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나단 색스, 색스 남작
Jonathan Sacks, Baron Sacks색스 경 | |
---|---|
![]() 2006년 랍비 색스 | |
영연방 연합 히브리 회합회의 수석 랍비 | |
재직중 1991년 9월 1일 – 2013년 9월 1일 | |
선행자 | 임마누엘, 야코보비트 경 |
성공자 | 에브라임 미르비스 |
재직중 2009년 9월 1일 – 2020년 11월 7일 | |
개인내역 | |
태어난 | 조너선 헨리 색스 )8[1] 1948년 3월 8일 영국 런던 람베스 |
죽은 | 2020년 11월 7일 영국 런던 | (72)
국적 | 영국의 |
정당 | 무소속 의원석 |
배우자 | 일레인 테일러 (m. 1970) |
아이들. | 조슈아, 디나, 길라 |
교육 | 크리스트스 칼리지, 핀클리[1] |
모교 | |
직업 | |
수상 | |
세미차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개인적인 | |
종교 | 유대교 |
조나단 헨리 색스 남작(Hebre: יעבב צביי ק,,, 로마자: Ya'akov Tzvi Zaks; 1948년 3월 8일 ~ 2020년 11월 7일)은 영국 정교회 랍비였으며, 선도적인 철학자, 신학자, 작가, 동료, 공인이었다.
1991년부터 2013년까지 영연방 연합 히브리 회합회의 수석 랍비를 지냈다. 영국에서 가장 큰 회당 단체인 연합회당의 영적 수장으로서, 그는 그 정교회 회당의 수석 랍비였지만, 정교회 히브리 회당의 하레디 연합이나 마소르티, 개혁, 자유 유대교 등의 진보적 운동에 대해서는 종교적인 권위자로 인정받지 못했다.[3][4] 랍비 서장으로서 색스는 공식적으로 런던 베스딘의 에이브 베이트 딘(헤드)이라는 칭호를 달고 다녔다. 사망 당시 그는 랍비 명예회장이었다.[5]
랍비 서장직에서 물러난 후, 그의 국제적인 여행 및 연설 약속과 다작적인 글 외에도 색스는 뉴욕 대학교에서 잉게보그와 아이라 레너트 세계 유다 사상의 저명한 교수, 예시바 대학교에서 유대인 사상의 크레셀과 에브라트 가족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또한 런던 킹스 칼리지의 법과 윤리, 성경 교수로 임명되었다.[6] 그는 2016년 템플턴상(인생의 정신적 차원을 긍정하는 일에 수여됨)을 수상했다.[7] 그는 또한 라울 월렌버그 인권 센터의 선임연구원이었다.
조기생활과 교육
색스는 1948년 3월 8일 런던 람베스에서 폴란드 태생의[8] 직물 판매업자 루이스 데이비드 색스(1996년 d. d.)[9][10]와 유대계 와인 상인들의 가족인 영국 태생 루이자("리비"; 네 프룸킨, 1919~2010년) 사이에서 태어났다.[1][11][12][13] 그는 집안에서 네 명의 소년 중 한 명으로 자랐고, 그의 세 형제인 브라이언, 앨런, 엘리엇은 결국 알리야를 만들곤 했다.[14] 그의 아버지는 "엄청난 유대인 교육"[15]을 받지 못했다. 색스는 세인트 메리 초등학교와 핀클리 크라이스트 칼리지에서 정규 교육을 시작했다.[1] 그는 캠브리지의 곤빌 & 카이우스 대학에서 고등 교육을 수료하였고, 그곳에서 철학에서 1급 우등 학위를 취득하였다. 캠브리지에서 학생이었을 때 색스는 뉴욕을 여행했다. 그는 랍비 조셉 솔로비치크, 그리고 랍비 메나켐 M과 만났다. 슈너슨은 종교, 신앙, 철학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토론할 것이다. 랍비 색스는 "랍비 솔로비치크는 내가 생각하도록 도전했다"[14]고 썼다. 슈네어슨은 색스에게 랍비네틱 서품을 구하고 랍비네이트로 들어가라고 촉구했다.[16]
색스는 이후 옥스포드 주 뉴 칼리지와 [1]킹스 칼리지 런던 대학에서 대학원 공부를 계속하여 1982년 런던 대학이 수여한 박사학위를 수료했다.[2] 색스는 런던 유대학 대학원과 런던의 에츠 차임 예시바에서 랍비니아 서품을 받았다.[17]
경력
색스의 첫 랍비니아인 임명(1978–1982)은 런던의 골더스 그린 회당에 랍비로 임명되었다. 1983년, 그는 1990년까지 재직했던 런던 중심부의 웨스턴 마블 아치 시너고그(Western Marble Arch Synagogue)의 랍비가 되었다. 1984년과 1990년 사이에 색스는 또한 유대인 대학 교장을 역임했는데, 유대교 회당의 랍비니컬 신학교였다.[18] 색스 박사는 1991년 9월 1일 영연방 연합 히브리 회합에서 랍비 서장으로 취임했으며, 이 직책은 2013년 9월 1일까지 재임했다.
