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니 니모닉 (영화)
Johnny Mnemonic (film)조니 니모닉 | |
---|---|
![]() 극장 개봉 포스터 | |
연출자 | 로버트 롱고 |
각본: | 윌리엄 깁슨 |
에 기반을 둔 | 조니 니모닉 윌리엄 깁슨 지음 |
제작자 | 돈 카모디 |
주연 | |
시네마토그래피 | 프랑수아 프로타 |
편집자 | 로널드 샌더스 |
음악: | |
생산. 회사 | 조니 니모닉 프로덕션[1] |
배포자 | 얼라이언스 커뮤니케이션[2](캐나다) TriStar[1] Pictures (미국) |
발매일 |
|
실행 시간 | 96분[3] |
나라들. | |
언어 | 영어[1] |
예산. | 2,600만달러[4] |
매표 | 5,240만달러(최소)[4] |
조니 니모닉은 로버트 롱고가 감독한 1995년 사이버 펑크 영화이다.윌리엄 깁슨의 1981년 동명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키아누 리브스와 돌프 런드그렌이 출연한다.리브스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과부하, 사이버네틱 뇌 이식 수술을 받은 남자인 타이틀 캐릭터를 연기한다.이 영화는 깁슨의 2021년의 디스토피아적이고 예언적인 시각과 강력한 동아시아 영향과 함께 기술로 인한 역병에 시달리고, 음모로 넘쳐나고, 거대 기업들에 의해 지배되는 세계를 묘사하고 있다.
토론토와 몬트리올이 뉴어크와 베이징을 메우는 가운데 캐나다에서 촬영된 이 사진에는 토론토 유니언 역과 몬트리올의 스카이라인, 자크 카르티에 다리 등 많은 현지 사이트가 눈에 띈다.
감독의 컷에 가까운 긴 버전의 영화는 1995년 4월 15일 일본에서 초연되었으며, 마이샤엘 단나의 악보와 다른 [5]편집이 특징이다.이 영화는 1995년 5월 26일 미국에서 개봉되었다.
줄거리.
2021년에 사회는 "신경 감쇠 증후군" 또는 NAS라고 불리는 퇴보적인 효과를 창출한 가상 인터넷에 의해 주도된다.메가코퍼레이션은 세계의 많은 부분을 지배하고 있으며, NAS에 의해 이미 야기된 계급적 적대감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Johnny는 어린 시절의 기억을 희생하면서 자신의 뇌에 이식된 저장 장치에 기업의 민감한 데이터를 조심스럽게 전송하는 "니모닉 택배 기사"입니다.그의 현재 직업은 베이징에 있는 과학자 그룹이다.조니는 처음에 데이터가 압축되어도 메모리 용량을 초과하는 것을 알게 되면 주저하지만, 많은 비용이 디바이스 제거 작업에 드는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하다는 점에 동의합니다.조니는 며칠 안에 데이터를 추출하지 않으면 정신적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경고한다.과학자들은, 텔레비전 피드의 3개의 랜덤 영상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해, 뉴저지 뉴어크의 수신기에 영상을 송신하기 시작하지만, 영상이 완전하게 전송 되기 전에 신지(아키야마)가 이끄는 야쿠자의 공격을 받아 죽인다.조니는 이미지의 일부를 가지고 도망치지만, 야쿠자와 타카하시(키타노)가 경영하는 거대 기업 중 하나인 파마콤의 경비대에 쫓기고, 둘 다 그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찾는다.조니는 조니를 도우려는 인공지능(AI)의 여성 투영의 짧은 모습을 목격하기 시작하지만 조니는 그녀를 무시한다.
뉴어크에서 조니는 담당자인 랄피(키어)를 만나 상황을 설명하지만, 랄피도 야쿠자와 함께 일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저장 장치를 얻기 위해 조니를 죽이고 싶어 한다.조니는 사이버망을 강화한 경호원 제인(마이어)과 반체제 조직인 로텍스 멤버들과 그들의 리더 제이본(Ice-T)에 의해 구출된다.제인은 제인의 임플란트를 설치한 스파이더(롤린스)가 운영하는 클리닉으로 조니를 데려간다.스파이더는 파마콤에서 도난당한 NAS 치료제인 베이징 과학자들의 데이터를 받을 의도였다고 밝히고, 파마콤은 NAS의 완화를 통해 치료제 출시를 거부한다고 주장했습니다.불행하게도 조니가 찍은 암호화 이미지의 일부와 스파이더가 받은 것은 조니의 마음을 해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스파이더는 그들이 로텍스의 기지에서 존스를 볼 것을 제안한다.바로 그때, 타카하시가 고용한 암살자 칼 「거리 설교자」(룬드그렌)가 클리닉을 습격해, 쟈니와 제인이 도망칠 때 스파이더를 죽인다.
