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일리오풀로스
John Iliopoulos존 일리오풀로스(그리스어: ιάννυυυυυυυυυυυυυ 1940 1940 1940 1940 1940 1940 1940 1940 1940,, 1940년, 그리스의 칼라마타)는 그리스의 물리학자이다.그는 단일 보고서에서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델을 제시한 최초의 사람입니다.그는 셸던 글래쇼와 루치아노 마이아니와 함께 참 쿼크를 예측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Iliopoulos는 또한 표준 모델에서 [2]이상 징후를 취소하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는 1974년에 도입된 파예트-일리오풀로스 D-항 공식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그는 현재 파리 에콜 노르말 수페리에르의 이론 물리학 연구소의 명예 회원입니다.
전기
Iliopoulos는 1962년에 아테네 국립 기술 대학(NTUA)을 기계 전기 공학자로 졸업했습니다.그는 파리 대학에서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 공부를 계속했고 1963년에는 D.E.A, 1965년에는 Doctorat 3e Cycle, 1968년에는 Doctorat d'Etat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1966년부터 1968년까지 제네바 CERN의 학자로 재직했습니다.1969년부터 1971년까지 그는 하버드 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1971년 그는 파리로 돌아와 CNRS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991~1995년부터 1998~2002년까지 Ecole Normale Superieure 이론물리학 연구소장을 역임했습니다.2002년, 일리오풀로스는 아리스테이오 상을 처음으로 수상했는데, 아리스테이오 상은 그들이 선택한 과학 분야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공헌을 한 그리스인들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일리오풀로스와 마이아니는 1987년 이론입자물리학으로 사쿠라이상을 공동 수상했다.2007년 일리오풀로스와 마이아니는 ICTP의 디락 메달(f) 또는 참 쿼크의 물리학에 대한 연구로 현대 소립자 이론인 표준 모델의 탄생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과학적 연구
일리오풀로스는 고에너지 이론 물리학과 소립자 물리학의 전문가이다.1970년, 셸던 글래쇼와 루치아노 마샤니와 협력하여, 그는 "표준 모델"[3]로 알려진 근본적인 상호작용 이론의 필수적인 요소인 소위 "GIM 메커니즘"을 도입했다.이 메커니즘은 경험에 의해 확인된 예측인 "충전된" 쿼크라는 새로운 소립자의 존재를 가정합니다.1972년, 클로드 부아티와 필립 [4]마이어와 협력하여, 그는 표준 모델의 수학적 일관성이 물질의 기본 구성 요소인 쿼크와 렙톤(전자, 뮤온, 중성자 등) 사이의 대칭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증명했다.이 대칭성은 실험적으로도 검증된다.
일리오풀로스는 페르미온과 보손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대칭인 슈퍼사이머트리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그는 P와 협력하여 주목할 만한 수렴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파예는 [5]자연 파괴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제안했어요그는 또한 비가환 기하학적 공간에서 공식화된 불변 게이지 이론의 수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중력의 양자 이론의 일부 측면도 연구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출판물
- Glashow, S. L.; Iliopoulos, J.; Maiani, L. (1970-10-01). "Weak Interactions with Lepton-Hadron Symmetry". Physical Review D.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2 (7): 1285–1292. doi:10.1103/physrevd.2.1285. ISSN 0556-2821.
- Bouchiat, C.; Iliopoulos, J.; Meyer, Ph. (1972). "An anomaly-free version of Weinberg's model". Physics Letters B. Elsevier BV. 38 (7): 519–523. doi:10.1016/0370-2693(72)90532-1. ISSN 0370-2693.
- Iliopoulos, J.; Zumino, B. (1974). "Broken supergauge symmetry and renormalization". Nuclear Physics B. Elsevier BV. 76 (2): 310–332. doi:10.1016/0550-3213(74)90388-5. ISSN 0550-3213.
- Fayet, P.; Iliopoulos, J. (1974). "Spontaneously broken supergauge symmetries and goldstone spinors". Physics Letters B. Elsevier BV. 51 (5): 461–464. doi:10.1016/0370-2693(74)90310-4. ISSN 0370-2693.