색스는 2005년 생일 기념식에서 "지역사회와 종교간 관계에 대한 봉사"를 위해 기사 총각이 되었다.[19][20] 그는 2006년 9월 바넷의 런던 자치구의 명예 프리맨이 되었다.[21] 2009년 7월 13일, 상원 임명 위원회는 색스가 상원 의원직을 가진 종신 귀족으로 추천되었다고 발표했다.[22][23] 그는 "런던 시티의 알드게이트의 바론 색스"[24]라는 타이틀을 갖고 크로스벤쳐로 앉았다.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여러 대학에서 초빙교수를 지낸 색스는 2001년 9월 당시 캔터베리 대주교였던 조지 캐리가 랍비 총장으로 재임한 첫 10년을 기념하기 위해 수여한 신학박사 등 16개의 명예학위를 받았다. 그의 업적을 인정받아 색스는 1995년 디아스포라 유대인 생활에 기여한 공로로 예루살렘상을, 2011년 이스라엘의 벤 구리온 대학교에서 수여된 라디슬라우스 에큐메니컬·사회적 관심상 등 여러 개의 국제상을 수상했다.[6]
25권의 저자인 색스는 유대인 일일 기도서(siddur)에 대한 해설서를 발간하고 2017년[update] 현재 로슈 하사나, 욤 키푸르, 페사흐 축제 기도서(machzorim)에 대한 해설서를 완성했다. 그의 다른 책들에는 "하나님의 이름으로가 아니라" "종교적 폭력에 맞서다"와 "대동반자: 신, 과학, 의미 찾기"가 있다. 그의 저서는 2004년 '차이의 존엄성'으로 종교상을, 2000년에는 '스크롤 속의 편지'로 국가 유대인 도서상을 받는 등 문학상을 받았다.[6][25] 규약 & 대화: 제네시스는 2009년에도 국가 유대인 도서상을 수상했으며,[26] 페사흐 축제 기도서에 대한 그의 해설은 2013년 미국 국립 유대인 도서 시상식에서[26] 현대 유대인 사상 및 체험 도롯 재단상을 수상했다.[27] 매주 토라 편지에 대한 그의 코버넌트 & 대화 논평은 전 세계 유대인 공동체의 수천 명의 사람들에 의해 읽혀진다.[28]
색스가 더 넓은 영국 사회에 기여한 것도 인정받았다. 영국 BBC 라디오 4의 '오늘을 위한 생각'에 자주 출연하거나 '타임즈'에 크레도 칼럼이나 의견 기사를 쓰는 등 국영 언론에 정기적으로 기고한 색스는 2013년 '유대주의와 종교 전반에 대한 그의 옹호'로 '샌포드 세인트 마틴의 신뢰 개인상'을 받았다. 그는 웨일스의 윌리엄 왕자와 케이트 미들턴의 결혼식에 유대인 사회의 대표로 초대되었다.[29]
2013년 5월 영국 런던 센트럴런던에서 열린 랍비 추장 임기 완료를 기념해 열린 갈라 디너에서 웨일스 왕세제는 색스를 '이 나라에 빛을 비춘다' '확실한 친구' '어떤 문제에 대한 지침이 실리적 가치에 실패한 적이 없고, 그 어떤 지혜가 증대되고 있는가에 깊이 바탕을 둔 소중한 조언자'라고 불렀다.혼자서는 찾기 힘들다"[30]고 말했다.
촌장 랍비
1991년 9월 영연방 연합 히브리 회합회의 수석 랍비로서 야코보비트 경의 뒤를 이은 그의 설치 연설에서 색스는 "영국 유대인의 위대한 창조력을 되살릴 수 있는 10년의 갱신을" 요구했다.[31] 그는 이번 갱신은 "모든 유대인에 대한 사랑, 학문에 대한 사랑, 하나님에 대한 사랑, 영국 사회에 대한 심오한 공헌, 이스라엘에 대한 분명한 애착"[31]이라는 다섯 가지 중심적 가치에 기초해야 한다고 말했다. 색스는 "창의의의 촉매제가 되고, 다른 사람들의 리더십을 장려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의 신선한 공기를 들여보내고 싶었다"[31]고 말했다. 이로 인해 유대인 교육 프로그램 및 홍보의 국가 기반인 유대인 연속성, 유대인 기업 윤리 협회, 우수 랍비네이트 최고상, 유대인 공동체 생활 향상을 위한 국가 계획인 커뮤니티 개발 등 일련의 혁신적인 공동 프로젝트들이 이어졌다. 랍비 족장은 '유대인 책임론'에 대한 소집과 유대교의 윤리적 차원에 대한 새로운 헌신을 가지고 2년 간의 임기를 시작했다.[32] 그는 2013년 9월 1일 랍비 에브라임 미르비스에 의해 수석 랍비로서 계승되었다. Rabbi Ephraim Mirvis)로 계승되었다.
보류된 약속
색스는 랍비 서장을 역임한 것 외에도 그의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수많은 약속을 했다.
- 뉴욕주 뉴욕대 유대사상 교수(2013년 10월 29일 발표)[33]
- 뉴욕 예시바 대학의 유대인 사상 교수(2013년 10월 29일 발표)[33]
- 런던 킹스 칼리지의 법윤리성경 교수(2013년 12월 5일 발표)[33]
- 영국 영연방 최고령 랍비(1991년 9월 1일 – 2013년 9월 1일)[33]
- 미들섹스 폴리테크닉, 1971–1973년[33] 도덕철학 강사
- 강사, 1973–82년, 유대인 대학 런던, 1983–1990년, 랍비니아 시설 책임자; 교장, 1984–1990년[33]
- 1989-90년[33] 에식스 대학교 철학과 객원교수
- 1989년 맨체스터 대학의 셔먼 강사.[33]
- 1993년 뉴캐슬 대학의 리델 강사.[33]
- 1996년 옥스퍼드 대학, 에든버러 대학,[33]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의 요리 강사.