둘은 로텍 기지에 도착해 J-Bone으로부터 존스가 한때 해군에 의해 사용된 돌고래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돌고래는 조니의 마음 속 데이터를 해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절차를 시작하자마자, 신지와 야쿠자, 다카하시와 그의 보안군, 거리의 전도사가 모두 기지를 공격하지만, 조니, 제인, J본, 그리고 다른 로텍들은 이 세 개의 힘을 모두 물리칠 수 있다.타카하시가 죽기 전에 암호키의 일부를 넘겼지만, 이것만으로는 데이터를 완전히 해독할 수 없고, J-Bone은 Johnny에게 Jones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생각을 해킹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두 번째 시도가 시작되고, 여성 AI의 도움으로 조니는 데이터를 해독하는 동시에 어린 시절의 기억을 회복할 수 있다.이 AI는 파마콤의 창업자이기도 한 조니 어머니의 가상 버전으로 밝혀졌으며, 파마콤이 치료제를 숨긴 회사에 분노하고 있다.J-Bone이 NAS 치료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동안, Jonny와 Jane은 멀리서 Pharmakom 본사가 대중의 항의로 불길에 휩싸이는 것을 지켜봅니다.
출연자들
- 조니 니모닉 역의 키아누 리브스
- 돌프 룬드그렌 역
- 제인 역의 디나 마이어
- J-Bone으로서의 Ice-T
- 타카하시 역의 키타카하시
- 신지 역의 데니스 아키야마
- 스파이더 역의 헨리 롤린스
- 안나 칼만 역의 바바라 수코와
- 우도 키에르 역 랄피
- 트레이시 트위드 as Pretty
- 요맘마 역의 매사 아브라함
- 땡땡이 역의 돈 프랑크스
- 헨슨 역의 디에고 챔버스
- 베트남 역의 아르튀르 엥
생산.
롱고와 깁슨은 당초 적은 예산으로 예술 영화를 제작하는 것을 구상했지만 자금을 마련하지 못했다.롱고의 변호사는 "이 프로젝트는 예술영화로 시작됐지만 [6]150만 달러를 받지 못해 3000만 달러짜리 영화가 됐다"고 말했다.[7]1990년대 초 인터넷의 무한한 확산과 그에 따른 첨단 기술 문화의 급속한 성장은 사이버 펑크를 더욱 연관성 있게 만들었고, 이것이 소니 픽처스가 수천만 [8]달러의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주된 동기였다.발 킬머는 원래 주인공으로 캐스팅되었고 킬머가 하차했을 때 리브스가 그를 대신했다.리브스의 캐나다 국적은 캐나다 세금 [9]혜택과 같은 추가적인 재정적 선택권을 열어주었다.1994년 스피드가 대히트했을 때 조니 니모닉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고 소니는 이 영화를 잠재적인 블록버스터 [10]히트작으로 보았다.
롱고의 금융가들에 대한 경험은 형편없었고, 그들의 요구가 그의 예술적 비전을 손상시켰다고 믿었다.룬드그렌과 같은 많은 캐스팅 결정들은 미국 밖에서 영화의 매력을 높이도록 그에게 강요되었다.롱고와 깁슨은 룬드그렌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고 그를 [11]위해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었다.룬드그렌은 이전에 자신의 체격을 강조하는 여러 액션 영화에 출연했었다.그는 거리 전도사 역할을 배우로서 더 많은 영역을 보여주는 쇼케이스가 될 의도였지만,[12] 그의 캐릭터의 독백은 편집 과정에서 잘렸다.깁슨은 룬드그렌이 벌거벗고 전한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한 설교인 독백이 종교집단을 [13]불쾌하게 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끊겼다고 말했다.기타노는 일본 시장에 어필하기 위해 캐스팅되었다.이 영화의 [9]일본 개봉을 위해 키타노가 출연한 8분간의 추가 영상이 촬영되었다.
