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홀랜더

John Hollander
존 홀랜더
John Hollander.jpg
태어난(1929-10-28)1929년 10월 28일
맨해튼
죽은2013년 8월 17일(2013-08-17)(83)
코네티컷 주 브랜퍼드
모교컬럼비아 대학교 (BA, MA)
인디애나 대학교 (PHD)
장르.
배우자앤 로서;
나탈리 차르코우
아이들.마사 홀랜더, 엘리자베스 홀랜더

홀랜더(John Hollander, 1929년 10월 28일 ~ 2013년 8월 17일)는 미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였다.[1] 사망 당시 그는 예일대 영어 명예 스털링 교수코네티컷대 헌터칼리지, CONY 대학원에서 이전에 강의한 경험이 있다.

인생

올랜더는 맨해튼에서 유대계 이민자 부모인 [2]무리엘(코른펠트)과 프랭클린 홀랜더 사이에서 태어났다. 프린스턴대 비교문학 교수 로버트 홀랜더(1933~2021년)의 형이었다. He attended the Bronx High School of Science[3] and then Columbia College of Columbia University, where he studied under Mark Van Doren and Lionel Trilling, and overlapped with Allen Ginsberg (Hollander's poetic mentor),[4] Jason Epstein, Richard Howard, Robert Gottlieb, Roone Arledge, Max Frankel, Louis Simpson and Steven Marcus. 콜롬비아에서 그는 멧돼지 우두머리 협회에 가입했다.[5] 졸업 후, 그는 고전 음악 앨범의 라이너 노트를 쓰면서 잠시 자신을 지지하다가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그 후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돌아왔다.[6]

올랑드르는 코네티컷 우드브리지에 거주하면서 여러 번의 고등학교 암송 대회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학생들과 함께 시를 작업하고 가르치는 것이 즐거웠다고 말했다. 전 부인 앤 로서(피아니스트 아서 로서의 딸,[7] 1953-77년 결혼)와 함께 그는 작가 마사 홀랜더의 아버지, 작곡가홀랜더의 삼촌이었다. 그는 1981년에 나탈리 차르코우와 결혼했다.

홀랜더는 2013년 8월 17일 코네티컷 브란포드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

시적 경력

홀랜더는 큰 소리로 시를 듣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좋은 시는 귀를 만족시킨다. 그것은 당신을 붙잡아주고, 알려주고, 즐겁게 해주는 이야기나 그림을 만들어준다.[9] 시인은 "의식의 소리, 말의 음악"[10]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홀랜더에게 시는 말로써 음악의 한 종류였고, 그는 인간 목소리와 그들의 연관성에 대해 웅변적으로 말했다.[4]

이디시어의 번역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홀랜더는 보통 컴퓨터로 시를 썼지만 영감이 떠오르면 "나 역시 냅킨과 종이 조각에 시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고 제안했다.

홀랜더는 또한 그의 "Powers of 13" 시에서 검증했듯이, 기술적인 시적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는데,[11] 이는 각 행에 13음절로 이루어진 169 (13x13) 비휘발성 13행 스탠자의 연장된 시퀀스였다.[12] 이러한 제약조건들은 홀랜더의 상상력을 억제하기보다는 해방시켜, 홀랜더가 이 작품을 "영구적인 달력"으로 상상할 수 있게 하는 은유의 융합을 주었다.[13] 홀랜더는 또한 시를 "그래피히메마틱" 엠블렘(Type of Shapes, 1969), 서간시(Spiscience of Spycles, 1976년)로 작곡했으며,[14] 비평가(Vision and Community: 시적 형태의 두 가지 감각, 1975년)은 단어와 음악, 그리고 시와 운율 실험에서의 소리와의 관계, 그리고 '그래픽 프로소디의 이론의 결여'[16]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15]

올랑드르는 시인 토드 라로슈와 칼 키르흐웨이에 영향을 끼쳤으며 이들은 둘 다 예일대에서 올랑드르 밑에서 공부했다. 올랑드르는 그에게 시를 쓰는 일을 중심으로 삶을 꾸리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르쳤다.[17] Kirchwey는 홀랜더의 열정을 회상했다.[17] '그 자신은 시인이기 때문에... 그는 현재의 영감의 원천으로서 그 지식에 대한 열정을 전달했다.'

올랑드르 역시 이사회 멤버인 웨슬리언 대학 출판부(1959–62) 시 편집 보좌관, 파르티 리뷰(1959–65) 및 하퍼스 매거진(1969–71)의 기고 편집장직을 역임했다.[18] 그리고 시 평론가로서의 그의 다른 역할도 시작했다.[19]

올랜더의 시는 밀턴 밥빗, 엘리엇 카터 등에 의해 음악으로 정해졌고,[20] 2007년에는 이글스와 협업하여 그의 시 "An Old Fashioned Song"을 사용하여 "No More Walks in the Wood"[21]를 만들었다.