- 1998-2004년 히브리 예루살렘 대학의 초빙교수.[33]
색스 역시 텔레비전과 라디오에 자주 출연하는 손님으로, 정기적으로 전국 언론에 기고했다. 그는 1990년 BBC 라이스 강연을 통해 믿음의 지속성에 대한 강의를 했다.[34]
수상 및 명예
색스는 다음과 같은 수많은 상을 받았다.[33]
- 1995: 예루살렘상 (이스라엘)
- 2000: 두루마리 속의 편지를 위한 미국 국립 유대인 책
- 2004: 그라웨미어 종교상(미국)
- 2009: 미국 국립 유대인 서적상 언약 및 대화 창세기: 시작의 서
- 2010: 예시바 대학교 노먼 램상(The Norman Lamm Prize, Yeshiva University, 미국)
- 2010: 프린스턴 신학교 아브라함 카이퍼 상(미국)
- 2011: Ladislaus Laszt Ecumenical and Social Concern Award, Ben Gurion University(이스라엘)
- 2011년: Keter Torah Award, Open University (이스라엘)
- 2013년: The Sanford St Martin's Trust Personal Award for Excellence in Cultural Broadcasting
- 2013년: 코렌 색스 페사 마조르 미국 국가 유대인 도서상
- 2015년: 미국 국가 유대인 책 신의 이름으로 하지 않은 상: 종교 폭력에 맞서다
- 2016: 템플턴상, "수십 년 동안 대중 매체, 인기 있는 강연, 20여 권의 책을 통해 대중 대화에 영적 통찰력을 불어넣었다"[35]
철학과 견해
색스가 유대교와 그 너머에 기여한 철학적인 기부에 대해 많은 것이 쓰여져 왔다. 여기에는 (1) 하바 티로시-사뮤엘슨과 아론 W가 편집한 <현대 유대 철학자 도서관> 시리즈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니버설라이징 스페셜티>라는 제목의 그의 저작이 수록되어 있다. 휴즈;[36] (2) 마이클 J. 해리스, 다니엘 린홀드, 탐라 라이트가 편집한 급진적 책임이라는 제목의 책,[37] (3) 랍비 마이클 폴락과 다얀 슈무엘 시몬스가 편집한 모라샤 케힐라트 야아코프라는 책.[38]
초기 영향
색스는 랍비 서장으로서의 그의 시대의 완성을 기념하기 위해 쓴 팜플렛에서 "세상과 약혼한 유대교"[39]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철학적 사고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세 명의 개인을 인용한다.
첫 번째 인물은 "유대인이 실종된 문제를 충분히 알고 있었다"는 랍비 메나켐 멘델 슈네어슨(Rubavitcher Rebbe)이었다. 그 시대의 혁명적인 유대인 지원의 발상... [그는 나에게 앞장서라고 도전했어."[39]: 10 실제로 색스는 그를 "우리 시대뿐만 아니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유대인 지도자 중 한 명"이라고 불렀다.[40]
두 번째는 색스가 "당대 최고의 정교회 사상가"라고 묘사한 조셉 솔로비치크(Joseph Solovitchik)이다.[39]: 10–11 색스는 라브 솔로비치크(Rav Solobeichik)를 위해 "유대인 율법 할라카(Halakah)에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대인의 사상과 유대인의 실천은 서로 다른 두 가지가 아니라 다른 시각에서 보는 것과 같은 것이었다. 할라카는 추상적인 생각을 가지고 일상 생활에서 현실로 만드는 등 세상을 생각하는 생활 방식이었다."[39]: 11
세 번째 인물은 랍비 나움 라비노비치(Rabbi Nahum Rabinovitch) 전 런던 유대학교 교장이었다. 색스는 라비노비치(Rabinovitch)를 "토라 지도부는 최고의 지적 도덕적 용기를 요구한다고 그의 제자인 우리에게 가르쳤다"고 말했다. 그는 가능한 한 최선의 방법으로 이것을 했다: 개인적인 예로. 그의 생각인 다음과 같은 생각은 내가 그에게서 배운 것을 보여주는 작은 표시로, 특히 토라가 어려운 질문에 쉬운 대답을 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에는 틀림이 없다.[41]
보편주의 vs 특정주의
색스를 랍비, 사회철학자, 종교간 대화와 공공지적 지지자로 쓴 티로시-사무엘슨과 휴즈는 "현대 정교회의 우려에 의해 알려진, "삭스의 비전"은 역설적으로 현대 유대교 내에서 가장 보편화된 목소리 중 하나라고 지적한다. 색스는 현대 다문화 세계의 보편적 요구와 유대교와 연관된 특수주의를 미묘한 균형을 유지하는 드문 능력을 가지고 있다."[42]: 1 이는 랍비 나단 로페즈 카르도조(Rabbi Nathan Lopez Cardosauz)가 예루살렘 포스트에 쓴 글에서 색스의 "유대주의의 힘과 그 무한한 지혜에 대한 신뢰가 사자굴로 들어갈 수 있게 해줌으로써 유명한 철학자, 과학자, 종교 사상가, 사회학자들을 떠맡고 유대교가 가르칠 수 없는 것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는 견해다. 철학과 과학의 선두에 서고 싶다면 놓칠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43] 해리스와 린홀드는 급진적 책임론에 대한 소개에서 "랍비 색스 추장의 생각에 의해 만들어진 특별한 공헌은 외부의 지적 도전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신앙을 유지하는 존경받는 유대 철학적 전통을 이어가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통을 넘어서며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핵심 유대인의 가르침이 어떻게 세속적인 세계 그 자체의 딜레마를 다룰 수 있는가? 색스 경의 접근을 그렇게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은 유대교의 신학적 신념을 떠맡는 더 넓은 세계를 예외 없이 할 수 있다는 것이다."[37]: xvi
토라 v'초크마
색스의 철학적 접근방식과 보편과 특이 사이의 그의 상호작용의 틀은 근대의 다른 주요 정교 사상가들이 채택한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랍비 삼손 라파엘 허쉬가 가장 좋아하는 구절은 '일반 문화의 토라'인 토라 임 에레츠, 랍비 노먼 램의 경우 '토라 우마다' '토라와 과학'이었다. 색스에게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구절은 '토라와 지혜'라는 토라 차량이었다. 급진적 책임의 서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토라에게 있어서 조나단 색스는 유대교의 특수적이고 계승된 가르침을 나타내는 반면, 호크마(wisdom)는 과학과 인문학의 보편적인 영역을 가리킨다."[37]: xviii 색스가 그의 저서 Future Tension에서 언급하는 것처럼 종교적인 용어로 액자에 넣어진다.