이 영화는 단편소설에서 크게 벗어나 그의 경호 파트너가 아닌 조니를 주요 액션 인물로 만들었다.몰리에 대한 영화 판권이 이미 [14]팔렸기 때문에 몰리 밀리언은 제인으로 교체되었다.신경감쇠증후군(NAS)은 단편소설에는 없는 가상의 질병이다."블랙 셰이크"라고도 불리는 NAS는 만능 기술 장치에서 나오는 전자파 방사선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발생하며 맹위를 떨치는 전염병으로 나타납니다.이 영화에서 한 제약회사는 치료제를 발견했지만 더 수익성이 높은 치료 프로그램을 [8][15]위해 일반인들에게 이를 공개하지 않기로 한다.코드 크래킹 네이비 돌고래 존스가 헤로인에 의존한 것은 편집 과정에서 [8]잘린 많은 장면 중 하나였다.깁슨은 이 영화가 "미국 배급사에 의해 빼앗기고 다시 잘라졌다"고 말했다.그는 원작 영화를 "매우 재미있고, 매우 대체적인 작품"이라고 묘사하며, "매우 실패적으로 잘리고 더 주류적인 것으로 [16]잘려나갔다"고 말했다.깁슨은 이를 블루벨벳을 편집해 아이러니가 [13]없는 주류 스릴러로 만든 것에 비유했다.개봉 전 비평가 에이미 하몬은 이 영화가 사이버펑크 반문화가 주류로 [8]진입하는 획기적인 순간이라고 평가했다.대본의 타협 소식은 영화가 하드코어 사이버 [8]펑크들에게 실망을 안겨줄 것이라는 개봉 전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일본 사운드트랙은 마이샤엘 단나가 작곡했지만 브래드 피델이 국제판을 위해 재구성했다.이 앨범에는 처음에 로버트 롱고의 악보를 녹음했지만 거절당한 독립 산업 밴드 블랙 레인의 곡도 수록되어 있다.
출시 및 마케팅
내 예술품 마케팅에 익숙했던 적은 없지만 상품화의 특성상 가끔 내 존재가 필요할 때가 있어.이 경우, 신사적인 행동은 그들을 친절하게 대하고 온라인에 접속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보물찾기로 소니가 경관을 탐색하는 것처럼 보였다.사용자들이 사이버 공간을 탐험하는 것이 아니라, 소니가 '이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인가?'라고 말하는 것이다.그래서 좀 귀엽다고 생각했어요.
Screenwriter William Gibson as quoted by the Los Angeles Times[8]
소니 픽처스의 영화 개봉과 동시에, 그 사운드 트랙은 소니 자회사인 컬럼비아 레코드에 의해 공개되었고, 소니 이펙트 사업부 소니 이미지웍스는 DOS, Mac, 윈도우 3.[8]x용 CD-ROM 비디오 게임 버전을 발행했다.Evolutionary Publishing, Inc.가 개발하고 Douglas Gayton이 감독한 조니 니모닉 비디오 게임은 90분 동안 풀 모션 비디오 스토리텔링과 [17]퍼즐을 제공했다.이 게임의 메가 CD/세가 CD 버전도 개발되었지만, 완전히 완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매되지 않았다.이 버전은 결국 수년 후에 인터넷에 유출되었다.조지 고메즈가 디자인한 영화를 바탕으로 한 핀볼 기계가 1995년 8월 윌리엄스에 의해 출시되었습니다.
Sony는 인터넷 마케팅을 통해 목표 인구에 도달할 가능성을 일찍 깨달았고, 신기술 부문은 2만 달러의 상금을 제공하는 온라인 스캐빈저 사냥으로 영화를 홍보했다.한 임원은 "우리는 인터넷을 터보차지 방식의 입소문으로 본다.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뭔가 좋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8] 한 사람이 수백만이라고 말하는 것이다!"콜롬비아 트라이스타 [18]인터랙티브가 시작한 첫 공식 사이트인 이 영화의 웹사이트는 소니 시그니처가 발행한 조니 니모닉 티셔츠와 파마콤 커피잔을 판매함으로써 더 많은 교차 프로모션을 촉진했다.시나리오 작가 윌리엄 깁슨은 온라인 팬들로부터 비디오 게임에 대한 질문을 받기 위해 배치되었다.인터넷 시대의 핵심 은유 중 하나를 사이버 공간에서 만들어냈음에도 불구하고, 이 상습적으로 은둔한 소설가는 이 경험을 "비옷을 입고 샤워를 하고" "모르스 [8]부호로 철학을 하려고 한다"고 비유했다.
