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호이징가

Johan Huizinga
요한 호이징가
Johan-huizinga1.jpg
태어난(1872-12-07) 1872년 12월 7일
네덜란드, 그로닝겐
죽은1945년 2월 1일(1945-02-01)(72)
De Steeg(네덜란드)
직종.역사학자, 교수, 작가
학력
영향야콥 부르크하르트
학술적인 일
규율역사
기관그로닝겐 대학교(1905년~1923년)
레이든 대학교(1915~1942)
주목할 만한 작품

요한 호이징가(Johan Huizinga, 1872년 12월 7일 ~ 1945년 2월 1일)네덜란드의 역사학자이자 근대 문화사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

인생

레이든민족지학자 A.W. 니우웬후이스와 함께 후이징가(오른쪽)(1917년)
레이든 대학 후이징가 명판

생리학 교수 더크 [1]후이징가와 출생 2년 만에 사망한 자코바 톤켄스의 아들로 그로닝엔에서 태어난 그는 인도유럽어 학자로 시작해 1895년 학위를 취득했다.그 후 그는 비교 언어학을 공부하여 산스크리트어를 능숙하게 구사했다.그는 1897년 인도 드라마에서 조소자의 역할에 대한 박사 논문을 썼다.

1902년이 되어서야 그의 관심은 중세와 르네상스 역사로 바뀌었다.그는 1905년 그로닝겐 대학의 일반사와 네덜란드사 교수가 될 때까지 동양학자로서 계속 가르쳤다.1915년, 그는 레이든 대학의 일반사 교수로 임명되었고, 1942년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1916년에 그는 왕립 네덜란드 예술 [2]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

1942년, 그는 1930년대 파시즘에 대한 그의 글과 일치하는 그의 독일 점령자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말했다.그는 1942년 8월과 10월 사이에 나치에 의해 구금되었다.그는 석방되자마자 라이덴으로 돌아가는 것이 금지되었다.그 후 그는 아른헴 근처 겔더랜드의 De Steeg에 있는 동료 Rudolph Cleveringa의 집에서 살다가 나치 통치가 [3]끝나기 몇 주 전에 사망했다.그는 외그스트게스트[4]있는 6 하를레머스트라트웨그에 있는 개혁 교회의 묘지에 묻혔다.

작동하다

Huizinga는 예술과 광경이 중요한 역할을 했던 역사에 대한 미학적 접근을 가지고 있었다.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중세가을이다.중세의 쇠퇴중세의 가을철로(1919).

에라스무스호모 루덴스도 주목할 만하다.후자의 책에서 그는 놀이가 인간 문화의 주요 조형 요소라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Huizinga는 또한 17세기에 미국 역사와 네덜란드 역사에 관한 책을 출판했습니다.

독일에서 국가사회주의의 발흥에 놀란 후이징가는 문화비평의 여러 작품을 썼다.그의 분석과 오르테가가세트, 오스왈드 스펜글러와 같은 현대 비평가들의 분석 사이에 많은 유사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Huizinga는 기술적이고 기계적인 조직의 정신이 정치 생활뿐만 아니라 문화적이고 유기적인 질서를 대체했다고 주장했다.

Huizinga 강의 (네덜란드어:호이징갈레징)은 네덜란드의 권위 있는 연례 강연으로 요한 호이징가를 [5]기리는 문화사 또는 철학 분야의 주제에 관한 것입니다.

가족

호이징가의 아들 레온하르트 호이징가는 네덜란드에서 유명한 작가가 되었으며, 특히 네덜란드 귀족 쌍둥이인 아드리안과 올리버에 관한 일련의 혀 인 치크 소설로 유명하다.

참고 문헌

  • Herbert H. Rowen에 의해 미국으로 번역된 Mensch en menigte in America(1918년); 먼 곳과 가까운 곳에서 본 네덜란드 역사가의 비전(1부) (Harper & Row, 1972년)
  • Herfstij der Middeleuwen(1919), 마틸드 볼프 뫼네케베르그(1924), 중세의 쇠퇴(1924), 중세가을(1996), 다이앤 웹(20)에 의해 중세가을번역되었다.
  •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1924년), 프레데릭 호프먼에 의해 에라스무스와 개혁의 시대(1924년)로 번역되었다.
  • Amerika Levend en Denkend(1926), Herbert H. Rowen에 의해 America로 번역: A Harfar and Near (Part 2)로부터의 네덜란드 역사학자 비전(Harper & Row, 1972년)
  • 레벤 엔베르크 판 얀 베스(1927년)
  • Cultuurhistorische verkeningen (1929)
  • '내일의 그림자'에서 그의 아들 제이콥 헤르만 호이징가 옮긴 '데 샤두웬모겐'(1935년)
  • De wetenschap der geschiedenis (1937년)
  • 게스콘덴 아렐드(1946년, 사후에 출판)
  • 호모 루든스. Proeve eener bepaling van het spel-element der cultuur(1938년), 문화의 놀이 요소에 대한 연구(1955년)
  • 네델란드는 de zeventiende euu(1941년)에 몰두하고 있다.아놀드 포메란스에 의해 17세기 네덜란드 문명으로 번역(1968년)
  • "유럽 역사의 애국심과 민족주의": 맨과 아이디어. 역사, 중세, 르네상스.번역: 제임스 S.홈즈와 한스 반 말.뉴욕: Meridian Books, 1959.
  • 사람과 아이디어. 역사, 중세, 르네상스. 에세이(1959년).번역: James S.호이징가 소장품의 홈즈와 한스 반 말레
  • 미국: Afar and Near의 네덜란드 역사학자 비전(Herebert H. Rowen에 의해 소개와 주기와 함께 번역됨)(Harper & Row, 1972).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Liukkonen, Petri. "Johan Huizinga". Books and Writers (kirjasto.sci.fi). Finland: Kuusankoski Public Libr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February 2015.
  2. ^ "J. Huizinga (1872 - 1945)".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21 July 2015.
  3. ^ Hugenholtz, F.W.N. (November 12, 2013). "Huizinga, Johan (1872-1945)". Biografisch Woordenboek van Nederland.
  4. ^ Van Ditzhuijen, Jeannette(2005년 9월 9일).Bijna vergeten waren ze, de Rustplaatsen van Roemruchte voorvaderen.Trow (네덜란드 신문), 부록 9페이지.
  5. ^ Huizinga-lezing, Universiteit Leid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5

추가 정보

  • Willem Outspeer: Huizinga를 읽습니다.암스테르담 대학 출판부, 2010.ISBN 978-90-8964-180-9
  • Jo Tollebeek: "민족주의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Huizinga, Pirenne and the Low Countries in European History (2010) 17#2 페이지 187–215
  • 도널드 R. 켈리:역사의 운세. 헤르데르가 후이징가에게 보낸 역사적 조사.뉴헤이븐, 예일대학교 출판부, 2003.ISBN 0-300-09578-3
  • 요한 호이징가 1872년-1972년. 1972년 12월 11일부터 15일까지 Johan Huizinga Conference Groningen에게 전달된 문서.W.R.H. 쿱스의 편집자...[등]헤이그, 니호프, 1973년ISBN 90-247-1609-8
  • 션 파렐 모란 "조한 후이징가, 중세의 쇠퇴와 역사의 집필", 미시간주의 학술가 XLII (2016년) : 410-2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