- "초크마는 우리가 발견한 진리요, 도라는 우리가 물려받은 진리요. Chokhmah는 인류의 보편적인 언어이고, Torah는 이스라엘의 특정한 유산이다. 초크마는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됨으로써 얻는 것이며, 도라는 유대인들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촉마는 보고 추리하여 얻고, 토라는 듣고 응답하여 얻는다. 초크마는 우리에게 무엇이 있는지 말해 주고, 도라는 우리에게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를 말해 준다.'[44]
티로시-사무엘슨과 휴즈는 토라 v'초크마'가 확실히 유효하고 중요한 틀이지만, 색스의 관점은 현대 정통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는 유대교의 다양한 교파를 이해하려고 노력할 것이지만, 그는 언제나 정교가 해석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 빠르다.할라흐의 권위에 대한 근본적인 믿음을 버리는 유대교의 이론들 할라카에 대한 진실과 수용에서 벗어나는 유대교는 진정한 유대교에서 벗어나는 것이며, 그가 추론하는 것은 세속주의를 수용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색스는 세계 종교에 대한 매우 포괄적인 설명을 개발하겠지만, 유대교 내의 교파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적도 있었다."[45]
"영적 진리를 독점하는 신조는 없다"
그의 저서 "차이의 존엄성"이 출판된 후, 가장 두드러진 라비스 요세프 샬롬 엘리시브와 베잘렐 라코우의 모임인 하레디 랍비스가 전통적인 정교회의 관점에 반하여 색스를 이단으로 고발했다. 그들에 따르면, 어떤 단어들은 종교들 간의 순수한 상대주의에 대한 지지를 암시하는 듯했고, 예를 들어 "영적 진리에 대한 독점을 가진 하나의 신조는 없다"와 같이 유대교만이 유일한 진정한 종교가 아니라는 것을 암시했다. 이것은 그가 이미 가게에 있는 책들을 회수하는 것을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책의 두 번째 판에 대한 몇 개의 문장을 더 분명히 바꾸어 쓰도록 이끌었다.[46]
색스는 이 책의 "제2판 서약"에서 이 책의 특정 구절이 잘못 해석되었다고 썼다. 그는 이미 자신의 저서에서 문화적, 종교적 상대주의를 노골적으로 비판해 왔으며, 유대교의 고유성을 부정하지 않았다. 그는 그러나 주류 랍비니컬의 가르침은 하나님께서 노아와 그의 모든 자손과 맺은 언약에서 지속적인 유산으로 지혜, 의, 하나님과의 참된 관계 가능성을 모두 유교 문화나 종교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친다고 강조하여 전통은 제자가 될 필요가 없다고 가르쳤다.신이나 진리를 알거나 구원을 얻고자 [47][48]하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언약적 결합이 암시하듯이, 전통적인 유대인 근원은 어떤 하나의 신조가 영적 진리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부인한다. 그가 제국주의, 이교도, 플라토닉으로 특징지은 보편적 진리에 대한 독점적이고 단순한 주장들은 전혀 유태인이 아니다.[49] 이 책은 2004년 그라웨메이어 종교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다.[50]
하레디 유대인을 수용하기 위한 노력
영국의 역사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메이르 퍼소프의 저서 '다른 길, 또 다른 시간'은 "스택스의 최우선 과제는 높은 출산율로 영국 유대인의 가장 빠른 성장을 이룬 하레디파, 즉 엄격히 정교파의 선한 지위에 머무르는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51][52]
비정통적 종파와의 관계
색스는 1996년 고 랍비개혁 후고 그린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고 히브리어로 쓴 친서를 위해 앵글로-제위시 커뮤니티에서 상당한 논란을 일으켰는데, (번역에서는) 아우슈비츠 생존자 그린이 "신앙을 파괴하는 자들 중 하나"라고 주장했던 내용이 유출돼 출판됐다. 그는 더 나아가 자신이 개혁, 자유주의, 마소르티 운동의 '적'이라고 썼고, 일부 사람들은 그가 영국의 모든 유대인들을 위한 '수장 랍비'라는 개념을 거부하게 만들었다. 그는 그린 추모 모임에 참석했는데, 이는 초정통사회 일각의 분노를 불러일으킨 조치였다.[53][54] 캐나다에 본사를 둔 진보성향의 랍비 다우마무르는 추모식에 참석한 후 색스가 초정통 공동체를 달래려 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마르무르가 "신비적이고 비겁하다"고 표현한 시도라고 한다.[55]
