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철십자사 수령자 목록(Bn-Bz)
List of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recipients (Bn–Bz)철십자 기사단(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과 그 변종들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제3제국의 군대에서 가장 높은 상이었다.철십자 기사단은 성공적인 군사 지도력에서부터 극한 전장의 용맹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에 걸쳐 광범위한 이유로 수여되었다.1939년 9월 30일 첫 발표와 1945년 6월 17일 마지막 시상 사이에 총 7,321개의 상이 수여되었다.[Note 1]이 숫자는 기사 크로스 리시버 협회(AKCR)의 오더 커미션을 분석하고 이를 수용한 것에 근거한 것이다.헤어(아미), 크리그스마린(해비), 루프트와페(공군) 등 베흐마흐트 3개 군부와 와펜-SS, 라이히사르비츠디엔스트(RAD—레이히노동청), 국민군(독일 민병대)을 대상으로 발표가 이뤄졌다.제3제국의 동맹국들의 군사력에도 43명의 수령자가 있었다.[2]
These recipients are listed in the 1986 edition of Walther-Peer Fellgiebel's book, Die Träger des Ritterkreuzes des Eisernen Kreuzes 1939–1945 — Die Inhaber der höchsten Auszeichnung des Zweiten Weltkrieges aller Wehrmachtteile — The Bearers of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1939–1945 — The Owners of the Highest Award of the Second World War 모든 베흐마흐트 지부 중에서.펠기벨은 AKCR의 전 회장 겸 주문 위원회의 수장이었다.1996년에 이 책의 두 번째 판은 이들 원본 수령자 중 11명을 상장폐지하는 부록과 함께 출판되었다.작가 겸 역사학자 Veit Scherzer는 이 목록들 중 193개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분쟁 대상자의 대다수는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제3제국의 상황이 악화되어 다수의 지명이 불완전하고 승인 절차의 여러 단계에 계류되어 있던 1945년에 이 상을 받았다.[3]여러 해 동안 펠기벨의 책은 이 주제에 관한 주요 참고 문헌으로 여겨졌고, 이제 슈헤르저의 저작에 의해 계승되었다.
여기에 이름이 "Bn-Bz" 범위에 있는 Wehrmacht와 Wafen-SS의 357명의 나이트 크로스 수혜자가 나열되어 있다.[4]펠기벨 자신이 1명을 상장폐지했고 셔저는 8명 이상의 리스트의 유효성에 도전했다.[5][6]이는 성이 "B"로 시작하는 725명의 철십자 기사단 수상자 명단 중 두 번째 목록이다.성이 "Ba-Bm" 범위에 있는 수신인은 철십자사 기사십자사(Ba-Bm)에 등재되어 있다.[7]처음에 받는 사람들은 성으로 알파벳순으로 순서를 정한다.열거된 계급은 기사십자가 수여될 당시의 수령 계급이다.
배경
철십자 기사단과 그 높은 등급은 네 개의 별도 법안에 근거했다.첫 번째 제정인 1939년 9월 1일, Reichsgesetzblatt I. S. 1573은 철십자사(Eisernes Kreuz), 철십자사 기사십자사, 철십자사(Großkreuz des Eisernen Kreuzz)를 제정하였다.제정 제2조는 상위계급에 대한 시상은 선행계급 전원의 시상이 선행하도록 했다.[8]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기사십자의 일부 수상자들은 더욱 두각을 나타냈고, 더 높은 등급의 오크 잎을 가진 철십자 기사단(리터크뢰즈 데스 아이세른 크레이제스 미트 에이첸라우브)이 창설되었다.오크 잎은 일반적으로 언급되었듯이, 1940년 6월 3일 제정된 라이히제세츠블라트 I. S. 849에 근거했다.[9]1941년에는 기사단의 2개 등급이 더 높은 등급이 제정되었다.The enactment Reichsgesetzblatt I S. 613 of 28 September 1941 introduced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with Oak Leaves and Swords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Eichenlaub und Schwertern) and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with Oak Leaves, Swords and Diamonds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Eichenlaub, Schwertern und Bril광택을 [10]내다At the end of 1944 the final grade,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with Golden Oak Leaves, Swords, and Diamonds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goldenem Eichenlaub, Schwertern und Brillanten), based on the enactment Reichsgesetzblatt 1945 I S. 11 of 29 December 1944, became the final variant of the Knight's Cross authorized.[11]
받는 사람
서비스 | 프레젠테이션 수 | 사후발표 |
---|---|---|
히어 | 246 | 14 |
크리그스마린 | 17 | 1 |
루프트와페 | 78 | 7 |
와펜-SS | 16 | 0 |
오베르코만도 데르 베흐마흐트(국군 최고사령부)는 3개 군지부, 헤이르(아미), 크리그스마린(해군), 루프트와프(공군), 와펜-SS용 각각 1개씩 나이트 크로스 리스트를 별도로 보관했다.이 목록들 각각의 목록들 안에서 각각의 수신자들에게 고유한 순차적인 번호가 할당되었다.같은 번호 매기기 패러다임이 학년당 한 명씩 높은 등급의 기사십자에 적용되었다.[12]Of the 357 awards made to servicemen whose last name is in the range "Bn–Bz", 35 were later awarded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with Oak Leaves, six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with Oak Leaves and Swords and one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with Oak Leaves, Swords and Diamonds; 22 presentations were made posthumously.히어 회원들은 246개의 메달을 받았다; 17개는 크리그스마린으로, 78개는 루프트와페로, 16개는 와펜-SS로 갔다.[4]오크 잎이 달린 철십자 기사십자의 경우 843번, 오크 잎과 검이 달린 철십자 기사십자의 경우 143번이 넘는 일련번호는 비공식적인 번호로, 기사십자협회(AKCR)가 지정하여 괄호 안에 표기한다.[13]
이것은 + (플러스)와 함께 더 높은 등급의 나이트 크로스도 수여되었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별표)와 함께 기사십자가 사후에 수여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배제 마크)와 함께 작가 월터-피어 펠기벨이 명부의 진실성이나 형식적 정확성에 대해 의문을 표시했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역사학자 Veit Scherzer가 명부의 진실성 또는 형식적 정확성에 대해 의문을 표시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름 | 서비스 | 순위 | 역할과 단위[Note 2] | 수상일자 | 메모들 | 이미지 |
---|---|---|---|---|---|---|
한스 에케하르트 밥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14] | 9./Jagdgeschwader 54의[14][15] 스태펠카피탄 | 1941년 3월 7일[14] | — | — |
라인홀트 밥베 | 히어 | 하우프트만[16] | I./Grenadier-Region의 사령관[16][17] 870 | 1945년 3월 23일[16] | — | — |
리처드 보첸틴 | 히어 | 메이저[16] | 2세/그레나디에르-레나디르 405[16][17] 사령관 | 1944년 2월 12일[16] | — | — |
게오르크 보흐만+ | 와펜-SS | 14-WSS-Hauptsturmfhrer[16] | SS-판저-야거-압테이룽 사령관 "토텐코프"[17][Note 3] | 1942년 5월 3일[16] | 1943년 5월 17일 제246회 오크 잎사귀 시상 140회 검 1945년[16] 3월 26일 | ![]() |
헬무트 보치니그 | 히어 | 메이저[16] | 기갑-야거-아브틸룽 228[16][17] 사령관 | 1944년 6월 9일[16] | — | — |
앨버트 보크 | 루프트와페 | 슈타펠트베벨[16] | 찌르기/스투르츠캄프게슈웨더 2 "이멜만"[16][17]의 관찰자 | 1941년 9월 4일[16] | — | — |
페도르 폰 보크 | 히어 | 제너럴로버스트[16] | 헤레스그루페 노르드[16][17] 총사령관 | 1939년 9월 30일[16] | — | ![]() |
프리드리히 빌헬름 보크+ | 와펜-SS | 13-WSS-오베르슈투름프뤼트르와 슈푸포의[16] 오버스트레우트난트 | 2세[16][17]/SS-폴라지-아티엘리에-레디멘션 4 | 1943년 3월 28일[16] | 1944년[16] 9월 2일 제570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한스 복 | 히어 | 하우프트만[16] | 슈베레 기갑-압테일룽 "그뢰데우츠칠란트"[16][17] | 1945년 2월 5일[16] | — | — |
카를 보크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16] | 3세 사령관./Infanterie-Region 97[16][17] | 1942년 5월 3일[16] | — | — |
엥겔베르트 보크호프 | 히어 | 하우프트만[16] | 기갑-아우플레룽스-아브틸룽 9호[16][17] | 1943년 11월 18일[16] | — | — |
오스카르 폰 보드디엔+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16] | 사단장-아우클라룽스-압테일룽 22[18][Note 4] | 1941년 10월 2일[16] | 1942년[16] 1월 8일 제58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헬무트 보데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19] | Gruppenkommandeur of the III./Sturzkampfgeschwader 77[17][19] | 1941년 10월 10일[19] | — | — |
쿠르트 보덴데르페르 | 히어 | 메이저[19] | 그레나디에-레미션 689의[17][19] 지도자 | 1945년 2월 14일[19] | — | — |
에르포 프리허르 폰 보덴하우젠 | 히어 | 제너럴메이저[19] | 12의 사령관. 기갑[17][19] 사단 | 1943년 12월 17일[19] | — | — |
헤르만 보벨 | 히어 | 오버헤프리터[19] | 1./사단-퓌실리에-바타일론 88의[19][20] 저그프뤼허(플랫폼 리더) | 1944년 2월 18일[19] | — | — |
