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레처
John Letcher존 레처 | |
---|---|
![]() | |
미 하원 의원 버지니아 11구역 출신 | |
재직중 1851년 3월 4일 – 1853년 3월 3일 | |
선행자 | 제임스 맥도웰 |
성공자 | 존 F. 스노드그래스 |
미 하원 의원 버지니아 9구역 출신 | |
재직중 1853년 3월 4일 – 1859년 3월 3일 | |
선행자 | 제임스 F. 스트로터 |
성공자 | 존 T. 해리스 |
제34대 버지니아 주지사 (1861년부터 해산) | |
재직중 1860년 1월 1일 – 1864년 1월 1일 | |
중위 | 로버트 라탄 몬태규 |
선행자 | 헨리 A. 지혜로운 |
성공자 | 윌리엄 스미스 (사설) 프랜시스 피에르폰트 (유니온주의자) |
버지니아 총회 의원 | |
재직중 1875–1877 | |
개인내역 | |
태어난 | 미국 버지니아 주 렉싱턴 | )1813년 3월 29일
죽은 | 1884년 1월 26일 미국 버지니아 주 | (70세)
휴게소 | 오크 그로브 묘지 버지니아 주 렉싱턴 |
정당 | 민주적인 |
배우자 | 수전 홀트 |
직업 | 정치인, 변호사, 언론인 |
존 레처(John Letcher, 1813년 3월 29일 ~ 1884년 1월 26일)는 미국의 변호사, 언론인, 정치인이었다. 미국 의회 하원의원을 지냈고, 남북전쟁 당시 버지니아의 34대 주지사를 지냈으며, 이후 버지니아 총회에서 활동했다. 그는 또한 버지니아 군사 연구소의 방문자 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전기
초년기
존 레처는 버지니아주 록브리지 카운티의 렉싱턴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버지니아주 보이드턴에 있는 사립 시골학교와 랜돌프-마콘 칼리지(더 늦게 버지니아주 애슐랜드로 이전)를 다녔다. 1833년, 그는 렉싱턴의 워싱턴 아카데미를 졸업했다. 그는 법학을 공부했고 버지니아 주 변호사(Virginia State Bar)에 입학했으며 1839년 렉싱턴에서 개업했다.
경력
레쳐는 1840년부터 1850년까지 (세난도아) 밸리 스타 신문의 편집장이었다. 그는 1840년, 1844년, 1848년 대통령 선거 운동에서 활동했으며, 1848년에는 민주당 선거인으로 활동했다. 비록 진정한 폐지론자는 아니지만, 그는 블루리지 산맥 서쪽 버지니아의 그 지역에서 노예제 폐지를 제안하는 1847년의 러프너 팜플렛에 서명했다. 그러나 그는 곧 이 노예제 폐지 반대 입장을 부인했다. 그는 1850년 버지니아 헌법 협약의 대표였다.
민주당 후보로 선출되었고, 1851년부터 1859년까지 미국 의회에서 대표를 지냈다. 의회에서는, 그는 정부의 사치에 대한 반대 때문에 "정직한 존"으로 알려져 있었다.
미국 남북 전쟁
존 레쳐는 1859년 휘그 후보 윌리엄 L. 고갱을 누르고 버지니아 주지사로 선출되었고, 1860–1864년부터 재임했다.
그는 지명을 수락하면서 "버지니아와 다른 노예 국가에 존재하는 노예 제도를 도덕적으로,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옳다고 간주한다"고 말했다. 수년 전 레처 씨는 노예제도의 축복에 대한 신념이 덜 결정되었다. 그는 심지어 폐지론자였다는 죄까지 받고 있다.[1]
레처는 임박한 미국 남북전쟁을 막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기 위해 1861년 2월 8일 워싱턴에서 만난 평화협회의 조직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분리를 금했으나 1861년 4월 17일 버지니아가 통과시킨 조례를 지지하는데 적극적이었다. 버지니아주가 궁극적으로 연방에서 탈퇴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일반 투표를 계획했음에도 불구하고, 버지니아 분리 협약과 주 정부, 특히 버지니아 주지사의 행동은 버지니아를 연방에서 사실상 제외시켰다.[2][3] 국민투표는 1861년 5월 23일에 실시되었고 버지니아 유권자들은 압도적으로 세습조항을 찬성했다.[4] 레처 주지사는 로버트 E를 임명했다. 1861년 4월 22일 미국 육군 대령직에서 막 물러난 이 전 대통령은 1861년 4월 육군과 해군 총사령관으로 소장에 올랐다.[5] 1861년 4월 24일 버지니아와 남부 연합은 버지니아가 남부 연합에 합류하는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버지니아군은 제퍼슨 데이비스 남부 연합 대통령의 전반적인 지휘를 받게 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5]
존 브라운 볼드윈 대령은 1863년 5월 제2차 남군 의회 의석을 차지하기 위해 레쳐를 물리쳤다. 1864년, 렉싱턴에 있는 그의 집은 데이비드 헌터 장군의 습격으로 연합군에 의해 불탔다.
전후
남북전쟁이 끝난 후 레쳐는 렉싱턴에서 법의 관행을 재개했다. 그는 버지니아 총회 1875–1877에서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버지니아 군사 연구소(VMI) 1866–1880의 방문자 위원회 멤버였으며, 10년 동안 이사회 의장을 지냈다.
1884년 1월 26일 7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버지니아주 렉싱턴의 장로회 묘지(현 오크 그로브 묘지)에 매장되었다.
선거사
1859년 – Letcher는 미국인 윌리엄 Leftwich Goggin을 누르고 버지니아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가족
레처의 아들 존 데이비드슨 레쳐는 1892년 1월부터 1892년 6월까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재직하면서 오리건 주립대학의 교수였다. 그의 아들 그린리 D. 레쳐는 버지니아 하원 의원에서 두 번의 임기를 마쳤다. 레처 주지사에게는 딸 리지가 있었는데, 리지는 워싱턴의 언어 교수인 제임스 해리슨과 이 교수와 결혼했고 이후 버지니아 대학의 로망스 테우토닉 언어학과장이 1895년 이후 결혼했다.
참조
- ^ "(Untitled)". Anti-Slavery Bugle (Lisbon, Ohio). January 22, 1859. p. 2 – via newspapers.com.
- ^ 1971년, 페이지 60.
- ^ 데처, 데이비드. 불협화음: 포트 섬터와 황소 달리기 사이의 격동의 나날들. 뉴욕: 하코트, 2006. ISBN 978-0-15-603064-9 (pbk.) 페이지 49.
- ^ "Virginia Convention of 1861 – Encyclopedia Virginia".
- ^ a b 샤프, 존 토마스. 남군 해군의 조직에서 마지막 함선의 항복까지의 역사. 뉴욕: 로저스 & 셔우드, 1887년, 페이지 39. OCLC 317589712. 2011년 2월 1일 검색됨
책들
- 버지니아 주의 존 레처, F.N. (1966) 버지니아의 남북전쟁 주지사 이야기 대학교, 앨라: 앨라배마 대학교 출판부, 1966.
- 긴 E. B. 남북전쟁의 날: An Almanac, 1861–1865. NY: Doubleay, 1971. OCLC 68283123
웹사이트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존 레처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