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둔의 요한

John of Jandun

잔둔의 요한 또는 자둔의 요한(프랑스어 장 드 잔둔, 요하네스잔둔 또는 요하네스 잔두노, 1285년–1328년 경)은 프랑스의 철학자, 신학자, 정치 작가였다. 잔둔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거침없이 옹호하고 라틴계 평균주의 초기 운동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인생

잔둔은 1280년부터 1289년 사이에 프랑스의 샴페인 지역인 랭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얀둔(현대판 시그니-라바예)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자랐을 가능성이 크다.

잔둔은 1310년까지 파리의 예술 교수진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르면 1307년경에는 파리의 예술 교수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파리에 있는 교수 시절, 잔둔은 잘 알고 신학적 논쟁에 관여했다. 1315년 잔둔은 나바레대학의 교수진 원원이 되어 29명의 학생을 담당하였다. 1316년 교황 요한 XX2세는 잔둔에게 센리스의 성직을 수여했고, 이후 10년간 파리에서 계속 교편을 잡았지만 그곳에서 시간을 보냈을 가능성이 크다.

잔둔은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와 밀접하게 동일시되었는데, 그는 1312년부터 1313년까지 파리의 대학에서 교장을 지낸 또 다른 라틴계 평균주의자였다. 마르실리우스는 잔둔에게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제에 대한 피에트로 다바노의 논평 사본을 선물했다.

1324년 6월 19일 잔둔은 평생 집을 빌리는 사업거래에 관여했다. 나흘 후 마르실리우스는 데펜소르 파키스를 완성했다. 1326년 마르실리우스가 데펜소르 파키스를 저술한 사실이 알려지자 그와 잔둔은 함께 바이에른의 루이 4세 궁정으로 도망쳤다. 교황 요한 XXII는 1326년 9월 6일부터 잔둔에 대한 비난 성명을 발표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1327년 10월 23일 이단자로 잔둔을 파문시켰다.

잔둔은 루이 4세를 따라 이탈리아로 갔으며, 루이 4세가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한 1328년 5월 1일 로마에 출석하였다. 루이스는 잔둔을 페라라의 주교로 임명했다. 10주 후 잔둔은 루이 4세의 궁중으로 정식으로 받아들여졌고, 하인 3명과 말 3마리에 대해 무기한 배급을 받았다. 그 해 여름, 1328년 8월 31일경, 얀둔은 의 새 주교로 가는 도중에 토디에서 죽었다.

작동하다

잔둔은 아젠스 센스, 개인화 원리, 특정 지식에 대한 보편적 지식의 우선 순위에 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진공 이론, 형태, 형태와 물질, 영혼, 지성,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와 관련된 다른 주제들에 대해서도 썼다.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와 친밀하기 때문에 잔둔은 종종 데펜소르 파키스를 저작하거나 공동저작한 것으로 잘못 인정된다. 지금은 그가 쓰지 않았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얀둔이 이 작품에 대해 마르실리우스에게 조언했을 가능성이 있다.()[citation needed][1]

잔둔의 작품은 처음에는 1310년 또는 1307년쯤부터 집필을 시작했을지 모르지만 1314년 짧은 퀘이스티오인으로부터 시작하여 원고에 처음 등장했다. 그는 또한 1323년에 쓰여진 파리행 앙코미움(Tractatus de laudibus parisius)의 저자로, 14세기 그 도시에 대한 묘사를 제공한다.[2] 그의 작품에는 다음과 같은 판본이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애니마라는 슈퍼트레스 리브로스다. 베네치아: F. de Hailbrun & N. de Franckfordia societos, 1483. [1]
  • 질문: Magistri Joannis Dulaert a gandavo prphiii secum duplicum et realium inter sepitalum annessiis aliquiis aliquius et hardiusbuse Drabbe Bonicollii Gandensis. 파리지스: 1528년 클로스 브루넬로의 아푸드 프리겐티움 칼바린. [2]
  • 아리스토텔리스자리 사전의 간다보; Secundum viam nominium nunc. 파리지스: apud Prigentium Calvarin, 1528. [3]
  • 리브로스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 코엘로 퀘도 퀘이스트의 현존하는 퀘이스티온스 미분비시메, 콰이시무스 adjecimus Averrois : 설교실베리아 오르비스, um ejusdem Joannis commentario acquaistionibus. 베네치아: 준타스, 1552년 [4]
  • 두오데킴 리브로스 은유시카이에 나오는 퀴스티누스. 베네치아로1553번길 프랑크푸르트 신판: 미네르바, 1966.
  • 슈퍼 리브로스 아리스토텔리스애니마 베네치아, 1480, 1587 [5]. 신판: 프랑크푸르트: 미네르바, 1966년.
  • 퀘이스티온스 슈퍼 8리브로스 피에로룸 아리스토텔리스. 신판: 프랑크푸르트: 미네르바, 1969년.

레거시

잔둔의 작품은 파리로부터 14세기 볼로냐, 파두아, 에르푸르트, 15세기 크라코프까지 라틴계 평균주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잔둔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치우쳤지만, 어떤 사상을 그 논리적 결론에 따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의 견해 중 상당수는 흔하지 않고 논쟁의 여지가 있었으며, 가톨릭 교회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원고와 인쇄판은 갈릴레오 시대까지 라틴계 자유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 R에서 이 협력에 대한 언급이 있다. 루벤슈타인 "아리스토틀의 아이들" 페이지 237
  2. ^ 본문의 판은 소개서와 번역서와 함께 파리역사 14와e 15시e 등장하며, 문서에크리스 원문 & 에크리스 원문 & 독해설명 파 르 루스린시 L.M.에 나타난다. 티서랜드(파리: 임피리얼 임페리얼, 1867: 1-79.
  • 게위스, A. (1948년) 얀둔의 존과 방어자 파키스. 검경, 23(2), 267-272.
  • 그랜트, E. (1981) 중세시대부터 과학혁명에 이르기까지 아무것도 아닌 우주와 진공에 대한 많은 설이 있었다. (pp 10–32) 케임브리지 유니브 프로
  • 잉글리스, E. "고딕 건축과 스콜라스틱 건축: 장 드 잔둔의 'Tractatus de laudibus Parisius' (1323), 게스타 제 42권, 제 1권(2003), 페이지 63-85.
  • 맥클린톡, S. (1956) 위독성과 오류: 잰던의 "평균주의자" 존에 대한 연구 (pp. 4-101)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 마호니, E. P. (1998) 잔둔의 존. E. 크레이그(Ed.)에서, 로트리지 철학 백과사전 5권 (pp. 106–108)이다. 뉴욕, 뉴욕: 루틀리지.
  • 마렌본, J. (2003) 보나벤투어, 독일령 도미니카인, 그리고 새로운 번역본. J. 마렌본(Ed.)에서는 *중세철학: 철학의 루트리지 역사 제3권(pp. 225–240)을 참조한다. 뉴욕, 뉴욕: 루틀리지.
  • 남쪽, J. B.(2002년). 잔둔의 존. J. J. E. Gracia & T. B. Noone (Eds.)에서는 중세 철학의 동반자 (pp. 372–373)이다. http://www.elcaminosantiago.com/PDF/Book/A_Companion_To_Philosophy_In_The_Middle_Ages.pdf에서 검색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