- Antoniadis, I.; Iliopoulos, J.; Tomaras, T. N. (1986-03-31). "Quantum Instability of de Sitter Space". Physical Review Letter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56 (13): 1319–1322. doi:10.1103/physrevlett.56.1319. ISSN 0031-9007. OSTI 1447832. PMID 10032637.
- Floratos, E.G.; Iliopoulos, J.; Tomaras, T.N. (1987). "Tree-level scattering amplitudes in de Sitter space diverge". Physics Letters B. Elsevier BV. 197 (3): 373–378. doi:10.1016/0370-2693(87)90403-5. ISSN 0370-2693.
- Floratos, E.G.; Iliopoulos, J.; Tiktopoulos, G. (1989). "A note on SU(∞) classical Yang-Mills theories". Physics Letters B. Elsevier BV. 217 (3): 285–288. doi:10.1016/0370-2693(89)90867-8. ISSN 0370-2693.
- Floratos, E.G.; Iliopoulos, J. (2006). "Gauge theories and non-commutative geometry". Physics Letters B. 632 (4): 566–570. arXiv:hep-th/0509055. doi:10.1016/j.physletb.2005.10.081. ISSN 0370-2693.
- J. Iliopoulos, Auxines de la mass, EDP Sciences (2015년)발신)
- L. Baulieu, J. Iliopoulos, R. Sénéor, 클래식에서 퀀텀 필드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2017)
- 테오도르 N토마스, 존 일리오풀로스, 소립자 물리학 - 표준 이론,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21년)
어워드
- 1978년 프랑스 물리학회 폴 랑제뱅상
- 1980년 그리스 아테네[6] 아카데미 특파원
- 1984년 프랑스 물리학회 장리카르상
- 1987년 미국물리학회 사쿠라이상
- 1990/2002 프랑스 과학아카데미 통신/정회원
- 1996년 프랑스 엑스마르세유, 메디테라네 대학교 닥터 호너리스 causausa
- 1999년 그리스 크레타 대학교 닥터 호너리스 causa
- 2002년 그리스 이오아니나 대학교 닥터 호너리스 causa
- 2002년 그리스 아테네 대학교 닥터 호너리스 causa
- 2002년 보도사키상
- 2005년 마테우치 메달, Academia Nazionale delle Scienze, detta dei XL
- 2007년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Abdus Salam 국제이론물리학센터 Dirac 메달
- 2011년 고에너지 물리학상, 유럽물리학회
- 프랑스 Ecole Normale Supérieure, 2013 Three Physicalists Award(세 명의 물리학자상)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S. L. Glashow; J. Iliopoulos; L. Maiani (1970). "Weak Interactions with Lepton-Hadron Symmetry". Phys. Rev. D2 (7): 1285. Bibcode:1970PhRvD...2.1285G. doi:10.1103/PhysRevD.2.1285.
- ^ Bouchiat, Cl, Iliopoulos, J 및 Ph. 마이어(1972) "바인버그 모델의 변칙 없는 버전"물리학 서신 B38, 제7호(1972) 519-523.
- ^ Glashow, S. L.; Iliopoulos, J.; Maiani, L. (1970-10-01). "Weak Interactions with Lepton-Hadron Symmetry". Physical Review D.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2 (7): 1285–1292. doi:10.1103/physrevd.2.1285. ISSN 0556-2821.
- ^ Bouchiat, C.; Iliopoulos, J.; Meyer, Ph. (1972). "An anomaly-free version of Weinberg's model". Physics Letters B. Elsevier BV. 38 (7): 519–523. doi:10.1016/0370-2693(72)90532-1. ISSN 0370-2693.
- ^ Fayet, P.; Iliopoulos, J. (1974). "Spontaneously broken supergauge symmetries and goldstone spinors". Physics Letters B. Elsevier BV. 51 (5): 461–464. doi:10.1016/0370-2693(74)90310-4. ISSN 0370-2693.
- ^ "Members of the First Section". Academy of Athens. Retrieved 2022-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