이 영화는 일본 9개 [19]주요 도시의 14개 상영관에서 일본 개봉 3일 만에 7천360만 파운드의 수익을 올렸다.이 영화는 5월 26일 미국과 캐나다에서 2,030개의 극장에서 개봉되어 개봉 첫 주말에 6백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이 영화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총 1,91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고 2600만 달러의 [4]예산 대비 전 세계적으로 5,24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접수처
이 영화는 38명의 비평가들로부터 로튼 토마토에 대한 18%의 지지율을 얻고 있다.이 웹사이트의 컨센서스에는 "조니 니모닉은 90년대 사이버펑크 스릴러를 새로운 장면으로 이끌어냈다"[20]고 쓰여 있다.메타크리틱에서, 이 영화는 25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36점을 받았으며, 이 사이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좋지 않은 리뷰"[21]라고 표현하고 있다.
버라이어티의 토드 맥카시는 이 영화를 "첨단 쓰레기"라고 부르며 비디오 [22]게임에 비유했다.시카고 선타임즈의 영화평론가 로저 에버트는 이 영화를 "최근 [23]영화의 가장 바보 같은 제스처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오웬 글라이버맨은 이 영화를 C등급으로 평가하며 "느리고 파생적인 미래 충격 스릴러"[24]라고 말했다.반대로,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믹 라살레는 이 영화를 "불가피하게 매우 멋진 영화"[25]라고 묘사했고, 마크 사블로프는 오스틴 크로니클에서 이 영화가 깁슨 팬들과 그의 [26]작품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 모두에게 잘 어울린다고 썼다.뉴욕 타임즈에 기고한 캐린 제임스는 이 영화를 "모든 면에서 재앙"이라고 불렀고 깁슨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블레이드 러너와 토탈 리콜의 초라한 모방"[27]이라고 말했다.
맥카시는 영화의 전제가 "한 조각의 독창성"이라고 말했지만, 그가 깁슨의 팬들을 실망시킬 것 같다고 말한 줄거리는 "굴욕적이지만 드라마틱하지 않고 흥미롭지 않은 컴퓨터 그래픽 특수 효과"[22]에 대한 핑계일 뿐이다.에버트는 또한 이 음모를 특수 효과의 핑계라고 불렀고, 적의 요원을 피하면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는 자만심이 그를 "숨 막힐 정도로 파생적"이라고 몰아붙였다.게다가, Ebert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대신 데이터 택배를 고용하는 것은 [23]필름의 인위성 밖에서는 의미가 없다고 느꼈다.로스앤젤레스타임스 리뷰에서 피터 레이너는 이 영화가 사이버 펑크 분위기를 벗었을 때 누아르 [28]소설에서 재활용된 것이라고 썼고, 라살레는 이 영화를 "기술을 배경으로 [25]한 냉철한 액션 스토리"로 더 긍정적으로 보았다.사블로프는 이 영화를 "업데이트된 D.O.A."[26]라고 불렀고, 이버트는 이 영화의 줄거리는 어떤 장르에서도 작동했고 어떤 [23]시대에서도 설정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제임스는 영화의 [27]긴장감이 부족하다고 비판했고, 레이너는 영화의 톤이 너무 음침하고 [28]흥분이 부족하다고 말했다.맥카시는 그가 본 것을 "완화되지 않은 음침함"과 "절명하고 어두운 액션 장면"[22]이라고 비판했다.매카시는 미래에 대한 영화의 시각적 묘사가 [22]독창적이지 않다고 느꼈고, 글라이버먼은 이 영화를 "더 촌스러운 세트를 가진 블레이드 러너"[24]라고 묘사했다.사블로프는 롱고의 "쇠락하는 도시 경관 부문에서 블레이드 러너 리들리 스콧을 앞지르려는 시도는 지겹다"[26]고 썼다.Savlov는 여전히 그 영화가 "[26]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더 좋다"고 생각했다.라살레는 이 영화가 "컴퓨터 지배 시대의 환상적이면서도 그럴듯한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고 느꼈고, 이 영화의 반문화적 포즈가 진실하지 않고 [28]인간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생각한 레이너와는 대조적으로, [25]인간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제임스는 이 영화를 어둡고 [27]무채색이라고 불렀고, 레이너의 리뷰는 비슷한 문제들을 비판했는데, 영화의 조명의 부족과 모든 것을 "차별되지 않은 무미건조함"[28]을 주는 음울한 세트 디자인을 발견했다.에버트는 특수효과를 [23]즐겼지만 매카시는 특수효과가 "희박하고 성취되었지만 상상력이 부족하다"[22]고 생각했다.글라이버먼은 단일 필라멘트 채찍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특수 [24]효과로 강조했지만 제임스는 그것이 [27]인상적이지 않다고 생각했다.