빌헬름 뵈크 | 히어 | 오버스트[19] | 아르틸레리-레지던트 176[17][19] 사령관 | 1943년 1월 20일[19] | — | — |
닥터-쥬르헤르만 뵈켈 | 히어 | 17-호버스트 오브[19] 더 리저브스트 | 그레나디에르 레디멘트 688[17][19] 사령관 | 1944년 8월 12일[19] | — | — |
하인리히 보커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19] | 12. (K)/Lehrgeschwader 1의[17][19] 스태펠카피탄 | 1944년 2월 29일[19] | — | — |
한스 보크베렌스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19] | 32의 사령관. 인판테리[17][19] 디비전 | 1944년 12월 9일[19] | — | — |
헤르베르트 폰 뵈크만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19] | 11의 사령관. 인판테리[17][19] 디비전 | 1941년 12월 4일[19] | — | — |
필 박사님루돌프 보크만 | 히어 | 후기[19] 15호 | 슈베레 아르틸리에-아브틸룽 408 사령관[19][21] | 1942년 7월 23일[19] | — | — |
하인츠 뵈디커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19] | 기갑-피오니어-바타일론 209의[17][19] 지도자 | 1944년 1월 9일[19] | — | — |
에렌프리트오스카르보게+ | 히어 | 오버스트[22] | 인판테리-레지던트 7의[22][23] 사령관 | 1941년 12월 22일[22] | 1944년[22] 9월 21일 제594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헤르만 뵈겔 | 크리그스마린 | 12-MLeutnant jur See of the Reserve[22]. | 미넨수처 지휘관 M-4040[22][24] | 1942년 10월 13일[22] | — | — |
루돌프 볼레인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22] | 2./Fallschiffjager-Regionment 4의[23][Note 5] 책임자 | 1944년 11월 30일[22] | — | — |
헬무트 볼케+ | 히어 | 오버스트[22] | 인판테리-레지던트 430[22][23] 사령관 | 1942년 9월 24일[22] | 1945년[22] 1월 25일 제716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에른스트 ö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22] | 2./플라크-레디멘션 241 (동력)[22][23]의 책임자 | 1943년 6월 20일[22] | — | — |
프리츠 m | 히어 | 오버펠트베벨[22] | 6./Panzer-Regionment[22][23] 26의 Zugführer(플래툰 리더) | 1944년 8월 23일[22] | — | — |
발터 m | 히어 | 오버펠트베벨[22] | 1./Panzer-Aufklérungs-Abteilung 8의[22][23] Spahtruppuhrer(정찰 순찰대장) | 1945년 3월 17일[22] | — | — |
프란츠 뵈메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22] | 32의 사령관. 인판테리[22][23] 디비전 | 1940년 6월 29일[22] | — | ![]() |
프리드리히 뵈메 | 크리그스마린 | 카피탄 주르 시[22] | 프랑크레이치의 아인사츠레이터 데어 크리그스마린크링캄프피텔(프랑스 소해군 작전부장)[23][Note 6] | 1944년 8월 26일[22] | — | — |
허버트 뵈메 | 히어 | 메이저[22] | 3세 사령관./Infanterie-Regionment 28[22][23] | 1940년 7월 19일[22] | — | — |
한스 보머 | 히어 | 리트마이스터[22] | 아우클레이룽스압테이룽 238[22][23] 사령관 | 1943년 9월 10일[22] | — | — |
쿠르트 뵈머 | 크리그스마린 | 카피탄 주르 시[22] | 셰프 데 스칼레스 벨샤베르 데르 시쉐룽 데르 노르데(북해 보안사령관 참모총장)[22][23] | 1940년 10월 6일[22] | — | — |
레오폴트 뵈머 | 히어 | 메이저[23][주 7] | 3세 사령관./Infanterie-Regional 270[23][25] | 1940년 7월 13일[25] | — | — |
라인홀트 ö케 | 히어 | 오버펠트베벨[25] | 13번 구역의 저그퍼러(플랫폼 리더)(Infanteriegeschütz)/그레나디에-레니멘션 162[23][Note 8] | 1944년 4월 6일[25] | — | — |
루돌프 뵈믈러 | 루프트와페 | 메이저[25] | I[23][25]./Fallschremejager-Region 3 | 1944년 3월 26일[25] | — | — |
막스 뵈렌트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25] | 스칼스콤파니/그레나디에르-환경 "그루그다우치랜드"[23][25]의 플뤼그바브웨어(반항공) 저그프뤼허(평장) | 1943년 2월 8일[25] | — | — |
닥터 주르, 닥터 르르폴한스 볼슨 | 히어 | 오버스트[25] | 판저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 111[23][25] | 1943년 9월 17일[25] | — | — |
요하네스 볼터+ | 히어 | 르우트난트[25] | 1./슈베레 기갑-압테일룽 502의[23][25] 저그퓨러(플랫폼 리더) | 1944년 4월 16일[25] | 1944년[25] 9월 10일 제581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게오르크 붕크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25] | Ⅱ./판저-퓌실리에르-레디멘트의 지도자 "그뢰더치랜드"[23][25] | 1945년 2월 18일[25] | — | — |
발터 보엔케 | 루프트와페 | 제너럴루트넌트[25] | 3명의 사령관.플리에거[23][25] 디비전 | 1944년 5월 14일[25] | — | — |
게오르크 뵈닝 | 히어 | 10-HFanenjunker-Oberfeldwebel[25] | 13. (IG)/그레나디에르-레디멘션 412의[26][Note 9] 저그퍼러(플랫폼 리더) | 1944년 8월 27일[25] | — | — |
요하네스 드 보어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25] | 아르틸레리-레디멘션 22호[25][26] | 1940년 6월 19일[25] | — | — |
에른스트 붕겐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25] | 5./Jagdgeschwader 27의[26][Note 10] 스태펠카피탄 | 1944년 8월 3일[26][주 10] | — | — |
앨윈 보어스트+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27] | 3./Sturzkampfgeschwader 2 "이멜만"[26][27] 조종사 | 1941년 10월 5일[27] | 1942년 11월 28일 제149회 오크 잎사귀 시상 제61회[27] 검 1944년 4월 6일 | — |
오토 뵈셀 | 루프트와페 | 와흐트마이스터[27] | 2./플라크-레디멘션 43(동력화)[28][Note 11]의 게슈흐츠퓌러(총층) | 1944년 6월 11일[27] | — | — |
게오르크 프리허르 폰 보에셀라거+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27] | 1.(reit)/부서장-Aufklérungs-Abteilung[28][Note 12] 6 | 1941년 1월 18일[27] | 1941년 12월 31일 제53회 오크 잎사귀 시상식 114 검 1944년[27] 11월 28일 | — |
필리프 프리허르 폰 보에셀라거 | 히어 | 메이저[27] | I./Kavalerie-Regional Mitte[26][27] 사령관 | 1944년 7월 20일[27] | — | — |
카를 뵈트체르 | 히어 | 제너럴메이저[27] | 21의 사령관. 기갑[26][27] 사단 | 1941년 12월 13일[27] | — | — |
쿠르트 보에체르 | 히어 | 메이저[27] | I./Artillerie-Region 27 (동력)[26][27] | 1941년 9월 4일[27] | — | — |
쿠르트 뵈트체르 | 히어 | 메이저[27] | 파이오니어-바타일론 44세[26][27] 사령관 | 1943년 2월 21일[27] | — | — |
폴 뵈트커 | 히어 | 오버워치마이스터[27] | 2번 함대의 대장이요마르슈콤파니/펠더사츠-아브틸룽 89[28][Note 13] | 1944년 9월 30일[27] | — | — |
발터한스 뵈트커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27] | I./Grenadier-Region의 리더 216[26][Note 14] | 1943년 2월 8일[27] | — | — |
요하네스 뵈에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27] | 14명의 족장.(판저예거)/그레나디에-레니멘털 397[26][Note 15] | 1943년 12월 11일[27] | — | — |
볼프강 뵈윙 트루딩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27] | 10./Jagdgeschwader 51 "Mölders"[26][Note 16]의 참모장 | 1943년 3월 24일*[27] | 1943년[26] 2월 11일 전사 | — |
빌헬름 보퍼 | 히어 | 후기[29] 15호 | 그레나디어-레디멘트의 지도자[26][29] 1039 | 1944년 10월 16일[29] | — | — |
루돌프 보고치 | 루프트와페 | 제너럴 데어 플리에거[29] | 드르 루프트와페 베임 오베르베펠샤베르 데 히레스[26][Note 17] | 1942년 3월 20일[29] | — | — |
브루노 보거트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29] | 시셰룽스-바타일론 670[26][29] 사령관 | 1944년 4월 21일[29] | — | — |
헬무트 볼렌스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29] | 5./Fernaufklérungs-Gruppe 122의[26][Note 18] 조종사 | 1943년 6월 21일*[26][Note 18] | 1943년[26] 4월 19일 전사 | — |
에르빈 볼켄 | 히어 | 펠드베벨[29] | 1./Panzer-Region 1의[26][29] Zugführer(플래툰 리더) | 1945년 3월 17일[29] | — | — |
테오도르 볼만 콤브린크 | 히어 | 오버스트[29] | 슈첸-레디멘트의 사령관[26][29] 111 | 1941년 8월 8일[29] | — | — |
볼프강 분 | 히어 | 하우프트만[29] | 3세/판저그레나디에르 8세[26][29] 사령관 | 1944년 12월 9일[29] | — | — |
한스 보넨캄프 | 히어 | 후기[29] 15호 | 3세 사령관./Artillerie-Region 295[29][30] | 1943년 1월 22일[29] | — | — |
빌헬름 분스테트 | 히어 | 제너럴메이저[29] | 32의 사령관. 인판테리[29][30] 디비전 | 1941년 10월 13일[29] | — | — |
하인리히 보이크+ | 히어 | [29] | 오버헤거2./제거-레디멘션 49의[29][30] 그룹 리더 | 1943년 5월 5일[29] | 1944년[29] 1월 18일 제370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한스 라이히스 프레이에르 폰 보이네부르크 렝스펠트 | 히어 | 오버스트[29] | 4명의 사령관.슈첸브리가데[29][30] | 1940년 7월 19일[29] | — | — |