Later, in a letter to The Jewish Chronicle in May 2013, Jackie Gryn, the widow of Rabbi Hugo Gryn, wrote: "I feel the time has come for me to lay to rest, once and for all , the idea… that there ever was a 'Hugo Gryn Affair', as far as I am concerned,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Chief Rabbi at the funeral of my late husband, Hugo… 그녀는 "처음부터 관계가 우호적이고 호의적이었으며 앞으로도 그래왔다"고 썼다. "우리 사이에서는 그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는 것에 대해 개인적인 불만이 있었던 적이 없었는데, 그것은 그러한 독설적이고 분열적인 발언을 촉진시켰으며 유감스럽게도 계속해서 그렇게 하고 있다."[56]
색스는 이번 사건에 대해 비정통주의 운동과의 관계를 재고해, 결국 이른바 '두 가지 원칙'을 발전시켰다. 은퇴 직전 인터뷰에 응한 그는 "앞으로 일을 더 좋게 만들려고 노력한다. 그때의 격동의 결과, 나는 이 모든 문제를 끝까지 생각할 수밖에 없었고, 나는 이 두 가지 원칙을 생각해냈다; 우리의 종교적 차이와 상관없이 우리는 함께 일한다. 그리고 우리의 종교적 차이를 건드리는 모든 것에 대해 우리는 서로 다르지만, wi.그들은 존중한다. 그 두 원칙의 결과, 개혁과 정교회의 관계는 훨씬 좋아졌고 실제로 나머지 유대 세계의 모범이 되었다. 진보적인 랍비들은 나와 함께 기독교와 유대인 평의회의 상석에 앉고, 우리는 이스라엘을 위해 함께 서 있다. 이 모든 것은 그 두 가지 원칙에서 비롯되었다. 그때까지는 비정통운동으로는 절대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견해가 있었지만 일단 생각해 보면 온갖 기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57]
색스는 이후 자신과 그의 베스딘이 손녀 결혼식 전 토요일 마소르티 운동의 영국 분파 설립을 도왔던 은퇴한 랍비 루이 제이콥스가 토라의 낭독회에 소집되는 것을 막았을 때 약간의 비난을 받곤 했다.[58]
세속주의와 유럽의 변화하는 인구통계
색스는 유럽 사회에서 물질주의와 세속주의의 부정적 효과로 간주되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며 그것이 가정 생활의 기본적 가치를 훼손하고 이기주의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색스는 2009년 유럽인들이 육아 아동의 자기희생보다 소비주의를 택했다며 "오늘날의 종교에 대한 대폭력은 신다르위니아에서 온다"고 주장하는 연설을 했다. 그는 유럽이 "비신자들이 종교가 가지고 있는 가족 및 공동체의 공유된 가치관이 부족하기 때문에" 인구 감소에 있다고 주장했다.[59][60]
소비자주의와 스티브 잡스
색스는 2011년 11월 여왕이 참석한 종교간 환영회에서 자신이 불행만을 가져온 이기적인 소비문화라고 믿는 것을 비판한 발언을 했다. "소비자 사회는 고 스티브 잡스가 아이패드 1과 아이패드 2라는 두 개의 태블릿을 가지고 산을 내려오면서 내려왔고, 그 결과 우리는 이제 아이팟, 아이폰, 아이튠, 아이, 아이, 아이, 아이, 아이, 아이 등의 문화를 갖게 되었다. 개인주의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문화인 데다 '나'만 신경 쓰면 형편없이 잘하지 못한다."[61][62] 이후 성명에서 랍비 서장은 "랍비 서장은 스티브 잡스를 개인적으로 비판하거나 애플이 21세기 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전혀 의미하지 않았다"[63]고 밝혔다.
동성애 결혼에 대한 입장
2012년 7월, 영국의 저명한 유대인 집단은 색스가 동성애자와 레즈비언들을 위한 시민 결혼을 허용하는 계획에 반대한다고 비난했다.[64] 그는 "게이들이 편견과 박해에 대해 가지고 [65]있는 두려움"을 이해하고 결혼제도 강연에서 동성애를 핍박하는 세상은 "우리가 절대 돌아가지 말아야 할 세상"[66]이라고 말했다.
충분히 이해했어... 유대인만이 아니라 동성애자들이 집단수용소로 보내졌다는 것, 그리고 나는 매우 양극화된 논쟁에 휘말려 우리 공동체의 동성애자들에게 무정한 것으로 보여지는 목소리가 되고 싶지 않았다. 나는 그들에게 냉정하지 않다. 나는 그들을 진정으로 이해하려고 하고 그들은 내가 어디에서 왔는지 이해하려고 한다. – 랍비 조나단 색스[65]
종교간 대화
색스는 종교간 대화의 주창자였으며 엘리야 인터파이트 연구소의 세계종교지도자 위원회에 참석했다.[67]
미국의 정치
2017년 10월 조나단 색스는 미국 사회의 구조를 부식시키고 있다고 말한 '분노의 정치'를 비난했다. 색스는 "우리 시대에 나타난 분노의 정치는 위험으로 가득 차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사회가 "고충의 문화"를 양성하는 더 좁고 좁은 정체성으로 분해되는 것을 비난했다. 색스는 "사회적 계약은 그대로 있지만 사회적 언약은 상실되고 있다"고 경고했다.[68]
반유대주의에 대하여
색스는 2019년 6월 상원에서 열린 반유대주의에 대한 토론에서 "세계에 유대인이 안전하다고 느끼는 나라는 거의 없고 유럽에 단 한 국가도 없다"면서 "반유대주의를 용인하는 사회는 모든 도덕적 신뢰를 저버렸다"[69]고 밝혔다. 게다가 색스는 반유대주의를 "교화 바이러스"[70]와 동일시했다.