비록 리브스가 좋은 배우가 아니라고 말했지만, 라살레는 리브스가 여전히 보는 것이 즐겁고 설득력 있는 [25]주인공으로 만들어 준다고 말했다.대신 맥카시는 리브스의 캐릭터가 매력적이지 않고 일차원적이라는 [22]것을 알았다.제임스는 리브스를 [27]로봇과 비교했고 글라이버만은 그를 액션 [24]피규어에 비교했다.레이너는 리브스의 캐릭터가 기억 [28]상실로 인해 멍해 보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사블로프는 리브스의 나무 배달이 영화에 의도하지 않은 [26]유머를 준다고 말했지만, 레이너는 영화 내내 유머가 부족하여 모든 [28]재미의 연기 연기가 엉망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글라이버먼은 리브스가 벨리스피크를 피하려는 노력은 역효과를 낳았고, 비록 사이코패스적인 거리 전도사로서 [24]룬드그렌을 이례적으로 캐스팅한 것을 좋아했지만, 그의 캐릭터의 대사가 "강렬하고 잘못된 긴박함"을 주었다고 말했다.레이너는 룬드그렌을 웃음기를 보여준 유일한 배우로 부각시켰고 그의 연기는 영화에서 [28]최고였다고 말했다.제임스는 아이스-T의 역할을 전형적이라고 불렀고 그는 더 [27]나은 대접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리브스는 영화에서의 연기로 골든 라즈베리상 최악의 배우상 후보에 올랐지만, 심사위원 의무로 폴리 쇼어에게 패했다.이 영화는 1995년 Stokeers Bad Movie Awards에서 Founders Award(What Were Thinking and Why?)로 제출되었으며 Worst [29]Picture 부문에서도 불명예스러운 언급이 되었다.
Entertainment Weekly에서 리브스의 영화 경력 회고전에서 크리스 내샤와티는 이 영화를 좋아하는 [30]팬들을 "너츠"라고 부르며 리브스의 두 번째 최악의 영화로 꼽았다.비평가 타이 버는 이 영화의 문제점들을 인정하면서도, 이 영화의 좋지 않은 리뷰는 비평가들이 깁슨의 [31]작품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Quietus는 이 영화가 "컬트 [32]클래식의 모든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묘사했고 2021년 스트리밍 사이트에 공개되면서 로완 리겔라토는 "롱고의 천재성을 증명하는 것"이라며 스튜디오의 재편집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여전히 이 영화는 스튜디오의 [33]리커트에도 불구하고 "롱고의 천재성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인버스도 [34]이 영화를 추천했다.2021년부터의 회고적인 리뷰에서, 가디언지의 영화 비평가인 피터 브래드쇼는 이 영화를 별 4개/5개로 평가하며, "아마도 그것은 기묘하지만 또한 볼 수 있고, 그것은 정말로 대담한 공상과학 영화 같은 종류이다."[35]라고 썼다.와쇼스키 부부는 [36]이 영화를 매트릭스의 템플릿으로 사용했다.
이 영화의 소품들은 예술가 도라 부도르의 2015년 개인전 '봄'[37][relevant?]을 위해 조각품으로 변형되었다.
레퍼런스
- ^ a b c d e "Johnny Mnemonic (1995)". AFI Catalog of Feature Films. Retrieved February 5, 2022.
- ^ "Johnny Mnemonic". Library and Archives Canada. Retrieved 11 February 2022.
- ^ "JOHNNY MNEMONIC".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October 30, 1995. Retrieved November 26, 2017.
- ^ a b c "Johnny Mnemonic (1995)". Box Office Mojo (IMDb). Retrieved April 5, 2011.
- ^ 조니 니모닉 일본어 릴리즈 1995, 103분, 컬러, 영어, 일본어.
- ^ van Bakel, Rogier. "Remembering Johnny". Wired. Vol. 3, no. 6. Condé Nast Publications. Retrieved August 19, 2010.
- ^ Lewis, Peter H. (May 22, 1995). "ON LINE WITH William Gibson; Present at the Creation, Startled at the Reality".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February 5, 2022.
- ^ a b c d e f g h i Harmon, Amy (May 24, 1995). "Crossing Cyberpunk's Threshold: Hollywood: Author William Gibson's dark view of the future hits the mainstream this week in Johnny Mnemonic". Los Angeles Times. Retrieved April 5, 2011.