아서 보제 | 히어 | 오버스트[29] | 인판테리-레지던트 134[29][30] 사령관 | 1942년 2월 5일[29] | — | — |
요하네스 보제 | 히어 | 오버스트[31] | 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 37[30][31] | 1944년 1월 11일[31] | — | — |
Dipl.-잉.에른스트 볼브링커 | 히어 | 메이저[31] | I./Panzer-Regional 5의[31][32] 사령관 | 1941년 5월 15일[31] | — | — |
게르하르트 볼트 | 히어 | 13-연방준비제도이사회[31] | 3./부문의 지도자-Aufklérungs-Abteilung 158[30][Note 19] | 1943년 4월 18일[31] | — | — |
부르하르트 볼만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31] | I./Grenadier-Region의 사령관[30][31] 1038 | 1944년 11월 5일*[31] | 1944년[30] 10월 21일 전사 | — |
프레드 볼만 | 루프트와페 | 15-LMajor 예비역[31] | Gruppenkommandeur of the III./Kampfgeschwader 55[30][31] | 1944년 10월 29일[31] | — | — |
헤르만 에른스트 볼름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31] | II./그레나디에르 434의[30][31] 지도자 | 1944년 4월 20일[31] | — | — |
발터 폰 볼텐스터른 | 히어 | 제너럴메이저[31] | 29의 사령관. 인판테리 디비전(동력)[30][31] | 1941년 8월 13일[31] | — | — |
[닥터] 한스 보나스[주 20]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31] | 웨테레르쿤둥스태플 27호[30][31] | 1944년 3월 26일[31] | — | — |
한스 보너츠 | 히어 | 하우프트만[31] | 3세의 지도자./Infanterie-Regional 46[30][31] | 1942년 3월 27일[31] | — | — |
디트리히시그와트 폰 보니 | 히어 | 14-HRITMeister of the Redgest[31]. | I./Panzergrenadier-Regionment 21[30][31] | 1945년 2월 18일[31] | — | — |
에카르트빌헬름 폰 보니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31] | Gruppenkommandeur of the II./Nachtjaggeschwader[30][31] 1 | 1944년 2월 5일[31] | — | — |
후베르투스 폰 보닌 | 루프트와페 | 메이저[31] | 그뤼펜코만두르 (III./Jagdgeschwader 52[30][31]) | 1942년 12월 21일[31] | — | — |
게오르크 본크+ | 히어 | 오버헤프리터[33] | 6./그레나디에-레니멘션 365의[30][33] 기관총사 | 1943년 8월 17일[33] | 1944년[33] 6월 9일 제492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프리드리히 본케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33] | 3./플랙-레디멘션 42 (동력)[30][33] | 1944년 12월 6일[33] | — | — |
프리드리히 본테 | 크리그스마린 | 카피탄 주르 시[33] | 총통 데르 제르스트뢰르( 구축함 지휘자)와 캄프그루페 나르비크[30][33] | 1940년 10월 17일*[33] | 1940년[30] 4월 10일 전사 | — |
빌헬름 북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33] | 10명의 리더./Infanterie-Region 6[30][33] | 1941년 11월 26일[33] | — | — |
요한 부스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33] | 9./Kampfgeschwader 55의[30][Note 21] 조종사 | 1943년 10월 9일[33] | — | — |
요아힘 부스펠트 | 와펜-SS | 13-WSS-오베르슈투름프뢰르[33] | 4./SS-카발리에리-레디멘션 16 "플로리안 가이어"[30][Note 22]의 책임자 | 1945년 2월 21일[33] | — | — |
알프레드 보프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33] | 9./인파테리-레지던티 216 최고[33][34] 책임자 | 1940년 12월 21일[33] | — | |
알하르트 프리허르 폰 데르 보르흐 | 히어 | 리트마이스터[33] | 기갑-아우클라롱스-압테일룽 115[33][34] 사령관 | 1944년 8월 19일[33] | — | — |
에리히 보르차르트 | 히어 | 오버펠트베벨[33] | 1./그레나디어-레니멘션 122의[33][34] 리더 | 1944년 3월 17일[33] | — | — |
헬무트 보르차르트+ | 히어 | 운테로피지에[33] | 2./그레나디어-레니멘션 409의[33][34] 그룹 리더 | 1943년 4월 30일[33] | 1945년[33] 4월 14일 제828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허버트 보차르트 | 히어 | 12-HL존치국[33] | 7./그레나디에르-레니멘션 189의[33][35] 쇼크 부대장 | 1944년 3월 20일[33] | — | — |
로버트 보차르트 | 히어 | 하우프트만[36] | 판제르스페-콤파니/아우프클레이룽스-압테이룽(동력) 341년[34][36] | 1941년 8월 23일[36] | — | — |
아돌프 보르처스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36] | 11./Jagdgeschwader 51 "Mölders"[34][36] | 1943년 11월 22일[36] | — | — |
헤르만 보르처스 | 와펜-SS | 14-WSS-Hauptsturmfhrer[36] | I./SS-Panzergrenadier-Region 19 "Hohenstaufen"[34][Note 23]의 리더 | 1944년 10월 16일[36] | — | — |
발터 보처스 | 루프트와페 | 메이저[36] | 나흐트자그게슈웨더 5호[34][Note 24] 게슈와데르코레오레 | 1944년 7월 27일[34][주24] | — | — |
에른스트 보르헤르트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36] | 1./인파테리-레디멘션 29 (동력)[34][36] | 1941년 9월 29일[36] | — | — |
빌헬름 보르헤르트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36] | III/그레나디에르-레니멘션 121의[34][Note 25] 지도자 | 1943년 3월 11일[36] | — | |
한스조르그 보크 | 히어 | 13-연방준비제도이사회[36] | 3./판저-피오니어-바타일론 209의[34][36] 추장 | 1943년 12월 23일[36] | — | — |
발터 보델레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36] | 5./트랜스포지슈와이더 2호[34][36] 조종사 | 1944년 3월 26일[36] | — | — |
에베르하르트 폰 보렘스키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36] | 7./Jagdgeschwader 3 "Udet"[34][Note 26]의 파일럿 | 1942년 5월 3일[36] | — | — |
하인리히 보그만+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36] | 9./인파테리-레지던티 46[35][36] | 1940년 7월 19일[36] | 1942년[36] 2월 11일 71회 오크 잎사귀 수상 | — |
맥스 보크?[Note 27]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34] | Korps "Bork"[34][Note 28] 총사령관 | 1945년 5월 11일[34] | — | — |
닥터-잉 에른스트 보르만+ | 루프트와페 | 오버스트레우트넌트[36] | 캄프게슈와데르의 게슈와데르코레 76[34][36] | 1941년 10월 5일[36] | 1942년[36] 9월 3일 제119회 오크 잎사귀 수상 | — |
에른스트 본 | 히어 | 펠드베벨[36] | 7./그레나디어-레디멘션 2의[34][36] 저그퍼(플랫폼 리더) | 1944년 4월 21일*[36] | 1944년[34] 3월 27일 전사 | — |
[닥터] 하인리히 본[주 20]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38] | 4./Panzergrenadier-Region 104의[34][38] 리더 | 1945년 4월 14일[38] | — | — |
게르트 폰 본 팔루아 | 히어 | 메이저[38] | 기갑-아우클레이룽스-레르-압테일룽 130[34][38] 사령관 | 1945년 1월 2일[38] | — | ![]() |
랄프 보르네만 | 루프트와페 | 르우트난트[34][주 29] | Stab I./Flaksturm-Region 5(동력)[34][Note 29]에서 | 1945년 4월 17일[38] | — | — |
루돌프 본호프 | 히어 | 12-HL존치국[38] | 1./제거-레디멘션의 리더 38[34][38] | 1942년 5월 3일[38] | — | — |
월터 본셜린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38] | 파일럿 인 II./Kampfgeschwader[34][38] 2 | 1942년 9월 24일[38] | — | ![]() |
윌리발트 보로비에츠+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38] | 슈첸 레디멘트 10 사령관[34][38] | 1941년 7월 24일[38] | 1943년[38] 5월 10일 제235회 오크 잎사귀 수상 | — |
헤르만 폰 보리스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38] | 인판테리-레디멘트의 지도자 46[38][39] | 1942년 5월 3일[38] | — | — |
카를 보리스 | 루프트와페 | 메이저[38] | I./Jagdgeschwader 26 "슐라게터"[38][39]의 그루펜코만두르 | 1944년 11월 25일[38] | — | — |
요아힘 보르만 | 히어 | 하우프트만[38] | 3세/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 427[38][39] | 1943년 10월 13일[38] | — | — |
게오르크 보세 | 히어 | 르우트난트[38] | 1./Sturmgeschüz-Abteilung 177의[38][39] 저그프위러(플랫폼 리더) | 1944년 9월 21일[38] | — | — |
욥스트힐마르 폰 보세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39][주 30] | I./Infanterie-Region의 사령관 289[38][39] | 1941년 12월 4일[38] | — | — |
카를 하이네스 보스카 | 와펜-SS | 13-WSS-오베르슈투름프뢰르[38] | 2세/SS-판저-레디멘션 2 "다스 제국"[39][Note 31] 부관 | 1943년 12월 16일[38] | — | — |
볼프강 폰 보스텔+ | 히어 | 르우트난트[40] | 1023년[39][Note 32] 판자예거슈투르메게슈흐츠콤파니(Pangerjeger-Sturmgeschuz-Kompanie)의 저그프위르(평장) | 1944년 9월 2일[40] | 상 (859회) 오크 잎사귀 1945년[40] 4월 30일 | — |