출판물
- 작가로
- 유대교의 삶을 바꾸는 사상 : 유대교 성경의 매주 낭독 (코렌, 2020) ISBN9781592645527
- 도덕성: 분할된 시대의 공동재 복원(Hodder & Stouton, 2020) ISBN 9781473617315
- 규약 & 대화: 신소학: 시나이 규약 갱신 (Koren, 2019) ISBN 9781592640232
- 규약 & 대화: 숫자: 황야의 해 (Koren, 2017) ISBN 9781592640232
- 리더십의 교훈 : 유대인 성경 주간독서 (Koren, 2015) ISBN 9781592644322
- 신의 이름으로: 종교 폭력에 맞서다(Hodder & Stouton, 2015) ISBN 9781473616516
- 규약 & 대화: 레비티쿠스, 성서 (Koren, 2015) ISBN 9781592640225
- 코렌 색스 페사흐 마조르 (Koren, 2013) ISBN 9789653013179
- The Koren Sacks Yom Kippur Mahzor (Koren, 2012) ISBN 9789653013469
- 코렌 색스 로쉬 하샤나 마조르 (Koren, 2011) ISBN 9789653013421
- 위대한 파트너십: 신의 과학과 의미 탐색 (Hodder & Stouton, 2011) ISBN 9780340995259
- 코버넌트 및 대화: 엑소더스 (Koren, 예루살렘, 2010) ISBN 9781592640218
- 미래 시제 (Hodder & Stoughton, 2009) ISBN 9780340979853
- 코버넌트 및 대화: 제네시스(Koren, 2009) ISBN 9781592640201
- The Koren (Sacks) Siddur (Koren, 2009) ISBN 9789653012172
- 우리가 함께 만드는 집 (계속, 2007) ISBN 9780826423498
- 공인 일일기도서(HarperCollins, 2006) ISBN 9780007200917
- 골절된 세상을 치유하려면(Continuum, 2005) ISBN 9780826480392
- 낙관론에서 희망으로(Continuum, 2004) ISBN 9780826474810
- 랍비 조나단 색스의 학가다(Harper Collins, 2003) ISBN 9789653013421
- 차이의 존엄성 (계속, 2002) ISBN 9780826468505
- Richical Then, Rich Now (미국에서 두루마리 속 편지로 출판) (Continuum, 2001) ISBN 9780826473363
- 기념생명(Continuum, 2006) ISBN 9780826473370
- 도덕 및 시장(Occasional Paper 108) (경제문제연구소, 1998) ISBN 0255364245
- 희망의 정치 (Vintage, 2000) ISBN 978024043298
- 믿음의 지속성 (Continuum, 2005년) - 그의 BBC Reith 강의 시리즈 ISBN 9780297820857을 기반으로 한다.
- 한 사람: 전통, 현대와 유대인 연합 (The Littman Library, 1993) ISBN 9781874774013
- 믿음의 공동체 (Peter Halban, 1995) ISBN 9781870015592
- 미래에 대한 믿음(Darton, Longman 및 Todd, 1995) ISBN 9780232520989
- 우리에게 유대인 손자가 있을까? (Valentine Mitchell, 1994) ISBN 9780853032823
- 위기와 규약 (맨체스터 대학 출판부, 1992년) ISBN 0719033004
- 천국을 위한 주장 (Jason Aronson, 1991년) ISBN 0876687834
- 비반복 시대의 전통 (Vallentine Mitchell, 1990) ISBN 0853032394
- 편집자로서
- 토라 연구: 랍비 메나켐 M의 담론. 슈네어슨(Kehot, 1996년 뉴욕 주) ISBN 0826604935
- 현대와 맞서는 정통파(Ktav, New York, 1991년) ISBN 0881253634
- 전통과 변화 (Jews College Publications, 1986) ISBN 095121490X
사생활
색스는 1970년에 일레인 테일러와 결혼하여 함께 세 아이를 낳았다: 조슈아, 디나, 길라.[1] 색스는 채식주의자였다.[71]
죽음
색스는 72세의 나이로 2020년 11월 7일 런던에서 사망했다.[72][73] 그는 2020년 10월 암 진단을 받았으며 이전에 두 차례 암 치료를 받았다.[74]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는 색스 총리에게 조의를 표하며 그의 지도력이 "우리 나라 전체와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75]고 말했다. 또한, 랍비 메이르 솔로비치크는 월스트리트 저널에 "젠탈레스가 색스 경에게서 배울 수 있는 것"[76]이라는 제목의 글을 썼다.
참조
- ^ a b c d e f g h Anon (2017). "Sacks, Baron, (Jonathan Henry Sacks)". Who's Who. ukwhoswho.com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ed.). A & C Black,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doi:10.1093/ww/9780199540884.013.33626.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필요한 경우)
- ^ a b Sacks, Jonathan (1982). Rabbinic concepts of responsibility for others : a study of the Commandment of Rebuke and the idea of mutual surety. london.ac.uk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Copac 24124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20. Retrieved 17 May 2018.
- ^ Abrams, Hester (7 December 1991). "Philosopher is new leader of Britain's Jews : Educational standards, disintegrating family concern rabbi". The Record. Kitchener, Ontario. p. C11.
He is officially head of the mainstream United Synagogue, but is not recognized as religious leader by many in the progressive Reform and Liberal movements
- ^ Butt, Riazat (13 July 2009). "Chief Rabbi joins House of Lords". The Guardian.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September 2013. Retrieved 15 August 2009.