수상 및 수상

작동하다

  • 가시덤불시(1958)
  • 천지개벽(1961년)
  • 해롤드 블룸바람과 비(1961) 편집장
  • 영화-고잉(1962)시
  • 필로멜(1964) 미국 작곡가 밀턴 밥빗의 동명 작곡을 위한 "칸타타 텍스트"
  • 람블 (1965) 에서 본 환영
  • 지그재그-포커리: 앤서니 헤히트함께한 더블 닥틸스 컴펜디엄(1967)
  • 형상의 종류 (1969, 1991년)
  • 음성(1970년) 비판의 이미지
  • 밤거울(1971)
  • 도시와 시골의 문제 (1972)시
  • 옥스퍼드 영문학집(1973년), 공동편집자
  • 침대의 머리 (1974)시
  • 아버지 이야기 (1975)시
  • 비전과 공명(1975) 비판
  • 스파이 활동에 대한 반성 (1976)시
  • 스펙트럼 방출: 신시엄선된 시(1978)
  • 청포도주(1979)시
  • 에코의 인물(1981) 비판
  • Rymmy's Reason: 영어 운문(1981, 1989, 2001, 2014) 매뉴얼
  • 열세 시(1983)의 힘
  • 시간과 장소 (1986) 시에서
  • 하프호(1988)시
  • 시적 언어의 소설적 패턴 (1988)
  • 몇몇 도망자들이 커버를 찍다 (1988)
  • The Essential Rossetti (1990), 편집자
  • 테세레와 다른 시(1993)
  • 선정시(1993)
  • 미국 시: 19세기(1993년), 편집자
  • 동물시(1994)시
  • 가저의 정령: 침묵의 예술작품에 말하는 시(1995) 비평
  • 기억력에 전념: 100 가장 암기하기 좋은 시(1996) 편집자
  • 시학》(1997) 비평
  • 일상의 시》(1998) 비평
  • 그림 머리기타 시(1999)
  • 소네트. 단테부터 현재(2001년)까지 에브리맨의 도서관은 시인을 포켓으로 한다.
  • 그림 창(2003)
  • American Wits: An An Anthology of Light Porse(2003), 편집자
  • 홀린 시와 유령의 시(2005), 편집자
  • 빛의 초안 (2008), 시
  • 그림자의 실체: 시적 역사의 다크닝 트로피 (2016), 강연

참조

  1. ^ "John Hollander". NNDb.com. Retrieved March 6, 2016.
  2. ^ "John Hollander Biography". Enotes.com. Retrieved March 6, 2016.
  3. ^ J.D. McClatchy, "John Hollander, The Art of Poets No. 35", Paris Review (1984년 가을)
  4. ^ Jump up to: a b 예지, 데이비드, The New Criteria, vol. 32, 2013년 10월.
  5. ^ "History". Columbia Review. Retrieved March 5, 2016.
  6. ^ 킬러, 게리슨 작가 연감은 2006년 11월 7일 웨이백머신보관되었다. 2006년 10월 28일.
  7. ^ Benjamin Ivry (February 3, 2009). "Praising Sacred Places: Richard Howard's Jewish Roots - Culture –". Forward.com. Retrieved March 6, 2016.
  8. ^ Grimes, William (August 18, 2013). "John Hollander, Poet at Ease With Intellectualism and Wit, Dies at 83". The New York Times.
  9. ^ Jump up to: a b c Boynton, Cynthia Wolfe, "Pop Music Beat", 뉴욕 타임즈, 코네티컷 및 지역 섹션 2008년 2월 10일 페이지 6.
  10. ^ 에세이: "귀 속의 시", 비전과 공명: 시적 형태의 두 가지 감각 (1975년).
  11. ^ 하워드 리처드, 미국에서 홀로: 1950년, 1969년 이후 미국의 시 예술에 관한 에세이.
  12. ^ 브레슬린, 바울, 13권력 검토, , 제145권, 제3호, 1984년 12월.
  13. ^ 리먼, 데이비드 - 1984년 1월 23일 뉴스위크에 실린 기사.
  14. ^ 홀랜더, 존 - 2003년 3월/4월 폴 데블린과의 이메일로 인터뷰
  15. ^ 애트리지, 데니스, 비전공명 검토: 시적 형태의 가지 감각, MLR, 제72권, 제3호, 1973년 7월.
  16. ^ Rothman, David, "통과, 산문 연설, 카운팅과 그래픽 질서의 문제", Versipation, 1권, 1권, 1997년 3월 21일.
  17. ^ Jump up to: a b John swansburg (April 29, 2001). "At Yale, Lessons in Writing and in Lif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October 15, 2010. Karl Kirchwey, who graduated from Yale in 1979, recently became the director of creative writing at Bryn Mawr College, after having run the Unterberg Poetry Center at the 92nd Street Y for over a decade. He remembers his first two years at Yale as unfocused and unproductive.
  18. ^ "John Holland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9, 2011. Retrieved March 3, 2011.
  19. ^ 홀랜더, 존, 리뷰 "스탠리 코벨과 이성의 주장", 비판적 질문, 제6권, 제4권, C P의 U, 1980년 여름.
  20. ^ 1995년 12월 현대시의 독서
  21. ^ Sam Hollander, New York Times Magazine, 2013년 12월 21일 "The Lives they Lived".
  22. ^ 코네티컷 주, 사이트 º 2008년 3월 14일 웨이백 머신보관된 º 기호, 2007년 1월 4일 검색된 코네티컷 주 등록 설명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