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너선 밤버
Jonathan Bamber![]() |
조나단 루이스 뱀버는 극지방, 특히 남극과 그린란드 빙상의 위성 원격 감지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영국의 물리학자다.그는 극저층 및 지구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180개 이상의 과학 출판물을 저술했으며, 과학 정보 연구소에 의해 "고인용 연구자"[1]로 인정받고 있다.2019년에 그는 미국 지구물리학 연합의 일원으로 선출되었다. "빙하학의 위성 원격 감지를 개척하고 지구과학계의 다른 분야로 다리를 건설하기 위해서".[2]그는 이 영예를 받은 크라이스피어 부서에서 미국인이 아닌 과학자로서는 처음이다.[citation needed]
배경
밤버는 영국의 심리치료사 겸 인권운동가였던 헬렌 밤버와[3] 유대인 대학살 생존 1세대 루디 밤버의 아들이다.[4]루디의 증언은 런던 제국 전쟁 박물관에서 홀로코스트의 구술 역사의 일부로 행해지고 있으며,[4] 헬렌은 해방 후 베르겐-벨센 강제 수용소의 경험도 기록하였다.[3]
교육
밤버는 북런던의 크리톤 종합학교에 진학한 뒤 브리스톨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면서 1983년 BSC를, 1987년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빙하학 및 원격 감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5]
연구 및 임명
Bamber는 런던대학의 우주기후물리학과에서 8년을 보낸 후 1996년에 Bristol 대학교로 돌아와 지리학과로 돌아왔다.그는 남극과 그린란드 빙상의 위성 관측에 초점을 맞췄지만 북극, 파타고니아, 히말라야의 다른 극지방도 연구했다.[5]2013년 밤버는 그린란드의 '그랜드 캐년'으로 불렸던 [6]그린란드 빙상 밑에 묻혀 세계에서 가장 긴 협곡이 발견됐다는 논문을 발표했다.[7]그의 연구는 또한 유럽 연구 위원회가[8] 후원하는 현대 해수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과 해양 순환에 대한 북극 육지 얼음으로부터의 민물 흐름의 역할에 대해서도 고찰한다.[1]빙판과 해수면에 관한 그의 연구는 평가 보고서 4, 5, 특별 보고서 1.5, 해양과 극저층에 관한 특별 보고서 등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보고서에서 채택되었으며 세계 경제 포럼에서도 강조하였다.[9]
수상 및 명예
뱀버는 2007년에 "대기권 과학에 관한 부서의 시작과 지도, 그리고 저널 "대기권"의 창간과 관련하여 탁월한 공로를 인정받아 유럽 지질학 연합 서비스 상을 받았다.[10]2015년에는 로열 소사이어티 울프슨 공로상을 수상했고 2019년에는 미국 지구물리학연합(American Geophysical Union)의 동료가 됐다.[2]2015년 그는 유럽지질과학연합(European Geoscience Union)의 회장으로 선출되어 4년간 대통령 당선자와 대통령으로 재직했다.[11]2020년 12월 남극지명위원회는 밤버의 남극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들어 남극 반도의 빙하 이름을 '밤버'로 명명했다.[12]
사생활
Bamber는 예리한 산악인, 등산가, 장거리 달리기 선수다.1990년 그는 윌 허포드와 함께 1938년 아이거 북면 노선에 올랐다.그는 1991년 우들리 10마일 도로 경주에서 54분의 시간에 그의 첫 메이저 달리기 경주에서 우승했다.1년 후인 1992년 파키스탄 국경과 가까운 인도 히말라야에서 등반하던 중 왼쪽 다리에 부상을 입히는 등 생명을 위협하는 암초에 부딪혔다.그를 산에서 내리는데 6일이 걸렸고 그는 괴저와 동상에 걸렸다.[13]그는 도움 없이 몇 걸음 걸을 수 있게 되기 전에 거의 4년 동안 목발을 짚었다.[13]그의 다리는 2cm 더 짧았고 발목이 퓨즈로 변했다.등반 사고 10년 후인 40세 생일을 이틀 앞두고 서머셋에서 하프 마라톤을 뛰며 우승했다.[14]그 이후로 그는 다양한 거리를 두고 경주에 참가하여, 5마일에서 50마일 사이의 거리에서 자신의 나이 범주에 있는 번호를 획득했다.[16]2018년에는 세계 최고인 에베레스트 마라톤을 뛰며 2위 국제선수를 차지했다.이듬해, 그는 에베레스트 마라톤에서 첫 국제 육상 선수와 팀을 이뤄 8일차인 트란스알피네런에 출전했으며, 독일에서 시작하여 이탈리아에서 280km와 16,500m의 등반을 했다.그의 러닝 파트너는 5단계를 마치고 은퇴했지만 뱀버가 이어지며 41시간57분 만에 코스를 완주했다.
2015년 스위스 산악인 3명으로 구성된 팀이 뱀버가 23년 앞서 시도한 투펜데오 산의 첫 등정을 시도했다.이들은 2016년[17] 켄달산악제에서 초연된 뒤 유럽 전역의 다른 야외 영화제에서 상영된 그들의 등반과 밤버의 시련에 대한 영화를 만들었다.[18]독일과 스위스 텔레비전에서도[19] 방영되었다.
참조
- ^ a b "Jonathan Bamber's Publons profile". publons.com. Retrieved 2020-07-03.
- ^ a b "Union Fellows AGU". www.agu.org. Retrieved 2020-07-03.
- ^ a b "Bamber, Helen Rae (Oral history)". Imperial War Museums. Retrieved 2020-07-03.
- ^ a b "Bamber, Rudi (Oral history)". Imperial War Museums. Retrieved 2020-07-03.
- ^ a b Bristol, University of. "Professor Jonathan Bamber - School of Geographical Sciences". www.bristol.ac.uk. Retrieved 2020-07-03.
- ^ "Giant Canyon Discovered Under Greenland Ice Sheet". Retrieved 28 May 2021.
- ^ "Maphead: The Grand Canyon of Greenland". cntraveler.com. Retrieved 28 May 202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GlobalMass – Attributing global sea level rise to its component parts". www.globalmass.eu. Retrieved 2020-07-03.
- ^ "Jonathan Bamber". Retrieved 28 May 202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Past and present awardees". European Geosciences Union (EGU). Retrieved 2020-07-03.
- ^ "Union Council". European Geosciences Union (EGU). Retrieved 2020-07-03.
- ^ "2020 Antarctic Place-Names mark 200th Anniversary of the Discovery of Antarctica". Retrieved 28 May 202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a b "Tupendeo – One Mountain, Two Stories". Sidetracked. 2016-10-21. Retrieved 2020-07-03.
- ^ a b Buhne, Tabitha (October 2020). Der Mann, der uberlebte. Running magazine. pp. 34–37.
- ^ "Athlete Profile". www.thepowerof10.info. Retrieved 2020-07-03.
- ^ "2017". Butcombe Trail Ultra. 2017-09-03. Retrieved 2020-07-03.
- ^ "Tupendeo – one mountain, two stories Trento Film Festival". Retrieved 2020-07-03.
- ^ "Torelló Mountain Film". torellomountainfilm.cat. Retrieved 2020-07-03.
- ^ Zeitung, Jungfrau (2017-03-04). "Filmpremiere einer Bergsteiger-Tragödie". Jungfrau Zeitung (in German). Retrieved 2020-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