The decision to confer a title on Sacks angered Jews from both the progressive and strictly Orthodox branches who did not recognise him as their religious leader
- ^ 비교:
- ^ a b c "About Rabbi Lord Jonathan Sac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October 2020. Retrieved 8 November 2020.
- ^ Herlinger, Chris. "Lord Jonathan Sacks wins Templeton Priz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December 2016. Retrieved 24 November 2016.
- ^ Gjelten, Tom (9 November 2020). "Rabbi Jonathan Sacks, Towering Intellect Of Judaism, Dies At 72". NPR.org. Retrieved 6 September 2021.
- ^ "Chief Rabbi's mother dies at 91". The Jewish Chronicle. 26 Sept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20. Retrieved 8 November 2020.
- ^ "In memory of Libby Sacks". www.personal.briansack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20. Retrieved 8 November 2020.
- ^ "Jonathan Sacks: Defender of the faith". The Independent. 7 September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20. Retrieved 8 November 2020.
- ^ "Lord Sacks obitu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20. Retrieved 8 November 2020 – via www.thetimes.co.uk.
- ^ "LIBBY FRUMKIN and LOUIS SACKS – East End Vintage Glamour". eastendvintageglamour.org.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December 2016. Retrieved 8 November 2020.
- ^ a b Goldman, Ari L. (9 November 2020). "Jonathan Sacks, the U.K.'s Inclusive Former Chief Rabbi, Dies at 72" – via NYTimes.com.
- ^ "Remembering Rabbi Jonathan Sacks (1948-2020)". Tablet Magazine. 12 November 2020.
- ^ 조나단 색스, "2020년 11월 8일 웨이백 머신에서 2020년 11월 8일 기록"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14. Retrieved 21 January 2014.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4. Retrieved 21 January 2014.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No. 57665".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0 June 2005. p. 1.
- ^ "No. 58099". The London Gazette. 15 September 2006. p. 12615.
- ^ 바넷의 런던 자치구의 명예 프리멘. 아마존닷컴(2009년 9월 29일). 2011년 12월 3일 검색 2008년 6월 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Paul, Jonny (13 July 2009). "UK chief rabbi Sir Jonathan Sacks gets peerage". The Jerusalem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12. Retrieved 20 July 2009.
- ^ 상원 임명 위원회. 아마존닷컴(2009년 7월 13일). 2011년 12월 3일에 검색됨.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2011년 7월 16일
- ^ "No. 59178". The London Gazette. 8 September 2009. p. 15388.
- ^ "Past Winners". Jewish Book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20. Retrieved 23 January 2020.
- ^ a b "Past Winners". Jewish Book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20. Retrieved 24 January 2020.
- ^ "Sacks' Passover guide scoops prestigious US book award". jewishnews.timesofisrael.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16. Retrieved 8 November 2020.
- ^ "Rabbi Lord Jonathan Sacks". www.torahcaf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20. Retrieved 8 November 2020.
- ^ "Royal wedding guest list". BBC News. 23 April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September 2018. Retrieved 20 June 2018.
- ^ "Prince pays tribute to Chief Rabbi". The Jewish Chronicle. 25 June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4. Retrieved 20 January 2014.
- ^ a b c "New British Chief Rabbi Speaks of Need for Decade of Renewal". JTA. 3 September 199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February 2014. Retrieved 21 January 2014.
- ^ "Rabbi Lord Jonathan Sacks". Torah In Mo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April 2019. Retrieved 8 November 2020.
- ^ a b c d e f g h i j k l Rabbi Lord Jonathan Sacks는 2016년 1월 Wayback Machine, rabbisacks.org에서 2020년 11월 8일에 CV Archived를 확장했다. 2020년 11월 8일 액세스
- ^ "Jonathan Sacks: The Persistence of Faith: 1990, The Reith Lectures - BBC Radio 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ugust 2012. Retrieved 12 August 2011.
- ^ "Templeton Prize Winners - Discover Laureates From 1973 to Today". Templeton Priz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20. Retrieved 8 November 2020.
- ^ Tirosh-Samuelson, Hava (1 October 2013). "[(Jonathan Sacks: Universalizing Particularity )]". Brill – via Amazon.
- ^ a b c Harris, Michael J. (1 January 2013). Rynhold, Daniel; Wright, Tamra (eds.). Radical Responsibility:: Celebrating the Thought of Chief Rabbi Lord Jonathan Sacks. Maggid. ASIN 1592643663.
- ^ Pollak, Michael; Simons, Shmuel (1 October 2014). Pollak, Rabbi Michael; Simons, Dayan Shmuel (eds.). Morasha Kehillat Yaakov: Essays in Honour of Chief Rabbi Lord Jonathan Sacks. The Toby Press. ASIN 1592643906.
- ^ a b c d [1] 2015년 7월 15일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유대교 세계와 교전
- ^ 2014년 11월 10일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Rabbi 수석과 Rebbe. 유대인 주간, 11/29/11.
- ^ [2] 2015년 9월 10일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모세의 두려운 점은? Shemot을 위한 5768 by R. 색스
- ^ Hava Tirosh-Samuelson, Aaron W. Hughes, ed. (2013). "Jonathan Sacks: An Intellectual Portrait". Jonathan Sacks: Universalizing Particularity. Brill. pp. 1–20. ISBN 9789004249813.
- ^ 2013년 9월 7일 랍비 조나단 색스의 반란
- ^ 조나단 색스, 미래 시제 (런던: Hodder and Stouton, 2009), 페이지 221
- ^ Universizing Speciality, 페이지 7
- ^ Petre, Jonathan (15 February 2003). "Chief Rabbi revises book after attack by critics". The Daily Telegraph.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11. Retrieved 7 May 2010.