쿠노한스 폰 둘 다 | 히어 | 제너럴 데어 인판테리[40] | I의 지휘관이다. 아르메코프스[39][40] | 1941년 7월 9일[40] | — | ![]() |
폴 투더 | 히어 | 펠드베벨[40] | 3./그레나디에르-레니멘션 411의[39][40] 저그퍼(플랫폼 리더) | 1942년 12월 23일[40] | — | — |
월터 보츠?[Note 33]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41] | LVIII의 소장 대행.판차코르프스[41][Note 34] | 1945년 5월 9일[41] | — | — |
알프레드 보틀러 | 히어 | 메이저[40] | I./Grenadier-Region 200 (동력)[39][40] | 1944년 11월 3일[40] | — | — |
알브레히트 폰 박스베르크 | 히어 | 메이저[40] | 2세/판저-레디멘션 3세[39][40] | 1944년 2월 7일[40] | — | — |
귄터 브라케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40] | I./Grenadier-Region의 부대표 422[39][40] | 1944년 8월 27일[40] | — | — |
앨버트 브라차트 | 히어 | 펠드베벨[40] | 1./Infanterie-Region 14의[39][40] Zugführer(플래툰 리더) | 1940년 7월 4일[40] | — | — |
농업 박사님헤르만 브라허 | 히어 | 오버스트[40] | 그레나디에 레디멘트의 사령관 460[39][40] | 1943년 8월 23일[40] | — | — |
닥터-쥬르브루노 프리허르 폰 브라켈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40] | 3./팬저-레디멘션 15의[39][40] 리더 | 1941년 8월 23일*[40] | 1941년[39] 8월 13일 전사 | — |
에른스트요아힘 브라델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40] | 판저그레나디에 레디멘트의 사령관 113[39][40] | 1943년 12월 15일[40] | — | — |
월터 브래들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40] | 9./Kampfgeschwader 2의[39][40] 스태펠카피탄 | 1941년 9월 17일[40] | — | — |
커트 브렌들+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42] | Gruppenkommandeur of the II./Jagdgeschwader 3 "Udet"[39][42] | 1942년 7월 1일[42] | 1942년[42] 8월 27일 제114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브루노 브루어 | 루프트와페 | 오버스트[42] | 폴슈예거-레디멘션 1의[39][42] 사령관 | 1940년 5월 24일[42] | — | — |
카이 브런들슈미트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42] | 그레나디에-레지던트 501[39][Note 35] 연대 부관 | 1944년 3월 26일[42] | — | — |
오토 브라캇 | 히어 | 운테로피지에[42] | 2./Radfahr-Abteilung 1의[39][42] 그룹 리더 | 1941년 7월 27일[42] | — | — |
베른하르트 브램브링크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42] | 2./Pionier-Bataillon 97의[39][42] 리더 | 1943년 9월 1일[42] | — | — |
하인리히 브라메스펠트 | 크리그스마린 | 카피탄 주르 시[42] | 두 사람의 리더.시쉐룽스[42][43] 디비전 | 1943년 1월 21일[42] | — | — |
한스 요아힘 브랜드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42] | 1./Sturzkampfgeschwader 77의[42][43] 스태펠카피테른 | 1943년 12월 5일[42] | — | — |
에리히 브란덴베르거+ | 히어 | 제너럴메이저[42] | 8 기갑 사단[42][43] 사령관 | 1941년 7월 15일[42] | 1943년[42] 11월 12일 제324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요하네스 브란덴부르크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42] | 2./Sturzkampfgeschwader 2 "이멜만"[43][Note 36]의 참모장 | 1940년 9월 18일[42] | — | — |
막스 브란덴부르크 | 루프트와페 | 펠드베벨[42] | 5./Kampfgeschwader 101[42][43] 조종사 | 1944년 6월 11일[42] | — | — |
에른스트 브란데스 | 히어 | 12-HL존치국[42] | 6./그레나디어-레니멘션 9의[42][43] 리더 | 1945년 3월 5일[42] | — | — |
월터 브란데스 | 히어 | 하우프트만[42] | 2세/판저-레디멘션 25[42][43] | 1944년 10월 28일[42] | — | — |
알브레히트 브란디+ | 크리그스마린 | 카피테뉴탕트[44] | U-617[43][44] 사령관 | 1943년 1월 21일[44] | 1943년 4월 11일 제224회 오크 잎사귀 시상 66회 검 1944년 5월 9일 1944년[44] 11월 24일 제22회 다이아몬드 | ![]() |
요제프 브랜드너+ | 히어 | 하우프트만[44] | 슈투르메슈흐츠브리가데 912[45][Note 37] 사령관 | 1943년 3월 17일[44] | 1945년 4월 26일 오크 잎사귀 시상식?[46][Note 38] | — |
카스파르 브랜드너 | 히어 | [44] | 오버헤거8./Gebirgsjager-Region 91의[43][44] 그룹 리더 | 1944년 10월 28일[44] | — | — |
프란츠 브란트 | 히어 | 오버펠트베벨[44] | II./그레나디에르-레니멘트 953번지[43][44] 쇼크 부대장 | 1944년 9월 30일[44] | — | — |
프리드리히 브란트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44] | 3./팬저-피오니어-바타일론 39호장[43][44] | 1942년 8월 20일[44] | — | — |
게르하르트 브란트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44] | 1./Sturmgeschüz-Brigade 202의[43][44] 추장 | 1944년 12월 12일[44] | — | — |
닥터-메드.귄터 브란트 | 크리그스마린 | 15-MKorvettenkapitén 보호구역[44] | 21세의 족장.유자그드플로틸[43][44] | 1943년 12월 23일[44] | — | — |
한스조그 브란트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44] | 인판테리-레지던트 577의[43][44] 지도자 | 1943년 1월 22일*[44] | 1943년[43] 1월 4일 전사 | — |
한스오토브란트 | 히어 | 르우트난트[43][주 39] | 10번 홀에서 주그프뢰르(플랫폼 리더)/Infanterie-Regionment 67[43][44] | 1941년 8월 21일[44] | — | — |
하인츠 브란트 | 히어 | 슈타펠트베벨[44] | 4./그레나디어-레니멘션 1124의[43][44] 저그퍼러(플랫폼 리더) | 1945년 3월 5일*[44] | 1945년[43] 2월 19일 전사 | — |
하인츠 브란트 | 히어 | 12-HL존치국[44] | Panzergrenadier-Region 103의[43][Note 40] 기업 지도자 | 1945년 5월 6일[44] | — | — |
폴 브란트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48] | IV/Jagdgeschwader 54[43][48] 조종사 | 1944년 9월 5일[48] | — | — |
월터 브란트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48] | I./Jagdgeschwader 77[45][Note 41] 조종사 | 1943년 3월 24일[48] | — | — |
월터 브란트 | 히어 | 메이저[48] | 기갑-피오니어-바타이용 130 사령관[48][49] | 1944년 7월 18일[48] | — | ![]() |
귄터 브란슈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48] | 사단장-아우클레이룽스-아브틸룽 392 (크로아티스체)[50][Note 42] | 1944년 12월 9일[48] | — | — |
폴 브라삭 | 크리그스마린 | 카피테뉴탕트[48] | U-737[48][49] 사령관 | 1944년 10월 30일[48] | — | ![]() |
루디 브라슈 | 히어 | 오버헤프리터[48] | 4./Panzergrenadier-Region 93의[48][49] 그룹 리더 | 1942년 11월 9일[48] | — | — |
칼 브래서트 | 히어 | 오버스트[48] | 캄프프코만단트(전투 지휘관) 마리엔부르크[51][Note 43] | 1945년 2월 10일[48] | — | — |
발터 폰 브라우치치치 | 히어 | 제너럴로버스트[48] | 오베르베펠샤베르 데 히레스(육군 총사령관)[48][49] | 1939년 9월 30일[48] | — | ![]() |
발터 브라워 | 히어 | 13-연방준비제도이사회[48] | 14명의 족장.(판저예거)/그레나디에-레니멘트 507[49][Note 44] | 1944년 9월 10일[48] | — | — |
알프레드 브라운 | 히어 | 오버펠트베벨[48] | 3./그레나디어-레니멘션 544의[48][49] 저그퍼(플랫폼 리더) | 1944년 8월 12일*[48] | 1944년[49] 7월 15일 전사 | — |
크리스티안 브라운+ | 히어 | 오버펠트베벨[48] | 8. (MG)/그레나디에르-레니멘션 308의[49][Note 45] 저그퓌러(플랫폼 리더) | 1944년 7월 15일[48] | 1944년[48] 12월 9일 제677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루돌프 브라운 | 루프트와페 | 르우트난트[48] | 1./Sturzkampfgeschwader 3의[48][49] 참모장 | 1941년 6월 14일[48] | — | — |
빌헬름 브라운 | 히어 | 메이저[52] | 2세/인판테리-레지던트 576[49][52] | 1943년 1월 20일[52] | — | — |
빌리 브라운 | 루프트와페 | 09-LFanenjunker-Feldwebel[52] | 4./Kampfgeschwader 55의[49][52] 관찰자 | 1944년 6월 9일[52] | — | — |
한스귄터 브라운 폰 스툼 | 히어 | 리트마이스터[52] | 사단장-아우클레이룽스-압테이룽 100[49][Note 46] | 1942년 7월 20일*[52] | 1941년[49] 9월 15일 사고로 사망 | — |
[닥터] 허워드 브라운그[주 20]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52] | Nahaufklérungs-Gruppe 9의[49][Note 47] 조종사 겸 관찰자 | 1944년 3월 28일[49][주 47] | — | — |
에리히 브루니스 | 크리그스마린 | 프레갓텐카피텐[52] | 24명의 족장.란둥스플로틸[49][52] | 1944년 12월 28일[52] | — | — |
외젠 브레히트 | 히어 | 15-HMajor im Generalstab(총참모부)[52] | 131호의 ib(검역장)인판테리[49][52] 디비전 | 1943년 10월 3일[52] | — | — |
