동일시되었다.그러나 교회 정치에서 그는 자유분방했다.Thomander가 가장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된 것은 또한 교회 정치 분야였다.그는 공직생활에 헌신했고 재능도 그를 그곳으로 이끌었다.토맨더는 1830년대에 시작된 금주 운동을 매우 따뜻하게 받아들였다.뛰어난 재능으로 그는 비판자, 특히 동료 Reuterdahl로부터 결사의 형태를 옹호했습니다.금주 문제는 이전 [8]반대파들 사이에 쐐기가 되었다.두 개의 정당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한 쪽에서는 토만더, 피터 비젤그렌, 폴 가브리엘 나중에는 한스 비르거 다른 쪽에서는 로이터달과 대다수의 성직자, 나중에 에브브브 구스타프 브링겐의 지도 아래 특별히 룬덴식 교회에 의해 강화되었다.
리폼
교회질서 분야의 시기적절한 개혁의 필요성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 때문에 토맨더는 1828년 발표된 교회법안이 채택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된 이후 1830년대에 재편성되고 있던 교회법위원회에 입회하게 되었다.당시 August von Hartmansdorff 은 그 제안을 거절하지 않았다.1833년 말 위원회가 개편되었을 때, 토맨더는 새로운 멤버 중 한 명이 되었다.그는 몇 년 후 자신이 작성한 교회법 초안을 발표함으로써 그 분야에서 그의 뛰어난 능력을 증명했고, 이것은 나중에 위원회의 많은 추가 작업의 기초가 되었다.그 최종안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비판의 불씨를 견딜 수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인 개혁으로 해결된 의문도 있고,[1][9] 그 해결을 위해 추진된 의문도 있었다.
교회 정치에서, 토맨더는 성직자 감독 정치에 반대했고 교회 내에서 더 큰 자유와 신도들이 교회의 일을 결정할 수 있는 더 많은 공간을 원하는 사람들의 대열에 합류했다.그는 또한 국가에 대항하는 교회의 더 큰 자유를 원했고, 시노드의 헌법 원칙의 지지자로서 1846년 교회 헌법에 교회 평의회를 포함시킬 것을 추진하였다.교회 정치에서 토맨더의 큰 중요성은 1840년대 의회 생활에서 그가 한 중요한 정치적 역할과 관련이 있었다.그곳에서 그는 분명히 자유주의 편에 서서 자유주의 지도자들과 활발하게 교류했다.1840년 귀족원에서 대표 문제에 관한 네 계급 모두의 합동 회의에서 토맨더의 훌륭한 연설은 그를 이미 이 나라의 주요 의회 연설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시켰다.그는 대표성의 변화를 끊임없이 옹호했고 개인적으로 이 문제를 진전시키기 위해 개입했다; [10]1845년 소위 에크홀름 제안의 초안을 작성한 사람은 토만더였다.
공교육에 대한 관심
Thomander는 공교육 [11][12]문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그는 자신이 국무위원이라는 것을 증명한 6명의 의회 회기 중 4회(1840-1841년, 1844-1845년, 1847-1848년, 1856-1858년)에서 교육 시스템을 위한 세출에 찬성하는 발언을 했다.1850년대에 토맨더는 순수한 정치 생활에 시간을 덜 할애하여 교회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10년은 특히 종교권의 모든 장벽을 제거하라는 그들의 요구에 대한 정치적 지지를 발견한 대규모 부흥 운동과 자유주의의 승리로 인해 초래된 전환의 힘든 시기였다.Thomander는 급진적인 전복에 대한 정책만큼이나 비포즈무스 정책에 단호히 반대했다.그는 "Om svenska kyrkans och skolans angelégenheter"[1] (스웨덴 교회와 학교의 문제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신문에서 그의 입장을 밝혔다.
영향
1860년 '교회의 질문'에서 그는 10년 동안 개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돌아보고 적지 않은 액수였다.사형된 사람들이 교회에서 공개적으로 고백하고 회개해야 하는 형벌의 한 형태인 Kyrkoplikt는 폐지되었다; 주 교회 밖에서 종교 모임을 불법화하는 수도원법은 폐지되었고, 각 개인에 대한 지역 교구(sockenbandet)에 대한 요구는 완화되었다.하지만, 다른 몇 가지가 바람직할 것입니다.Thomander는 다시 교회 시노드 성당 지부의 재편성, 성직자 선출의 새로운 시스템 등을 지지했다.Thomander는 주로 행해진 일에 대해 감사를 받아야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그가 의미하는 것은 1850년대를 특히 무균화된 교회 [1]정책을 보여주었던 또 다른 중요한 시기인 1870년대와 비교함으로써 가장 잘 알 수 있다.
토맨더는 일반적인 교회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교구장으로써 상당한 기여를 했다.의심할 여지 없이, 토만더가 주교가 된 것은 교구에게 엄청난 행운이었다.이것이 양당 간의 반목을 누그러뜨렸다.주교로서, 토맨더는 스코틀랜드 자유교회를 우상화하기 시작했고 그것으로부터 헌법적 이상을 이끌어낸 그의 옛 추종자들의 마음에 완전히 들지 않았다.그의 교구 내에서, 토맨더는 잦은 방문과 6년마다 열리는 성직자 회의 사이의 성직자 모임을 조직함으로써 더 큰 이동성을 얻으려고 노력했다.두 경우 모두 토맨더는 다른 교구의 선구자가 되었다.Thomander는 선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그는 로이테르달, 브링, 피터 비젤그렌, 피터 피젤스테트 등과 함께 [13]1845년 런드 선교협회의 창립에 참여했고, 그 이후 헌신했다.