- ^ 랍비 조나단 색스, 차이의 품격, 2003년 2판, 페이지 7, 52–65
- ^ 믿음 강의: 유대인 정체성: 선택된 사람들의 개념. 촌장 랍비(1990년 12월 1일). 2011년 12월 3일에 검색됨. 2012년 4월 17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랍비 조나단 색스, 차이의 존엄성, 3장: "플라톤의 유령 퇴치"를 보고 2009년 4장 "다른 것: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재확인했다.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4. Retrieved 9 October 2013.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MP9996 (16 May 2010). "Is Sacks Britain's Last Chief Rabbi?". The Jewish Chronic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13. Retrieved 12 October 2013.
- ^ Meir Persoff(2008), 또 다른 방법: 랍비 조나단 색스 추장의 설치 연설에 대한 학문적 대응, 10년간의 유대인 갱신. 미들섹스 대학의 박사 논문. 출판된 책(2010년)은 논문보다 상당히 길었다.
페르소프의 책에 대한 비판적인 리뷰는 엘칸 D를 참조한다. 레비(2011), 유대인 사회학 저널 53 페이지 87-93
또한 Miri Freud-Kandel(2011), H-Judic, H-Net에 대한 리뷰를 참조하십시오. - ^ "Jonathan Sacks: Defender of the faith". The Independent. 8 September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15. Retrieved 28 November 2015.
- ^ 이언 버렐, "leaked letters discism in Jewry" 2017년 8월 31일 The Independent, The Independent, 1997년 3월 15일 웨이백머신에 보관
- ^ Rocker, Simon (22 October 2010). "Lord Sacks criticised by progressive rabbi". The Jewish Chronic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13. Retrieved 12 October 2013.
- ^ Simon Rocker (9 May 2013). "No more talk of Gryn Affair, says Hugo's wife". The Jewish Chronicle.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15. Retrieved 28 November 2015.
- ^ Sacks, Jonathan (21 August 2013). "Lord Sacks: The full interview (The Jewish News)". The Times of Israe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7. Retrieved 19 August 2017.
- ^ "Rabbi Dr Louis Jacobs". The Times. London. 4 Jul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ne 2011. Retrieved 7 May 2010.
- ^ "Europeans too selfish to have children, says Chief Rabbi". The Daily Telegraph. London. 5 Nov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2. Retrieved 7 May 2010.
- ^ Butt, Riazat (5 November 2009). "Falling birth rate is killing Europe, says chief rabbi Jonathan Sacks". The Guardian.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13. Retrieved 7 May 2010.
- ^ 랍비 서장은 애플이 웨이백머신에 2018년 9월 12일 보관된 이기적인 사회를 만들도록 도왔다고 비난했다. 전보를 치다. 2011년 12월 3일에 검색됨.
- ^ 랍비 vs. Steve Jobs: iThis & iThat는 슬픔을 유발한다 – 반면 OTOH: 2011년 12월 1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Blogs.computerworlduk.com. 2011년 12월 3일에 검색됨.
- ^ Anna Leach, Chief Rabbi: 나는 잡스와 애플을 존경하고 2020년 8월 5일 웨이백 머신 더 레지스터, 2011년 11월 22일에 매일 아이패드를 사용한다.
- ^ Rocker, Simon (5 July 2012). "Chief Rabbi Lord Sacks attacked over gay marriage opposition". The Jewish Chronic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13. Retrieved 12 October 2013.
- ^ a b Malnick, Edward (25 August 2013). "I understand gay people's fears, says Chief Rabbi Lord Sacks". The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November 2016. Retrieved 27 November 2016.
- ^ Sacks, Jonathan (17 November 2014). "Rabbi". humanum.glob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November 2016. Retrieved 27 November 2016.
- ^ Elijah Interfaith Institute 2014년 10월 8일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Elijah Interfaith Institute - 유대인 세계종교지도자 이사회 회원
- ^ "2017 Irving Kristol Award recipient Rabbi Lord Jonathan Sacks' remarks - AE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20. Retrieved 10 November 2020.
- ^ "UK rabbi to House of Lords: Rise in antisemitism today like Holocaust-era - Diaspora - Jerusalem Post". jpos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19. Retrieved 22 June 2019.
- ^ "The Mutating Virus: Understanding Antisemitism". Rabbi Sacks. 27 September 2016. Retrieved 1 December 2020.
- ^ Sacks, Jonathan (6 June 2001). "Faith Lectures: The Messianic Idea Tod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pril 2016. Retrieved 19 August 2016.
But I can't say very much about chickens because I'm a vegetarian and I stay milchik all the time.
- ^ Goldman, Ari (9 November 2020). "Jonathan Sacks, the U.K.'s Inclusive Former Chief Rabbi, Dies at 72".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0 November 2020.
- ^ Swerling, Gabriella (7 November 2020). "Rabbi Lord Sacks has died, online statement confirms". The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November 2020. Retrieved 7 November 2020. (필요한 경우)
- ^ "Rabbi Lord Sacks dies of cancer at 72". Jewish Chronicle. 7 November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November 2020. Retrieved 7 November 2020.
- ^ ""Warmest human spirit": UK's former chief rabbi Sacks dies". AB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20. Retrieved 8 November 2020.
- ^ Soloveichik, Meir (12 November 2020). "What Gentiles Can Learn From Lord Sacks". The Wall Street Journal. Retrieved 22 November 2020.
외부 링크
![]() | 위키코테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조나단 색스, 남작 색스 |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조나단 색스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