빌헬름 브레데미에 | 히어 | 펠드베벨[52] | 12. (MG)/게비르그제거-레디멘션 91의[49][Note 48] 저그프위러(플랫폼 리더) | 1942년 11월 9일[52] | — | — |
프란츠 브레드메이어 | 히어 | 펠드베벨[52] | 2./Infanterie-Region 156 (동력)[49][52]의 Zugfuhrer(플래툰 리더) | 1943년 8월 23일[52] | — | — |
헤르만 브리에르 | 히어 | 운테로피지에[52] | 6./그레나디에르-레니멘션 78의[49][52] 저그퓌러(플랫폼 리더) | 1944년 8월 8일*[52] | 1944년[49] 7월 19일 전사 | — |
베르너 브리즈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52] | 5.(F)/Aufklérungs-Gruppe 122의[49][Note 49] 조종사 | 1944년 2월 29일[52] | — | — |
요제프 브레겐저+ | 히어 | 하우프트만[52] | I./Grenadier-Region 245 사령관[49][52] | 1943년 4월 20일[52] | 1944년[52] 3월 17일 427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클로스 브레거+ | 히어 | 슈타펠트베벨[52] | 1./Infanterie-Region 27의[49][52] Zugführer(플래툰 리더) | 1942년 9월 4일[52] | 1945년[52] 1월 14일 700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게르하르트 브레메 | 히어 | 오버펠트베벨[53] | 1./판저-아브틸룽 52의[53][54] 저그퓨러(플랫폼 리더) | 1943년 8월 23일*[53] | 1943년[54][Note 50] 7월 17일 상처로 사망 | — |
구스타프 브레머 | 히어 | 후기[53] 15호 | 파이오니어-바타일론 271[53][54] 사령관 | 1944년 12월 9일[53] | — | — |
루돌프 브레머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53] | 인판테리-레지던트 347[53][54] 사령관 | 1942년 2월 22일[53] | — | — |
프리드리히 빌헬름 브라이덴바흐 | 히어 | 메이저[53] | 기갑-브리가이드 101의[53][54] 지도자 | 1944년 9월 30일[53] | — | — |
헤르만 브라이스+ | 히어 | 오버스트[53] | 5. 기갑-브리가데[53][54] 사령관 | 1940년 6월 3일[53] | 제69회 오크 잎사귀 시상식 1942년 1월 31일 제48회 검 21 1944년[53] 2월 | ![]() |
프리츠 브라이토프+ | 크리그스마린 | 15-MKorvettenkapitén 보호구역[53] | 12명의 족장.미넨수크플로틸[53][54] | 1941년 8월 3일[53] | 1944년[53] 2월 10일 제387회 오크 잎사귀 수상 | — |
게르하르트 브레머+ | 와펜-SS | 13-WSS-오베르슈투름프뢰르[53] | 1.(Kradschützen)/Aufklérungs-Abteilung "라이브스탠다르트 SS 아돌프 히틀러"[53][55] | 1941년 10월 30일[53] | 1944년[53] 11월 26일 제668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오스카르 브레머만?[Note 51] | 히어 | 펠드베벨[54] | 6./그레나디에르-레니멘션 209의[54] 저그프위러(플랫폼 리더) | 1945년 5월 9일[54] | — | — |
요제프 브렘+ | 히어 | 12-HL존치국[53] | 5./인파테리-레디멘탈 426[53][55] | 1942년 2월 18일[53] | 1943년[53] 12월 23일 제165회 오크 잎사귀 시상 (159일)검은 1945년 5월 9일?[56][Note 52] | |
앨버트 브렌델 | 히어 | 오버스트[53] | 인판테리-레지던트 274[53][54] 사령관 | 1943년 1월 20일[53] | — | — |
한스 브렌델 | 히어 | 오버스트[53] | 인판테리-레지던트 689의[53][54] 사령관 | 1942년 12월 7일[53] | — | — |
요아힘 브렌델+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53] | 1./Jagdgeschwader 51 "Mölders"[53][54]의 스태펠카피탄 | 1943년 11월 22일[53] | 1945년[53] 1월 14일 697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피터 브레니그 | 히어 | 운테로피지에[57] | 연대-Pionier-Zug/Grenadier-Region의 그룹 리더[54][57] 669 | 1944년 6월 15일*[57] | 1944년[54] 3월 23일 전사 | — |
쿠르트 브레네크 | 히어 | 제너럴 데어 인판테리[57] | XXXX의 일반 명령III. 아르메코프[54][57] | 1942년 7월 12일[57] | — | — |
빌헬름 브레네크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57] | Stab II./Kampfgeschwader 55[54][57] 조종사 | 1944년 3월 26일[57] | — | — |
게르하르트 브레너 | 루프트와페 | 예비군[57] 12LLENTH | 2.(K)/Lehrgeschwader 1의[54][57] 조종사 | 1941년 7월 5일[57] | — | — |
하로 브레너 박사 | 히어 | 12-HL존치국[57] | 인판테리콤파니의 리더 "De Kaste"[55][Note 53] | 1943년 4월 16일[57] | — | — |
카를 하이니히 브레너 | 와펜-SS | 19-WSS-Gruppenfurer and Generalleutnant of the Wafen-SS[54][Note 54] | 6. SS-게비르그스 사단 "노르드"[54][57] | 1944년 12월 27일[57] | — | — |
게르하르트 브렌트후르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54][주 55] | 4.(MG)/그레나디에-레니멘션 9의[54][Note 55] 추장 | 1944년 10월 4일[57] | — | — |
하인츠 브레트누츠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57] | 그뤼펜코만두르 2세/자그다게슈와데르 53세[54][57] | 1940년 10월 21일[54][주 56] | — | — |
하인츠 브렛슈나이더 | 루프트와페 | 오버워치마이스터[57] | I./Flak-Region의 배터리 담당자 13(동력)[54][Note 57] | 1943년 2월 3일[57] | — | — |
클라우스 브렛슈나이더 | 루프트와페 | 르우트난트[57] | 5./제그제슈와이더 300호[58][Note 58] 조종사 | 1944년 11월 18일[57] | — | — |
콘라트 브레츠크나이더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57] | 1./Sturmgeschüz-Brigade 904의[57][58] 리더 | 1945년 2월 1일[57] | — | — |
한스 브레츠?[Note 59] | 히어 | [58] | 오버펜리히기갑-베르니흐퉁스-브리가데 오베르슐레시엔의[58] 저그퓌르(플랫문 지도자) | 1945년 5월 6일[58] | — | — |
피터폴 브레우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60] | Gruppenkommandeur of the II./Kampfgeschwader 3 "Lüzow"[58][60] | 1942년 10월 2일[60] | — | — |
헬무트 브루커 | 히어 | 하우프트만[60] | I./Gebirgsjager-Regional 141[58][60] 사령관 | 1944년 11월 26일[60] | — | — |
한스 브리겔 | 루프트와페 | 메이저[58][주 60] | 폴스치름-판저그레나디어-레디멘션 2 "헤르만 괴링"[58][60]의 지도자 | 1945년 1월 14일[60] | — | — |
게오르크 브리엘 | 히어 | 메이저[60] | 히레스-플라크-바타일론 606[61][Note 61] 사령관 | 1942년 7월 23일[60] | — | — |
쿠르트 폰 브라이센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60] | 30대 사령관. 인판테리[58][60] 디비전 | 1939년 10월 27일[60] | — | — |
칼 프리드리히 브릴+ 박사 | 크리그스마린 | 15-MKorvettenkapitén 보호구역[60] | 미넨시프 코브라 지휘관 겸 광산 채굴단[58][Note 62] 단장 | 1941년 12월 27일[60] | 1943년[60] 11월 18일 제330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커트 브릴 | 히어 | 메이저[60] | 그레나디에-레지던트 956[58][60] 부대표 | 1944년 7월 4일[60] | — | — |
프리드리히 브린크만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60] | 6. (F)/Aufklerrungs-Gruppe 122의[58][Note 63] 조종사 | 1943년 12월 30일[58][주 63] | — | — |
휴버트 브링크포스 | 히어 | 게프리터[60] | 14번 홀에서 리히츠추체(포병)가 나왔다.(판저예거)/인판테리-레지던트 25[58][Note 64] | 1941년 3월 7일[60] | — | — |
헬무트 브링크만 | 크리그스마린 | 비자드미랄[60] | 코마디에렌더 제독 슈바르츠 미어(흑해 제독 지휘)[58][60] | 1944년 5월 17일[60] | — | — |
카를 브리첼마이어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60] | 인판테리-레지던트 217[58][60] 사령관 | 1942년 2월 2일[60] | — | — |
아킴 폰 브리츠케 | 히어 | 하우프트만[58][주 65] | 1299년[58][Note 65] 판자예거 슈투르엠게슈츠콤파니 족장 | 1944년 10월 23일[62] | — | — |
휴고 브로슈어 | 루프트와페 | 펠드베벨[62] | 8./Jagdgeschwader 54의[58][62] 조종사 | 1945년 3월 12일[62] | — | — |
케이 로렌츠 남작 폰 브록도르프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62] | 기갑부대장교15[58][Note 66] | 1945년 4월 14일[62] | — | — |
에른스트 알브레히트 그라프 폰 브록도르프 알레펠트 | 히어 | 리트마이스터[62] | 크라드슈첸 바타일론 22세[58][62] | 1942년 12월 26일[62] | — | — |
월터 그라프 폰 브록도르프 알레펠트+ | 히어 | 제너럴 데어 인판테리[62] | 2세 사령관.아르메코프스[61][62] | 1941년 7월 15일[62] | 1942년[62] 6월 27일 제103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위르겐 브로케 | 루프트와페 | 르우트난트[62] | 4./제그제슈와이더 77호[58][62] 조종사 | 1942년 12월 9일*[62] | 1942년[58] 9월 15일 전사 | ![]() |
칼 브록스 박사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62] | 그레나디에-레니멘션[58][Note 67] 123 연대 부관 | 1944년 9월 30일[62] | — | — |
롤랜드 브로드 | 히어 | 하우프트만[62] | 3세/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 467[58][62] | 1944년 2월 23일*[62] | 1944년[58] 1월 5일 상처로 사망 | — |
하인리히 브로도스키 | 히어 | 오버헤프리터[62] | 8. (MG)/그레나디어-레니멘션 386의[63][Note 68] 기관총사 | 1944년 12월 18일[62] | — | — |
