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비들(미치건 정치인)
John Biddle (Michigan politician)존 비들 | |
---|---|
![]() 토마스 설리의 비들 초상화, 1818년 | |
미국 하원의원 미시건 준주의 At-large 지역구에서 | |
재직중 1829년 3월 4일 ~ 1831년 2월 21일 (대리점) | |
선행 | 오스틴 엘리 윙 |
에 의해 성공자 | 오스틴 엘리 윙 |
넷째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시장 | |
재직중 1827–1828 | |
선행 | 조너선 커슬리 |
에 의해 성공자 | 조너선 커슬리 |
개인 정보 | |
태어난 |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 1792년 3월 2일
죽은 | 1859년 8월 25일( 웨스트버지니아 주, 화이트설퍼 스프링스 | (67세)
배우자 | 엘리자베스 팔코너 브래디시 |
아이들. | 4 |
부모 | 찰스 비들 한나 셰퍼드 |
친척들. | 봐 비들족 |
모교 | 프린스턴 대학교 |
군복무 | |
얼리전스 | ![]() |
지점/서비스 | 미국 육군 |
근속 연수 | 1812–1821 |
순위 | 주요한 |
전투/전투 | 1812년 전쟁 |
존 비들(John Biddle, 1792년 3월 2일 ~ 1859년 [1]8월 25일)은 미국의 군인, 정치인, 사업가이다.그는 미시간 준주 출신의 미국 의회 대표, 미시간 하원의장, 디트로이트 시장을 역임했습니다.
초기 생활
유명한 펜실베니아 비들 가문의 일원이었던 존 비들은 1792년 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에서 펜실베니아 [2]전 부통령인 한나 셰퍼드와 찰스 비들 사이의 아들이자 니콜라스 비들 [3]제독의 조카로 태어났습니다.그는 프린스턴 [1]대학에 입학하고 졸업하기 전에 일반 학교를 다녔다.
직업
1812년 전쟁이 발발하자 비들은 미 육군에 입대하여 1812년 7월 6일 제3포병 소위로 임관하여 1813년 [1]3월 13일 소위로 진급하였다.그는 전쟁의 대부분을 나이아가라 국경의 윈필드 스콧 장군의 참모진과 함께 했다.그는 1813년 10월 1일 42 보병대에서 대위가 되었고, 1817년 6월 19일부터 1821년 [1]6월 1일까지 소령 계급으로 부감찰관을 지냈으며,[2] 디트로이트의 포트 셸비를 한동안 지휘했다.
군대를 떠난 후, 비들은 1821년과 1822년 [1]위스콘신주 그린베이의 경리 겸 인디언 대리인으로 임명되었다.그는 1823년–1837년 미시간 준주 디트로이트의 토지등기부였고, 디트로이트, 맥키노, 솔트 Ste의 고대 토지 청구권을 결정하는 위원이었다. 마리, 그린베이, 프레리 뒤 친.[1]
정치와 시민의 리더십
비들은 1827년과 [1]1828년에 디트로이트 시장을 지냈다.그는 미시간 준주의 21대 의회 대표로 선출되어 1829년 3월 4일부터 1831년 [1]2월 21일 사임할 때까지 재직했다.그는 휘그당이 [3]소수당임에도 불구하고 1835년 미시간 주 헌법을 입안한 회의의 의장이었다.그는 휘그당[3][4] 후보로 미국 상원의원과 미시간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비들은 1841년 미시간 주 하원의원이었고 [1]연설자로 활동했으며 [2]미시간 대학의 이사였다.
비들은 미시간 중앙 [1]철도의 사장이었다.그는 또한 농업 기계 은행의 초대 총재를 역임했고, 1829년부터 [2]1838년까지 은행 이사로 재직했습니다.그는 디트로이트 시민 생활에서도 활동했으며 디트로이트 아테네움 부회장, 디트로이트 시의 여성 교육 진흥 협회에서 활동했으며, 미시간 역사 [2]학회 부회장(1828–1837)과 회장(1837)으로 선출되었다.
사생활
1819년 1월 21일, 그는 뉴욕의 [2]James Bradish (1772–1799)와 Margaretta Thompson (1770–1846)의 딸인 Eliza Falconer Bradish (1795–1865)와 결혼했다.이들 부부에게는 [5]성인이 될 때까지 산 네 명의 자녀가 있었다.
- 마거릿타 팔코너 비들(1825년-1913년)로 남북전쟁의[5] 장군 앤드류 포터(1820년-1872년)와 결혼했다.
- 일라이어스 B. D.의 딸 수잔 데이튼 오그든(1831–1878)과 결혼한 윌리엄 셰퍼드 비들(1830–1901) 뉴저지 주 대법관 오그든
- 제임스 비들 소령(1833~1905)
- 에드워드 비들 (1836–1892)
1859년, 비들은 여름 동안 현재의 웨스트 버지니아에 있는 화이트 설퍼 스프링스로 갔고 그곳에서 [1]죽었다.그는 [1]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엘름우드 묘지에 묻혔다.
윈도트
1818년 비들은 디트로이트 [2]남쪽의 1,800에이커(7.3km2)의 땅을 취득했다.그는 그 땅에 여름 별장을 지었고, [2]1835년에 완공되었다.비들은 한때 그곳에 [2]살았던 미국 원주민들의 이름을 따서 그의 사유지를 "위안도트"라고 이름 지었다.Biddle의 집은 George P가 있는 곳에 있었다. 맥니콜 하우스는 어떻게 앉아.[2]비들과 그의 가족은 1836년 [2]윈도트 저택으로 은퇴했다.하지만, 비들은 그 [2]땅을 경작하는 데 관심이 없었고, 세인트루이스 근처의 그의 사유지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미시건 주,[1] 루이스.1853년, 그는 유레카 제철소의 에버 브록 워드에 와이안도트 땅을 팔았고, 그는 이 지역을 미시간 [2]주 와이안도트 시로 발전시켰다.뉴 볼티모어에서 이스트 록우드에 이르는 제퍼슨 애비뉴는 와이앤도트를 거쳐 비들 애비뉴로 명명되었다.와이안도트 땅을 판 후 비들과 그의 아내는 필라델피아로 돌아갔고, 이후 부부는 파리에서 [2]많은 시간을 보냈다.
후예
그의 손자 (윌리엄 셰퍼드 비들의 아들) 또한 존 비들 (1859년-1936년)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미국 육군사관학교의 [5]교육감이 되었다.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United States Congress. "John Biddle (id: B000441)".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Major John Biddle". Elmwood Cemetery. Retrieved September 10, 2010.
- ^ a b c Carlisle, Fred, ed. (1890), Chronography of Notable Events in the History of the Northwest Territory and Wayne County, Detroit: O.S. Gulley, Bornman, pp. 237–238, OCLC 13694600
- ^ Lawrence Kestenbaum (March 10, 2005). "Index to Politicians: Biddle". Political Graveyard. Paul Haas. Retrieved 2006-07-06.
- ^ a b c Owen Picton (May 2004). "Descendants of William Biddle II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8, 2010. Retrieved March 1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