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맥쿼리

John Macquarrie

존 맥쿼리

John Macquarrie.jpg
태어난(1919-06-27)1919년 6월 27일
렌프루, 스코틀랜드
죽은2007년 5월 28일(2007-05-28) (87세)
배우자제니 팔로우 (네 웨일스 주)
교회생활
종교기독교(프리스트교 · 성공회)
교회
서수드
  • 1945년(프레시베리안)
  • 1965년 (앵글리칸 집사 겸 사제)[1]
학력
모교글래스고 대학교
박사학위 자문위원이언 헨더슨
영향마틴 하이데거
학술사업
규율신학
하위 수양체계신학
학교 또는 전통실존주의
기관

존 맥쿼리 TD FBA(1919~2007)는 스코틀랜드 태생의 신학자, 철학자, 성공회 사제였다. 그는 기독교 신학의 원리(1966년)와 근대 사상 예수 그리스도의 저술가(1991년)이다. 성공회 신학자 핸드북에 쓴 티모시 브래드쇼는 맥쿼리를 "20세기 후반 영국 성공회에서 가장 두드러진 체계적인 신학자"[2]라고 묘사했다.

인생과 경력

맥쿼리는 1919년 6월 27일 렌프루에서 독실한 장로교 집안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게일어의 뿌리가 강한 스코틀랜드 교회장로였다. 맥쿼리는 저명한 학자 찰스 아서 캠벨(MA 1940)의 밑에서 글래스고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기 전에 페이즐리 문법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신학 학위(BD 1943)를 취득했다.

맥쿼리는 영국군에 입대하여 1943년부터 1948년까지 복무했다. 1945년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장로교 목사로 서품된 뒤 영국 육군 차플레인스 부서(1945~1948)에서 근무했다. 노예해방 이후 그는 스코틀랜드 성 니니안 교회의 교구 목사(1948–1953)를 지냈다.

맥쿼리는 글래스고 대학으로 돌아와 박사학위를 공부했는데, 글래스고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체계적인 신학 강사로 재직하던 중 1954년 수여받은 박사학위 수여식이다. 그의 감독관은 이안 헨더슨으로, 바슬의 칼 바르스의 제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신학적으로 그의 논쟁자인 루돌프 볼트만과 더 밀접하게 일치했다.

1962년 맥쿼리는 뉴욕시 유니온신학대학원의 체계적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맥쿼리는 미국에 있는 동안 성공회의 일부인 성공회의 일원이 되었다. 스코틀랜드에 있는 동안 그는 오랫동안 그곳의 성공회에 매력을 느꼈지만, 가족의 감정과 그들의 강한 장로교 뿌리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회원을 유지했다. 그는 미국 성공회에 참여하면서 결국 1965년 6월 16일 뉴욕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게 되었다. 다음날(코퍼스 크리스티 축제) 그는 뉴욕시의 성모 마리아 교회에서 첫 성찬식을 가졌다.

그는 1970년부터 1986년까지 옥스퍼드 대학신학 교수인 레이디 마거릿 옥스퍼드 크리스처스성직자였다. 은퇴 후에도 그는 옥스포드에서 계속 살았고 명예교수와 명예교수로 임명되었다. 1996년부터 그는 미국 대학원 신학재단에서 마틴 하이데거 철학 신학 교수로 재직했다.

맥쿼리는 1962년에 영지훈장을 받았다. 1964년 글래스고 대학은 그에게 서신박사 학위를 수여했고 1969년 대학은 그에게 신성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옥스퍼드 대학의 마가렛 부인에게 임명되었을 때 그는 예술의 달인으로 인정받았다. 1981년 그는 옥스퍼드 대학의 신학박사가 되었고 1984년에 영국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남대(1967년)와 일반신학대학원(1968년), 서남대 성공회신학대학원(1981년), 데이턴대(1994년), 캐논대 신학재단 인디애나, 캐논법학 박사 등에서도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m 나쇼타 하우스(1986년).

그는 1983–1984년 기포드 강사로 있으면서 "신을 찾아서"라는 주제를 강의했다.

맥쿼리는 종종 실존주의자체계적인 신학자로 분류된다. 그의 가장 중요한 철학적인 영향력은 마틴 하이데거의 작품이다. 이러한 영향력은 맥쿼리의 1954년 논문 "실존주의 신학"으로 출판된 것으로 추적할 수 있다. 하이데거와 볼트만의 비교(1955)[3] 맥쿼리는 하이데거 작품의 가장 중요한 해설자 및 해설자 중 한 명으로 남아 있다. 그가 Being과 Time을 영어로 공동 번역한 것은 정식 버전으로 간주된다.[4] 그는 또한 루돌프 볼트만의 신학적이고 철학적인 작업에 대한 주목할 만한 영어 해설가였다.