1838년 토맨더는 교리문답을 발표했고, 1849년 그와 비젤그렌은 부활주의자들의 불만을 없애기 위해 1819년 왈린 찬송가의 개정판을 했다.1829년 그는 프레디크닝가르 오흐 나트바르스탈(Predikningar och nattvardstal)을, 1849년 프레디크닝가르 öfver örets sön-och högtidsdagars 전도사(Predikningar och och öfer söfver öfrets söfrets sörets sörets söres söretch sörets sörets sörets söres sör인쇄된 설교는 토맨더의 웅변가로서의 기술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그의 유머와 아이러니는 그의 설교에서 느껴지지 않았지만, 그의 간간이 [1]하는 연설에서는 더욱 더 그랬다.
학생 연설가로서 그는 타의 추종을 불허했고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그의 존재에 대한 날카로운 모순이 그의 설교에 독특한 성격을 부여했다.그들은 진정한 인간이었고, 교육받은 귀족들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웠으며, 따라서 대중적 부활주의자들에게 불리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토맨더는 인간의 나약함을 신의 자비로운 전지전능과 대비시킬 때 최고조에 달하지만, 전반적으로 적어도 인쇄된 설교로 판단했을 때 그는 깊은 설교자는 아니라고 말해야 한다.그의 설교는 널리 읽히지도 않았지만, 비록 프레젠테이션이 긴장되거나 [1]꾸며지지 않고 개인적이고 독창적인 문체적 성취를 가지고 있지만, 널리 읽혀지지도 않았다.
죽음과 유산
토만더는 1865년 룬드에서 사망했으며 외스트라 키르코고르덴에 [14]묻혔다.
토만더의 성격은 스웨덴 아카데미의 전기 작가 구스타프 융그렌에 의해 나타나는데, 그는 그의 성격의 수수께끼 같은 본질, 이상한 농담과 진지함의 혼합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그가 성직자 및 주교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덜 매력적이게 만들었다.
그의 더 중요한 글들의 모음집은 1878-1879년에 Tankar och löjen, belletristiska drag ur Thomanders och C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출판되었습니다. 1876년 달그렌스 브레프클링(Arvid Anfelt[ 에 의해 수집되어 전기와 함께 출판됨)「G」도 참조해 주세요.Ljunggren, "Intrédestal" (스벤스카 아카드:s handlingar ifrön 1796, d. 41, 1867) 및 C. V. A. Strandberg (Talis Qualis)는 이 연설에 대해 Harald Wieselgren, Ur vör samtid (1880), August Quennerstett [ "Johan Henrik Thomander"(룬즈 Stfts Julbok, 1912), O Hippel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elsk)라고 대답합니다. 엔히스토리스크 och kyrkorattslig studie(1914년)와 에밀 리드그렌 [ "Johan Henryk Thomander: Ett kapitels kyrkohistoria" (Vör Lösen [ 1918년).[1]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j k l "Thomander, Johan Henrik". Nordisk familjebok (in Swedish). Vol. 28. Syrten-vikarna - Tidsbestämning (Ugleupplagan 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2-08. Retrieved 2022-04-27.
- ^ Hahr, Gösta (1946). Forum navale: Skrifter utgivna av Sjöhistoriska samfundet (in Swedish). Almquist & Wiksell. p. 48. OCLC 1569903.
- ^ Cavallin, Severin (1878). Ur Skånska presthusens häfder (in Swedish). Lund: C.W.K. Gleerups Förlag. p. 124. OCLC 894142116.
- ^ a b c d Meijer, Bernhard (1886). "Thomander, Johan Henrik". Svenskt literatur-lexikon (in Swed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9-28. Retrieved 2022-04-27.
- ^ Johan Henrik Thomanders Lund: en kulturhistorisk promenad genom 1800-talets Lund (PDF) (in Swedish). Lunds ideella turistinformation Destination Lund.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04-21. Retrieved 2022-04-27.
- ^ "Rektorsinstallation" (PDF). Lund University (in Swedish). Retrieved 2022-05-26.
- ^ Svedjedal, Johan (2014). Kärlek är ; Rosor, törnen ; Frihetens rena sak: Carl Jonas Love Almqvists författarliv 1793-1866 (samlingsvolym) (in Swedish). Wahlström & Widstrand. ISBN 978-91-46-22473-0. OCLC 940765117.
- ^ Monié, Karin. "Johan Henrik Thomander". Svenskt översättarlexikon (in Swed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1-06. Retrieved 2022-04-27.
- ^ Arvastson, Allan (1954-12-31). "J. H. Thomander som kyrkopolitiker" (PDF). Svensk Tidskrift (in Swedish).
- ^ "Thomander, Johan Henrik". Svenskt biografiskt handlexikon (in Swedish). 19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0-19. Retrieved 2022-04-27.
- ^ Melander, Erik (1963). Etisk fostran i svensk obligatorisk skola från 1842 (in Swedish). Föreningen fö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OCLC 463021733.
- ^ Warne, Albin (1961). Om tillkomsten av vår första folkskolestadga (in Swedish). Stockholm. OCLC 462996460.
- ^ Rodén, Nils. "Peter Fjellstedt". Svenskt Biografiskt Lexikon (in Swed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4-14. Retrieved 2022-04-14.
- ^ Begravda i Sverige, CD-ROM, 버전 1.0, Sveriges Sléktforskarförbund:토만데르
이 기사는 1904년부터 1926년 사이 발행된 스웨덴 백과사전 노르디스크 파밀제복 올빼미 판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현재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추가 정보
- Wieselgren, Harald (1880). Ur vår samtid: femtio porträtt med nekrologer (in Swedish). Stockholm: Norstedt. pp. 1–5.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의 Johan Henrik Thomander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