빌헬름 브뢰커호프?[Note 69] | 히어 | 메이저[63] | 기갑-아티엘리-레디멘트의 지도자 "브란덴부르크"[63] | 1945년 5월 8일[63] | — | — |
빌헬름 브로펠 | 히어 | 하우프트만[62] | 2세/그레나디에르 지방 502세[62][63] 사령관 | 1943년 11월 14일[62] | — | — |
요스트 브뢰켈만 | 크리그스마린 | 코베텐카피텐[62] | 두 사람의 족장.룸부팅플로틸[62][63] | 1942년 6월 14일[62] | — | — |
허버트 브로넬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62] | 4./Jagdgeschwader 54[63][Note 70] 조종사 | 1943년 3월 14일[62] | — | — |
카를 브뢰삼레 | 히어 | 운테로피지에[66] | 4.(MG)/그레나디에-레니멘션 330의[63][Note 71] 소총 리더 | 1944년 6월 26일[66] | — | — |
에두아르트 브록시터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66] | II/Kampfgeschwader 76의[63][66] 참모장 | 1943년 3월 24일[66] | — | — |
프리드리히 프리허르 폰 브로히 | 히어 | 오버스트[66] | 24의 사령관. 판저그레나디에브리가데[66][67] | 1942년 8월 29일[66] | — | — |
피터 브로치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66] | 2./Kampfgeschwader 2의[63][66] 조종사 | 1942년 9월 24일[66] | — | — |
빌헬름 브로멘 | 루프트와페 | 예비군[63][Note 72] 12LLENTH | 조종사와 Z.B.V. 4./Sturzkampfgeschwader 2 "이멜만"[63][Note 72]의 Offizier(특별 배치 담당) | 1943년 4월 16일[66] | — | — |
카를 브롬만 | 와펜-SS | 12-WSS-Untersturmfhrer[66] | 1./schwere SS-Panzer-Abteilung 503의[63][66] 리더 | 1945년 4월 29일[66] | — | — |
하인리히발터 브론사르트 폰 셸렌도르프+ | 히어 | 오버스트[66] | 판저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 13[63][66] | 1943년 9월 10일[66] | 1944년[66] 2월 12일 제394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지그프리드 브로소 | 와펜-SS | 14-WSS-Hauptsturmfhrer[66] | 1./SS-판저-피오니어-바타일론 "다스 라이히"[63][Note 73]의 추장 | 1943년 11월 13일[66] | — | — |
폴 브루처 | 히어 | 르우트난트[66] | 3./Infanterie-Region 447의[63][66] Zugführer(플래툰 리더) | 1941년 10월 23일[66] | — | — |
게르하르트 브루크만 | 히어 | 운테로피지에[66] | 3./그레나디어-레디멘션 12의[63][66] 그룹 리더 | 1943년 8월 6일[66] | — | — |
헬무트 브루크+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66] | 1./Sturzkampfgeschwader 77의[63][Note 74] 스태펠카피테른 | 1941년 9월 4일[66] | 1943년[66] 2월 19일 제193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빅터 브루크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68] | I./Grenadier-Region 376의[63][68] 사령관 | 1944년 10월 20일[68] | — | — |
요한 브루커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68] | 그레나디에르-레지던트 959의[63][68] 사령관 | 1945년 4월 5일[68] | — | — |
월터 브루커 | 히어 | 하우프트만[68] | 3세/제거-레디멘션 56세의[63][68] 지도자 | 1943년 4월 16일[68] | — | — |
하인리히 브뤼커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68] | III의 그루펜코만두르/슈투르츠캄프케슈와데르 2 "이멜만"[63][68] | 1941년 6월 22일[63][주 75] | — | — |
오토 헤르만 브뤼커 | 히어 | 제너럴메이저[68] | 6의 사령관. 폴크스그레나디에[63][68] 디비전 | 1945년 4월 14일[68] | — | — |
에리히 폰 브뤼크너 | 히어 | 오버스트[68] | 예거-레디멘션 1호 "브란덴부르크"[63][68] | 1945년 3월 11일[68] | — | — |
빌헬름 브뤼크너 | 히어 | 운테로피지에[68] | 14번 구역의 게슈츠 총통 (총층)(판저예거)/인판테리-레지던트 253[63][Note 76] | 1941년 10월 5일[68] | — | — |
볼프강 브뤼크너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68] | 3./Kampfgeschwader 1 "힌덴부르크"[63][68]의 스태펠카피탄 | 1943년 12월 5일*[68] | 1943년[63] 7월 14일 전사 | — |
하인리히 브뤼게만 | 히어 | 펠드베벨[68] | 3./그레나디에-레니멘션 178의[63][68] 콤파니에트루프 총책임자(회사 본부장) | 1945년 4월 5일[68] | — | — |
카를 브뤼게만 | 히어 | 운테로피지에[68] | Stabskompanie/Infanterie-Region의 그룹 리더[68][69] 5 | 1940년 11월 28일[68] | — | — |
프리드리히 8월 그라프 폰 브뤼흘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68] | 8./Panzer-Regionment 2의[68][70] 책임자 | 1942년 11월 3일[68] | — | — |
발터 브뤼닝 | 히어 | 르우트난트[69][주 77] | III의 최고 책임자./Infanterie-Regional 508[69][Note 77] | 1942년 1월 12일[68] | — | — |
알프레드 브루어 | 히어 | 오버스트[71] | 기갑-예술가-환경군 사령관 155[70][71] | 1942년 7월 30일[71] | — | — |
요제프 브루에츠치 | 히어 | 운테로피지에[71] | 1./분할-Füsilier-Bataillon 305의[69][71] 그룹 리더 | 1945년 3월 17일[71] | — | — |
한스 브룬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71] | 3./그레나디에르-레니멘션 90의[70][71] 추장 | 1942년 12월 29일[71] | — | — |
요하네스 브룬 | 히어 | 오버스트[71] | 아르틸레리코만두르 149[70][71] | 1943년 12월 20일[71] | — | — |
더크엘스코 브루인스 | 와펜-SS | 04-WSS-로텐프러[71] | 1./SS-판저-제거-아브틸룽 54 "네덜란드"[70][Note 78]의 게슈흐츠 총통 (총층) | 1944년 8월 23일[71] | — | — |
에드가 브렁크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71] | 2./Füsilier-Region 202의[70][71] 추장 | 1944년 7월 3일[71] | — | — |
앨버트 브루너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71] | 6./Jagdgeschwader 5의[69][71] 조종사 | 1943년 7월 3일*[71] | 1943년[70] 5월 7일 전사 | — |
에두아르트 브루너+ | 히어 | 하우프트만[71] | I./Grenadier-Region의 리더 62[70][71] | 1944년 2월 27일[71] | 1944년[72][Note 79] 10월 28일 제638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아서 브런스 | 히어 | 메이저[71] | 그레나디에-레지던트 245의[70][71] 지도자 | 1943년 4월 3일*[71] | 1943년[70] 2월 4일 전사 | — |
닥터-쥬르액셀 브런스 | 히어 | 13-연방준비제도이사회[71] | 7./예술계 지도자 241[70][71] | 1943년 8월 29일[71] | — | — |
디드리히 브런스 | 히어 | 후기[71] 15호 | 2세/인판테리-레디멘션 16세[69][71] | 1942년 8월 9일[71] | — | — |
구스타프아돌프 브룬스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71] | 판저그레나디에 레디멘트[70][71] 74 | 1942년 10월 15일[71] | — | — |
카를하인츠 브룬시크 | 히어 | 르우트난트[70][주 80] | 4./그레나디어-레니멘션 43의[70][73] 리더 | 1945년 4월 5일[73] | — | — |
프리츠 브루트셔 | 히어 | 12-HL존치국[73] | 3./Panzer-Pionier-Bataillon 92의[69][73] 리더 | 1943년 1월 22일[73] | — | — |
앨버트 브룩스+ | 히어 | 하우프트만[73] | I./슈첸-레디멘트 66[70][73] | 1941년 9월 12일[73] | 1944년[73] 6월 24일 오크 잎 504회 수상 | — |
프리츠 부케노 | 히어 | 메이저[73] | Fahnenjunker-Region 4 of Artilerie-Schule II Groß-Born[70][Note 81] | 1945년 3월 28일[73] | — | — |
한스 부홀츠 | 루프트와페 | 13-연방준비제도이사회[73] | 1./Kampfgeschwader 40[70][73] 조종사 | 1941년 3월 24일[73] | — | — |
헬무트-늑대강 부클러 | 히어 | 하우프트만[73] | I./Infanterie-Region의 사령관 204[70][73] | 1942년 1월 6일*[73] | 1941년[70] 12월 10일 전사 | — |
프란츠 부치너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73] | 5./Infanterie-Region 30 (동력)[70][73] | 1941년 10월 2일[73] | — | — |
헤르만 부치너 | 와펜-SS | 14-WSS-Hauptsturmfhrer[73] | III./SS-Panzergrenadier-Region 5 "토텐코프"[74][Note 82]의 사령관 | 1944년 6월 16일[73] | — | — |
헤르만 부치너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73] | 6. / Schlachtgeschwader 2 "이멜만"[74][Note 83] 조종사 | 1944년 7월 20일[73] | — | — |
막스 부콜츠[주 84]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73] | I./Jagdgeschwader 3의[74][Note 84] 스태펠카피탄 | 1941년 8월 12일[73] | — | — |
에른스트게오르크 부히테르키르흐+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73] | 2./Panzer-Regionment 6의[73][74] Zugführer(플래툰 리더) | 1940년 6월 29일[73] | 1941년[73] 12월 31일 44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앨버트 벅 | 히어 | 오버스트[73] | 인판테리-레지던트 305의[73][75] 사령관 | 1941년 7월 17일[73] | — | — |