맥쿼리의 가장 널리 읽히는 책으로는 주제의 소개로 의미하는 실존주의, 그리고 그의 주요 저서인 기독교 신학의 원리 등이 있으며, 실존주의와 정통 기독교 사상을 조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체계적인 신학의 저작이다. 그의 작품은 모든 측면과 관점에 대해 공평한 태도로 특징지어지며, 비록 철학에 대한 좋은 배경이 없는 사람들에게 항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글은 매력적이고 종종 재치있는 것으로[who?] 간주된다 - 적어도 실존주의와 체계적 신학의 기준으로 평가된다.

다른 신앙 전통에 대한 견해

맥쿼리는 비록 싱크로트주의를 거부했지만, 진리의 가치는 다른 신앙 전통에 존재할 수 있다고 믿었다. 는 저서 인간과 신 사이의 중재자(1996년)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5]

1964년에 나는 '기독교와 다른 신앙'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출판했다... 나는 그때 내가 표현했던 관점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우리 자신의 전통을 고수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전통을 존중하고 배우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산문화는 끝이 있어야 하지만 똑같이 바하히 운동에 의해 정형화된 종류의 싱크로트주의는 없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p. 2)[5]

맥쿼리는 이 책에서 자신의 추종자들에게 인간과 신 사이의 중재자로 간주된 9명의 역사적 인물에 대해 언급했다. 이들 '중재자'에 대해 맥쿼리는 이렇게 썼다.

[T]여기서는 어떤 중재자라도 다른 중재자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시도는 없을 것이다. 이미 말한 것은... 그런 판단은 불가능하다는 걸 보여줬어 어떤 인간도, 그리고 확실히 현재 작가는 아니지만, 그러한 판단을 내리는 데 필요한 기준이나 몇몇 중재자의 철저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나 그녀나 그나 그녀는 그 질문에 대한 순수한 객관적 관점을 가능하게 하는 분리된 상황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오직 신만이 그런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5]p.12)

라고 그는 결론지었다.

나는 하나님의 진리가 다른 경로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도달했다는 것을 잠시도 부정하지 않는다 – 정말로 나는 그것이 그렇게 되었기를 바라고 기도한다. 그래서 중재자 한 명에게는 특별한 애착이 있지만, 나는 그들 모두를 존중하고 각각에 대한 공정한 발표를 하려고 노력해왔다. (12 페이지)[5]

맥쿼리는 2007년 5월 28일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미망인 제니는 2008년 8월 세상을 떠났다. 그는 2남 1녀를 남기고 죽었다. 그의 기록 보관소는 옥스포드 보들리언 도서관이 관리하고 있다. 맥쿼리의 개인 연구 도서관, 강의 기록, 도서관 명부, 설교 테마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컬렉션인 맥쿼리 프로젝트는 인디애나 주 대학원 신학 재단에 소장되어 있다.[6]

