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디글

John Diggle

존 디글
칼리슬 주교
John William Diggle 001.jpg
교회잉글랜드의 교회
교구칼리슬 교구
재직중1905년부터 1920년까지
전임자존 바들리
후계자헨리 윌리엄스
주문
서품1871
성결c. 1905
개인내역
태어난
존 윌리엄 디글

(1847-03-02)2 1847년 3월
죽은1920년 3월 24일(1920-03-24) (73세)
국적영어
디노미네이션성공회
아이들.5명, 퍼시 로버트 디글 포함

존 윌리엄 디글(John William Diggle, 1847년 3월 2일 ~ 1920년 3월 24일)은 영국의 성공회 주교였다.1896년부터 1901년까지 웨스트모랜드의 아치디콘, 1903년부터 1904년까지 버밍엄의 아치디콘, 1905년부터 1920년 사망할 때까지 칼리슬의 주교였다.

조기생활과 교육

디글은 랭커셔 펜들턴의 창고원인 윌리엄 디글과 그의 아내 낸시 앤 샤더튼의 아들이었다.그의 동생인 조셉 디글(1849~1917)은 런던 교육 위원회의 의장이 될 예정이었다.[1]그는 맨체스터 문법 학교옥스퍼드 머튼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2][3]

위임목회

디글은 세인트 마거릿, 월리 레인지,[4] 올 세인츠, 리버풀, 세인트 존스, 월튼에서 큐리로 경력을 시작했다.1875년부터 1897년까지 그는 모슬리 힐총독이었다.[5]그는 1896년에 웨스트모랜드의 대집사(大集使)를 결탁하여 1901년 11월까지 재직하였고, 그 후 1903년 버밍엄 대집사(大集使)[6]를 역임하였다.

1905년 디글은 칼리슬 교구교구 주교칼리슬 주교로 임명되었다.[7]그는 영국이 대전에 개입하는 것을 가장 소리 높여 지지하는 사람 중 한 명이었다.그는 프러시아 군국주의를 비난했고, 독일군의 진격으로 혹사당한 벨기에와 프랑스 민간인에 대한 독일인의 잔혹함으로 간주되는 것에 경악했다.그는 그것을 영적인 전쟁으로 간주했고, 영국과 그녀의 동맹국들이 독일의 사악함에 직면해 있으며, 따라서 '...공법 또는 군사면허'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싸우고 있었다.자유나 절대주의, 독립이나 비굴함, 진실이나 거짓, 순결이나 부패, 믿음이나 힘, 사랑이나 증오, 그리스도나 벨리엘...'[8] 그는 전쟁에 특히 적극적인 성직자와 그 가족들을 매우 자랑스러워했다.여기에는 목사로 MC를 받은 친아들 레지날드와 국경연대 소령이었던 필립, 그리고 VC를 수상한 허튼루프테오도르 하디 대리 등이 포함됐다.채플랭으로 자원해 교회군에서 복무한 그의 조수인 바로우인푸르네스의 주교와 주중에는 군수공장에서 일하다가 주말이면 교구로 돌아와 예배를 드렸던 암블레사이드의 총독은 찬사를 받았다.대부분의 동료들과 달리, 그는 자신의 성직자들이 전투원으로 입대하는 것을 금지하기를 거부하면서 '성직자가 입대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면 다른 사람들이 입대하도록 격려할 수 있을까?만약 우리가 신성한 대의명분을 위해 죽은 사람들을 기리고 찬양한다면, 성직자들이 그렇게 고귀한 대의명분을 위해 입대하는 것이 어떻게 잘못될 수 있는가?'[9]라고 물었다.디글은 또한 만약 그들이 '군대의 나이와 국가의 필요에 있어 이 중요한 시기에 의학적으로 적합하다'고 한다면 서품을 위한 후보자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10]디글의 마지막 임무 중 하나는 윌슨의 조상이 숭배했던 부적응자 예배당에 미국의 윌슨 대통령과 함께 하는 것이었고, 그가 CofE 주교였기 때문에 널리 비난을 받았다.디글은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고 교구 방문 시 대통령을 맞이하고 싶었다.[11]디글은 1920년 3월 24일 사망할 때까지 주교직을 계속했다.[12][13]

사생활

1874년 디글은 씨슬리 제인 버터필드와 결혼했다.1884년 디글은 에디스 모스와 결혼했다.디글은 4남 1녀 등 5명의 자녀를 두었다.[14]

그의 아들 퍼시 로버트 디글1910년 영국·아일랜드 라이온즈의 초기 화신인 아르헨티나 RFU 투어에서 영국을 대표하는 럭비 유니온 인터내셔널이었다.

참조

  1. ^ Donald P. Leinster-Mackay (2004). "Diggle, Joseph Robert (1849–1917)".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16 January 2010.
  2. ^ "Who was Who" 1897–90 런던, A&C Black, 1991 ISBN 0-7136-3457-X
  3. ^ Chisholm, Hugh, ed. (1922). "Diggle, John William"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30 (12th ed.). London & New York: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Company. p. 839.
  4. ^ 게누키
  5. ^ 1889년 7월 11일 목요일, 페이지 5; 이슈 32748; 콜 D 교회 약속
  6. ^ 런던 가제트
  7. ^ 컴브리아의 이미지
  8. ^ Carlisle Diopsan Gazette, 1915년 7월.이 월간지들은 전쟁에 관한 정기적인 뉴스와 특집 기사를 실었다.
  9. ^ 1915년 12월 칼리슬 디오피스 크로니클
  10. ^ op cit 1916년 6월
  11. ^ The Times 부고, 26.3.1920
  12. ^ 국립문서보관소
  13. ^ 부고 칼리슬의 주교. 1920년 3월 26일 The Times Friday; 페이지 18; 발행물 42369; 대장 B.
  14. ^ "Diggle, Rt. Rev. John William". Who Was Who. Oxford University Press. April 2014. Retrieved 31 January 2017.
잉글랜드의 교회 직함
선행자 칼리슬 주교
1905–1920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