프리드리히 벅 | 와펜-SS | WSS-Oberscharfhrer[76] 09 | 5./SS-Kavalerie-Region 15 "플로리안 가이어"[74][Note 85]의 리더 | 1945년 1월 27일[76] | — | — |
빌헬름 벅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76] | 판저그레나디에 레디멘트 2의[74][76] 사령관 | 1943년 7월 31일[76] | — | — |
카를 버켈 | 히어 | 13-연방준비제도이사회[76] | 3./Sturmgeschüz-Brigade 277의[74][76] 추장 | 1944년 7월 15일[76] | — | — |
쿠르트 부데우스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74][주 86] | I./Infanterie-Region 307의[74][76] 기관총 Zugfürer(플래툰 리더) | 1940년 12월 21일[76] | — | — |
게오르크 부달 | 히어 | 르우트난트[76] | 1./판저-제거-아브틸룽 121번지의[74][76] 저그프뤼허(플랫폼 리더) | 1944년 9월 21일[76] | — | — |
프란츠 부드카 | 와펜-SS | 12-WSS-Untersturmfhrer[76] | 1./SS-Festungs-Region 1 "베슬린"[74][Note 87]의 리더 | 1945년 4월 19일[76] | — | — |
브루노 뷔차우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76] | 2세/그레나디에르 159세[74][76] 지도자 | 1944년 8월 19일[76] | — | — |
헤르만 뷔칭 | 크리그스마린 | 카피테뉴탕트[76] | 슈넬부츠 S-27 1번 함장슈넬부츠플로틸[74][Note 88] | 1943년 4월 22일[76] | — | — |
헤르만 불베커 | 히어 | 하우프트만[76] | 2세/그레나디에르 436 사령관[74][76] | 1944년 8월 23일[76] | — | — |
칼 하이네스 뷔를러?[Note 89] | 와펜-SS | 16-WSS-오베르슈투르망반프뢰르[75] | SS-판저그레나디에-레디멘션 9 "게르마니아"[75] | 1945년 5월 6일[75] | — | — |
쿠르트 뷔리겐+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76] | 파일럿 인 II./Jagdgeschwader 2 "리치토펜"[74][Note 90] | 1941년 9월 4일[76] | 1944년 3월 2일 제413회 오크 잎사귀 시상 88[76] 검 1944년 8월 14일 | — |
카를 아우구스트 프리허르 폰 뷔로 | 히어 | 오버스트[76] | 기갑군 사령관 24[74][76] | 1944년 12월 12일[76] | — | — |
오토 폰 뷔로우+ | 크리그스마린 | 카피테뉴탕트[78] | U-404[74][78] 사령관 | 1942년 10월 20일[78] | 1943년[78] 4월 26일 제234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해리 폰 뷔로 보텀프 | 루프트와페 | 16-LOBERstleutnant of the Reservements[78]. | 자그제슈웨더2 "리치오펜"[74][78]의 게슈와데르키불편증 | 1940년 8월 22일[78] | — | — |
알프레드 뷔로위스 | 루프트와페 | 오버스트[78] | (K)Lehrgeschwader 1의[74][Note 91] Geschwaderkanitoore of (K)Lehrgeschwader 1 | 1940년 7월 4일[78] | — | |
루돌프 폰 뷔나우+ | 히어 | 오버스트[78] | 인판테리-레지던트 133[78][79] 사령관 | 1940년 8월 15일[78] | 1945년[78] 3월 5일 제766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루돌프 폰 뷔나우 | 히어 | 하우프트만[78] | 기갑-아우플레룽스-아브틸룽 9호[78][79] | 1943년 8월 8일[78] | — | — |
한스 벵테메이어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78] | 2세/그레나디에르 지방 399의[78][79] 사령관 | 1945년 2월 18일[78] | — | — |
빌헬름 뷔르겔 | 히어 | 오버워치마이스터[78] | 5./제비르그-아티엘리-레디멘션 8의[78][79] 배터리 담당자 | 1944년 2월 29일[78] | — | — |
알베르트 뷔르거 | 루프트와페 | 오버레우트넌트[79][주 92] | 4번 찌르기에.플래크[78][79] 디비전 | 1945년 4월 17일[78] | — | — |
오토 뷔르거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78] | 1./Panzergrenadier-Regional 3의[78][79] 책임자 | 1945년 4월 14일[78] | — | — |
토머스 뷔르거 | 히어 | 하우프트만[80][주 93] | 3세 사령관./Infanterie-Region 528[80][Note 93] | 1942년 3월 4일[78] | — | — |
빌헬름 비르거호프 | 히어 | 오버펠트베벨[78] | 7./그레나디에-레니멘션 166의[78][79] 저그퍼(플랫폼 리더) | 1943년 5월 5일[78] | — | — |
울리히 뷔르커 | 히어 | 16-총참모부(총참모부)[78] | 10명 중 Ia (작전 장교) 기갑[78][79] 사단 | 1943년 1월 19일[78] | — | — |
니콜라우스 뷔센 박사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81] | 1./Fernaufklérungs-Gruppe 122의[79][Note 94] 참모장 | 1942년 9월 4일*[81] | 1942년[79] 6월 14일 상처로 사망 | — |
오토 뷔싱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81] | 기갑군 사령관 39[79][81] | 1942년 11월 21일[81] | — | — |
빌헬름 부싱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81] | I./Grenadier-Region 280의[79][81] 리더 | 1945년 2월 28일[81] | 1945년 4월 16일 사망 | — |
아서 뷔세크 | 루프트와페 | 운테로피지에[81] | 2./플라크-레디멘션 49(동력화)[79][81]의 게슈흐츠 총통(총층) | 1942년 12월 23일[81] | — | — |
한스 뷔토우 | 크리그스마린 | 카피탄 주르 시[81] | 총통 더어뢰부트(어뢰배 선두)[79][81] | 1941년 3월 12일[81] | — | — |
프란츠 뷔트너 | 히어 | 오버헤프리터[81] | 7./그레나디에-레니멘션 67의[79][81] 그룹 리더 | 1944년 12월 18일[81] | — | — |
맨프레드 뷔트너?[Note 95] | 루프트와페 | 09-LFanenjunker-Feldwebel[79] | 2./Fallschiffjager-Regionment 26의[79] 리더 | 1945년 4월 29일[79] | — | ![]() |
에른스트 부파 | 루프트와페 | 제너럴루트넌트[81] | 12의 사령관.Flak-division (동력)[79][81] | 1944년 9월 5일[81] | — | — |
마르틴 부어 | 히어 | 메이저[81] | 슈투르메슈추츠아브틸룽 202[79][81] 사령관 | 1943년 9월 11일[81] | — | — |
루돌프 데 부어 | 히어 | 운테로피지에[81] | 5./Infanterie-Region의 그룹 리더 76(동력)[79][81] | 1943년 10월 2일[81] | — | — |
루돌프 부세 | 히어 | 오버스트레우트넌트[81] | 인판테리-레지던트 47의[79][81] 사령관 | 1942년 8월 17일[81] | — | — |
한스 부작 | 히어 | 펠드베벨[81] | 10./그레나디어-레디멘션 7의[79][81] 저그퍼(플랫폼 리더) | 1944년 8월 27일[81] | — | — |
오토 부카츠체크 | 히어 | 운테로피지에[81] | 10./ Schützen-Region 52의[79][81] 그룹 리더 | 1941년 7월 24일[81] | — | — |
루트비히 불라 | 루프트와페 | 오버스트레우트넌트[85] | Flak-Regiment 164 (동력)[79][85] | 1944년 6월 11일[85] | — | — |
허버트 불링거 | 히어 | 리트마이스터[85] | 2세/카발레리-레지던트 5 "펠드마르슈트 폰 매켄센"[79][85] | 1945년 2월 1일[85] | — | — |
카를 불먼 | 히어 | 하우프트만[85] | 2세/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 1126[85][86] | 1945년 1월 31일[85] | — | — |
로버트 부멘 | 루프트와페 | 펠드베벨[85] | 1./Sturzkampfgeschwader 77의[86][Note 96] 조종사 | 1944년 10월 29일[85] | — | — |
월터 번트 | 히어 | 운테로피지에[85] | 1./그레나디에-레니엄 669의[85][86] 그룹 리더 | 1944년 10월 20일[85] | — | — |
하인츠 분데스만 | 히어 | 르우트난트[86][주 97] | 3./그레나디어-레니멘션 88의[85][86] 리더 | 1945년 1월 14일[85] | — | — |
커트 번드록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85] | Stab/Nachtjaggeschwader 1의[86][Note 98] 무선/무선 연산자 | 1944년 6월 30일[86][주 98] | — | — |
에른스트 번지 | 히어 | 14-HAuptmann of the Restabities[85] | 2세/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 121[86][Note 99] | 1943년 11월 16일[85] | — | — |
헬무트 붕어 | 히어 | 하우프트만[85] | II./Panzergrenadier-Region "Feldherrnhalle"[85][86]의 리더 | 1945년 2월 1일[85] | — | — |
프리츠 번스 | 와펜-SS | Sturmbannführer[85] | SS-SS-Freiwiligen-Pionier-Bataillon 11 "Nordland"[86][Note 100] | 1944년 1월 30일[85] | — | — |
요하네스 분제크 | 루프트와페 | 르우트난트[85] | 7./Jagdgeschwader 52의[85][86] 조종사 | 1944년 4월 6일*[85] | 1943년[86] 12월 11일 전사 | — |
한스 분젤 | 히어 | 오버펠트베벨[85] | 3./판저-아브틸룽 116의[85][86] 저그퓨러(플랫폼 리더) | 1943년 2월 10일[85] | — | — |
빌리 분젤 | 히어 | 메이저[87] | 3세 사령관./Infanterie-Regionment 426[86][87] | 1941년 10월 11일[87] | — | — |
한스 부르바흐 | 히어 | 운테로피지에[87] | 2./판저-야거-아브틸룽 41의[86][87] 게슈흐츠프뤼어(총층) | 1943년 11월 18일[87] | — | — |
Dipl.-잉. 하인리히 버처드![Note 101] | 루프트와페 | 제너럴루트넌트[86] | 7군 사령관.플래크[86] 디비전 | 1944년 10월 31일[86] | — | — |
테오도르 부르차르디+ | 크리그스마린 | 비자드미랄[87] | 오슬란드[86][87] 제독 | 1944년 9월 29일[87] | 1945년[87] 4월 8일 제823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루츠빌헬름 부르크하르트[주 102] | 루프트와페 | 르우트난트[88] | 4./제그제슈와이더 77호[86][Note 102] 조종사 | 1942년 10월 15일[88] | — | — |