작동하다

책들

  • ——— (1955). An Existentialist Theology: a comparison of Heidegger and Bultmann. Library of Philosophy and Theology. London: SCM Press. OCLC 1213154.
  • Macquarrie, John (1960). The Scope of Demythologizing: Bultmann and His Critics. Library of Philosophy and Theology. London: SCM Press. OCLC 3398057.
  • ——— (1965). Studies in Christian Existentialism. Philadelphia, PA: Westminster Press. OCLC 385057.
  • ——— (1967). God-Talk: An Examination of the Language and Logic of Theology. New York: Harper & Row. OCLC 378817.
  • ——— (1967). God and Secularity. New Directions in Theology Today. Vol. 3. Philadelphia, PA: Westminster Press. OCLC 250894.
  • ——— (1968). Contemporary Religious Thinkers: From Idealist Metaphysicians to Existential Theologians. Harper Forum Books. New York: Harper & Row. OCLC 377984.
  • ——— (1968). Martin Heidegger. Makers of Contemporary Theology. Richmond: John Knox Press. ISBN 978-0-804-20659-4. OCLC 373485.
  • ——— (1970). Three Issues in Ethics. New York: Harper & Row. OCLC 62489.
  • ——— (1972). Existentialism. Theological Resources. Philadelphia, PA: Westminster Press. ISBN 978-0-664-20916-2. OCLC 415251.
  • ——— (1972). Paths in Spirituality. New York: Harper & Row. ISBN 978-0-060-65366-8. OCLC 333487.
  • ——— (1972). The Faith of the People of God: A Lay Theology. New York: Scribner. ISBN 978-0-684-12942-6. OCLC 514460.
  • ——— (1975). Christian Unity and Christian Diversity. London: SCM Press.
  • ——— (1975). Benediction. The Church Union.
  • ——— (1975). Thinking about God. New York: Harper & Row. ISBN 978-0-060-65367-5. OCLC 1346630.
  • 1977년——— (1966). Principles of Christian Theology. New York: Scribner. OCLC 384761. 2차 개정판
  • ——— (1978). Christian Hope. New York: Seabury Press..
  • ——— (1978). The Humility of God.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 ——— (1984). In Search of Deity: An Essay in Dialectical Theism. Gifford Lectures, 1983. New York: Crossroad. ISBN 978-0-824-50682-7. OCLC 11443103.
  • ——— (1984). Mystery and Truth. Milwaukee: Marquette University Press..
  • ———, ed. (1967). Dictionary of Christian Ethics. Philadelphia, PA: Westminster Press. OCLC 301246.
  • ——— (1986). Theology, Church, and Ministry. New York: Crossroad..
  • ———; Childress, James F., eds. (1986).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Ethics. Philadelphia, PA: Westminster Press. ISBN 978-0-664-20940-7. OCLC 12665561. - 기독교윤리사전 개정판
  • ——— (1987). The Reconciliation of a Penitent: A Report. GS Misc 258. Lambeth: General Synod of the Church of England..
  • ——— (1990). Jesus Christ in Modern Thought. London ; Philadelphia, PA: SCM Press ; Trinity Press International. ISBN 978-0-334-02457-6. OCLC 21077740.
  • ——— (1991). Mary for all Christians. Grand Rapids, MI: Eerdmans. ISBN 978-0-802-80543-0. OCLC 22909931.
  • ——— (1993). In Search of Humanity: A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London: SCM Press..
  • ——— (1994). Heidegger and Christianity. Hensley Henson Lectures, 1993-1994. London: Continuum.
  • ——— (1995). Thinghood and Sacramentality. Essex Papers in Theology and Society. Colchester: Centre for the Study of Theology in the University of Essex..
  • ——— (1996). Mediators Between Human and Divine. London: Continuum..
  • ——— (1999). A Guide to the Sacraments. London: SCM Press..
  • ——— (1998). Christology Revisited. Philadelphia: Trinity Press International..
  • ——— (1999). On Being a Theologian: Reflections at Eighty. London: SCM Press..
  • 초기 판은 1963년과 1981년에 출판되었다——— (2002). Twentieth-Century Religious Thought: The Frontiers of Philosophy and Theology. Edinburgh: Bloomsbury T. & T. Clark..
  • ——— (2003). Stubborn Theological Questions. London: SCM Press. ISBN 0-334-02907-4. OCLC 51771306.
  • ——— (2004). Two Worlds Are Ours: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Mysticism. London: SCM Press..
  • ——— (2012). Invitation to Faith. London: SCM Press..
  • ——— (2012). The Concept of Peace. Firth Lectures, 1972. Reissued with a new preface. London: SCM Press..

기사들

참조

  1. ^ "The Rev Professor John Macquarrie". The Telegraph. London. 30 May 2007. Retrieved 4 October 2018.
  2. ^ Alister E. McGrath (ed)의 Timothy Bradshaw, "John Macquarrie", The SPCK Handbook of Huccessful 신학자들, 페이지 167-168. 런던: SPCK. ISBN 978-0-281-05145-8
  3. ^ 우드슨, 2018년, 페이지 30-33
  4. ^ 윌리엄 블래트너(2006년).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독자의 안내서. 뉴욕: 연속 페이지 14. ISBN 0-8264-8608-8
  5. ^ a b c d 존 맥쿼리(1996년). 인간과 신의 중재자. 뉴욕: 컨티넘. ISBN 0-8264-1170-3
  6. ^ 대학원 신학재단 홈페이지.

추가 읽기

  • 맥쿼리의 생애와 사상의 전기로는 유진 토마스 롱의 존재, 존재, 그리고 신: 존 맥쿼리의 철학 신학 소개 (ISBN 0-913729-08-6) 1985년 (인쇄되지 않음)이다.
  • Alister E. McGrath (ed) 성공회 신학자들의 SPCK 핸드북 (London: SPCK, 1998), 페이지 168에 있는 Timothy Bradshaw, "John Macquarrie".
  • Coll, Niall (2008). "John Macquarrie's Post-Enlightenment Christology". Irish Theological Quarterly. 73 (3–4): 282–93. doi:10.1177/0021140008095439. S2CID 170659805.
  • Russell, John M. (1994). "Macquarrie on Ministry: A Critical Analysis". Asia Journal of Theology. 8 (2): 210–31.
  • 그의 1954년 논문에 대한 맥쿼리의 연구 기간 동안 글래스고에서 하이데거가 맥쿼리에 미친 영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휴 우드슨의 하이데거 신학에서 찾을 수 있다. 존 맥쿼리, 루돌프 볼트만,틸리히, 라너(유게네: Wipf and Stock, 2018) ISBN 978-1-5326-4775-8

외부 링크

학무실
선행자 레이디 마거릿 신학 교수
1970–1986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