- ^ a b Nashawaty, Chris (June 23, 1995). "Johnny Mnemonic faced financial woes".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February 5, 2022.
- ^ Trenholm, Richard (December 22, 2021). "Before The Matrix, Johnny Mnemonic and Hackers led the internet movies of the '90s". CNET. Retrieved February 5, 2022.
- ^ Riefe, Jordan (May 18, 2016). "Director Robert Longo Ruefully Recalls Johnny Mnemonic: 'I Had Post-Traumatic Stress From That Movie'". The Hollywood Reporter. Retrieved February 5, 2022.
- ^ Pinsker, Beth (June 16, 1995). "Dolph Lundgren wants to show he's a serious actor".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February 5, 2022.
- ^ a b Henthorne, Tom (15 June 2011). William Gibson: A Literary Companion. McFarland & Company. pp. 77–78. ISBN 978-0-7864-6151-6.
- ^ Dillard, Brian J. "Johnny Mnemonic > Review". Allmovie (All Media Guide). Retrieved April 5, 2011.
- ^ Kehe, Jason (January 11, 2021). "2021 and the Conspiracies of Johnny Mnemonic". Wired.
- ^ Lincoln, Ben (October 19, 1998). "Arts: Cyberpunk on screen - William Gibson speaks". The Peak. 100 (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7, 2007.
- ^ Nashawaty, Chris (June 2, 1995). "Johnny Mnemonic". Entertainment Weekly. Time Warner. Retrieved April 5, 2011.
- ^ Graser, Marc (January 25, 1999). "Col caught in Web". Variety (Columbia Pictures 75th Anniversary ed.). p. 76.
- ^ Groves, Don (April 24, 1995). "'Mnemonic' bows big in Japan". Variety. p. 12. Retrieved August 13, 2021.
- ^ "Johnny Mnemonic Movie Reviews". Rotten Tomatoes (Flixster). Retrieved April 5, 2011.
- ^ "Johnny Mnemonic". Metacritic. Retrieved February 5, 2022.
- ^ a b c d e f McCarthy, Todd (May 22, 1995). "Johnny Mnemonic". Variety. Retrieved February 5, 2022.
- ^ a b c d Ebert, Roger (May 26, 1995). "Johnny Mnemonic". RogerEbert.com. Retrieved February 5, 2022.
- ^ a b c d e Gleiberman, Owen (June 9, 1995). "Johnny Mnemonic".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February 5, 2022.
- ^ a b c d LaSalle, Mick (May 27, 1995). "'Mnemonic' Has a Cool Head / Keanu Reeves in futuristic computer age". San Francisco Chronicle. Retrieved February 5, 2020.
- ^ a b c d e Savlov, Marc (June 2, 1995). "Johnny Mnemonic". The Austin Chronicle. Retrieved February 5, 2022.
- ^ a b c d e f James, Caryn (May 26, 1995). "FILM REVIEW; Too Much on His Mind, Ready to Go BLOOEY".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February 5, 2022.
- ^ a b c d e f g Rainer, Peter (May 26, 1995). "MOVIE REVIEW : A Head Case Named 'Johnny Mnemonic'". Los Angeles Times. Retrieved February 5, 2022.
- ^ "1995 18th Hastings Bad Cinema Society Stinkers Awards". The Envelope. Los Angele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 2007.
- ^ Nashawaty, Chris (March 31, 2019). "Keanu Reeves' best and worst movies, ranked".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February 5, 2022.
- ^ Burr, Ty (November 17, 1995). "Johnny Mnemonic".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February 5, 2022.
- ^ Robb, David (December 21, 2021). "Hack The Matrix: How Johnny Mnemonic Predicted 2021". The Quietus. Retrieved February 5, 2022.
- ^ Righelato, Rowan (30 April 2021). "Hear me out: why Johnny Mnemonic isn't a bad movie". The Guardian. Retrieved October 1, 2021.
- ^ Newby, Richard (May 11, 2021). "You Need to Watch the Weirdest Cyberpunk Movie". Inverse. Retrieved February 5, 2022.
- ^ Bradshaw, Peter (May 6, 2021). "Johnny Mnemonic review – Keanu test-drives early Matrix prototype". The Guardian. Retrieved February 5, 2022.
- ^ Hemon, Aleksandar (September 3, 2012). "Beyond the Matrix". The New Yorker. Retrieved 12 June 2022.
- ^ "Dora Budor "Spring" at Swiss Institute, New York" (PDF). Mousse Magazine. July 8, 2015. Retrieved August 13,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