카를 부르다흐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87] | 11의 사령관. 인판테리[86][87] 디비전 | 1944년 2월 23일[87] | — | — |
요르그 버그+ | 히어 | 12-HL존치국[87] | 2./판저-아브틸룽 18의[86][87] 저그퍼(플랫폼 리더) | 1943년 3월 3일[87] | 1944년[87] 10월 4일 제604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빌헬름 버그도프 | 히어 | 오버스트[87] | 인판테리-레디멘트의 사령관[86][87] 529 | 1941년 9월 29일[87] | — | — |
알프레드 버지마이스터?[Note 103] | 히어 | 오버스트[86] | 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 524[86] | 1945년 5월 2일[86] | — | — |
게오르크 버그펠트 | 히어 | 하우프트만[87] | 14명의 족장.(판저예거)/분할-그루프 112[86][Note 104] | 1944년 2월 21일[87] | — | — |
막스 부르하르트스위제르 | 히어 | 오버펠트베벨[87] | 쇼크 부대장 7./게비르그제르-레디멘션 100[86][87] | 1941년 7월 9일[87] | — | — |
아우구스트 부르골테 | 히어 | 오버펠트베벨[87] | 3./판저-아브틸룽 102의[87][90] 저그퓨러(플랫폼 리더) | 1944년 12월 9일[87] | — | — |
게르트 버그만 | 히어 | 하우프트만[87] | 1./Sturm-Bataillon AOK 4의[87][90] 추장 | 1944년 12월 18일*[87] | 1944년[90] 10월 26일 전사 | — |
닥터-쥬르커트 폰 버그스도르프 | 히어 | 후기[87] 15호 | 그레나디에르-레디멘트의[87][90] 지도자 580 | 1943년 4월 2일[87] | — | — |
에발트 부리안 | 히어 | 오버스트[87] | 그레나디에-레지던트 980 사령관[87][90] | 1944년 10월 4일[87] | — | — |
프리츠 부르크하르트 | 히어 | 오버레우트넌트[88] | 8./그레나디에르 지방 417의[88][90] 추장 | 1945년 4월 17일[88] | — | — |
아놀드 버마이스터 | 히어 | 제너럴메이저[88] | 25명의 지도자. 판저그레나디에[88][90] 디비전 | 1945년 1월 14일[88] | — | — |
한스위르겐 버메스터 | 히어 | 하우프트만[88] | 슈베레 기갑-압테일룽 509[88][90] 사령관 | 1944년 9월 2일[88] | — | — |
레온하르트 부르르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88] | 7./Sturzkampfgeschwader 77의[90][Note 105] 라디오 운영자 | 1944년 11월 30일[88] | — | — |
구스타프아돌프 부르슈 | 히어 | 르우트난트[88] | 6./Infanterie-Region 90의[88][90] 리더 | 1941년 10월 13일[88] | — | — |
라인하르트 버스트 | 히어 | 메이저[88] | 그레나디어-레디멘트의 지도자[88][90] 111 | 1944년 8월 12일[88] | — | — |
에른스트 부슈+ | 히어 | 제너럴 데어 인판테리[88] | 16의 총사령관. 아르미[88][90] | 1940년 5월 26일[88] | 1943년[88] 8월 21일 제274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한스 부쉬 | 히어 | 메이저[88] | 2세/그레나디에르 지방 사령관[88][90] 4 | 1944년 9월 10일[88] | — | — |
루돌프 부슈 | 루프트와페 | 오버펠트베벨[88] | 1./Fernaufklérungs-Gruppe 121의[90][Note 106] 조종사 | 1944년 6월 9일[88] | — | — |
월터 부쉬 | 히어 | 12-HL존치국[88] | 1./Infanterie-Bataillon z.b.V. 561의[88][90] 리더 | 1943년 10월 14일[88] | — | — |
월터 부쉬 | 루프트와페 | 하우프트만[88] | 1./플랙-레디멘션 2 (동력)[88][90]의 책임자 | 1944년 6월 9일[88] | — | — |
카를 부셰 | 히어 | 오버스트[90][주 107] | 예거-레디멘트의 사령관[90][Note 107] 228 | 1943년 2월 28일[91] | — | — |
에리히 부센하겐+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91] | 15명의 사령관. 인판테리[90][91] 디비전 | 1943년 12월 5일[91] | 1944년[91] 7월 4일 제521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프리드리히 빌헬름 부슈하우젠 | 히어 | 메이저[91] | I./Panzergrenadier-Region 69의[90][91] 사령관 | 1943년 5월 9일[90][주 108] | — | — |
빌헬름 버스 | 히어 | 오버펠트베벨[91] | 1./판저-레디멘션 31의[90][91] 기갑사령관 | 1944년 12월 9일[91] | — | — |
악셀 프리허르 폰 부쉬슈 슈트라이토르스트 | 히어 | 하우프트만[91] | I./Grenadier-Region 9의[90][91] 사령관 | 1944년 3월 7일[91] | — | ![]() |
하인리히 부세+ | 히어 | 메이저[91] | 사단장-후실리에-바타일론 328[90][91] | 1944년 3월 26일[91] | 1944년[91] 10월 28일 637회 오크 잎사귀 시상 | — |
테오도르 부세 | 히어 | 제너럴루트넌트[91] | 히레스그루페 수드[90][91] 총참모장 | 1944년 1월 30일[91] | — | — |
빌헬름 부세 | 히어 | 메이저[91] | 그레나디에-레지던트 82의[90][91] 지도자 | 1944년 3월 12일[91] | — | — |
야니스 부쿠스 | 와펜-SS | 14-WWAffen-Hauptsturmfhrer | 10./SS-Feld-Ersatz-Bataillon 19의[92][Note 109] 리더 | 1944년 9월 21일[91] | — | — |
비오 부츠 | 히어 | [91] | 오버헤거게슈츠 총통(총부층)은 16에 있다.(Infanteriegeschütz)/제거-레지던트 228[93][Note 110] | 1944년 3월 6일[91] | — | — |
베르너 부아 | 히어 | 하우프트만[91] | I./Grenadier-Regional 44의[91][93] 사령관 | 1945년 3월 23일[91] | — | — |
메모들
- ^ 그루자드미르랄과 히틀러의 뒤를 이어 국가원수(Staats soberhaupt)이자 군 최고사령관인 카를 önitz 독일 대통령은 1945년 5월 11일(Dönitz-decree)을 기점으로 모든 승진과 포상의 중단을 명령했다.따라서 1945년 6월 17일 게오르크-울프강 펠러의 오벌루트난트 주르 시에게 수여된 마지막 기사십자는 사실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지만 순수한 유인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1]
- ^ Luftwaffe, Heer, Kriegsmarine 및 Waffen-SS가 사용하는 다양한 명명 체계에 대한 설명은 Wehrmacht와 Waffen-SS가 사용하는 명명법을 참조한다.
- ^ 슈헤르저는 SS "토텐코프"-판저-야거-압테일룽의 리더로 말했다.[16]
- ^ 슈헤르저에 따르면 아우프클레이룽스-압테일룽 22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6]
- ^ I./Fallschiffjager-Regiment 4의 회사 리더로서 Scherzer에 따르면.[22]
- ^ 슈헤르저에 따르면 프랑크레이히에서 코만단트 데르 클링캄프피텔(프랑스 소해군 작전사령관)이라고 한다.[22]
- ^ 슈어저 소령에 의하면 (처분을 위한) 수르 베르웬둥 소령이라고 한다.[25]
- ^ 13./그레나디어-레디멘션 162에서 슈헤르저에 의하면 저그프뤼허(플랫폼 리더)라고 한다.[25]
- ^ 13./그레나디에르 412에서 슈허저에 의하면 저그프뤼허(플랫폼 리더)라고 한다.[25]
- ^ a b 1944년 7월 27일 슈헤르저에 따르면 I./Jagdgeschwader 27의 Gruppenkommandeur라고 한다.[25]
- ^ 2./플라크-레디멘션 43의 게슈튀르 (총층)에 있는 슈헤르저에 따르면.[27]
- ^ 셰르저에 따르면 1./Aufklérungs-Abteilung 6의 수장으로서.[27]
- ^ 2명의 리더로서 셔저에 따르면.슈와드론/펠더사츠-아브틸룽 89.[27]
- ^ 그레나디에-레디온 167의 슈헤르저에 따르면, 대대장(리더 I. 바틸론)으로 그레나디에-레디멘트 216에 배정됐다.[27]
- ^ 14./그레나디어-레디멘션 397의 수장으로서 셔저에 따르면.[27]
- ^ 10./Jagdgeschwader 51 "Mölders"[27]의 스태펠카피테른으로 셰르저에 따르면.
- ^ According to Scherzer as General der Luftwaffe beim Oberbefehlshaber des Heeres und Inspekteur der Aufklärenden-Flieger im Reichsluftfahrtministerium (General of the Luftwaffe with the Supreme High Command of the German Army and Inspector of the Reconnaissance Flyers with the Ministry of Aviation).[29]
- ^ a b 1943년 10월 9일 슈헤르저에 따르면, Aufklérungsstaffel 1.(F)/122에서 조종사로 근무하고 있다.[29]
- ^ 셔저는 3./Aufklérungs-Abteilung 158의 리더로 말한다.[31]
- ^ a b c 박사 칭호[박사]를 둘러싼 괄호들은 학술적 칭호가 철십자 기사십자가 수여된 후에 획득되었음을 나타낸다.
- ^ 9. (Eis)/Kampfgeschwader 55의 파일럿으로서 Scherzer에 따르면.[33]
- ^ 4./SS-카발리에리-레디멘션 16의 수장으로서 쉐르저에 따르면.[33]
- ^ I./SS-Panzergrenadier-Region 19의 리더로서 Scherzer에 따르면.[36]
- ^ a b 1944년 10월 29일 슈헤르저에 따르면 3세의 그루펜코만두르로 기록되어 있다./Nachtjaggeschwader 5.[36]
- ^ 3./그레나디에르 121의 리더로서 셔저에 따르면.[36]
- ^ 9./Jagdgeschwader 3 "Udet"[36]의 파일럿으로서 Scherzer에 따르면.
- ^ 그의 부대에 의해 막스 보크가 지명된 것은 1945년 4월 13일 헤레스 퍼스널람트(HPA—Army Steffice Office)에 의해 제라이슈프러-SS를 통해 접수되었다.요아힘 도마슈크 소령은 1945년 4월 14일 텔레프린터를 통해 AOK 1의 총사령관으로부터 해명성명을 요청했다.그는 1945년 5월 5일에 다시 요청을 했다.Domasck는 "Verliehenne Ritterkreuze"(Awarded Knight Crosses)라는 책에서 이 점에 주목했다.이와 병행하여, HPA는 1945년 4월 28일 그의 부대에 의해 2차 지명을 받았고, 모든 간헐적인 지휘관들의 승인을 받았다.이번 지명은 도마슈크 소령에게 결코 성공하지 못한 것 같다.그의 부대에 의한 두 후보 모두 후보 지명이 처리되거나 승인되었다는 더 이상의 증거를 나타내지 못했다.프레젠테이션 날짜는 기사 크로스 리시버 협회(AKCR)의 가정이다.보크는 AKCR의 일원이었다.[37]
- ^ 47명의 사령관으로서 쉐르저에 따르면 폴크스그레나디에 사단.[37]
- ^ a b 슈허저는 예비군의 레우트넌트(Leutnant of the Reserve)로, 칼 I./Flaksturm-Region 5의 보좌관으로 임명했다.[38]
- ^ 셰르저에 따르면 오버스트레우트넌트(Egénzungsoffizier—보조 장교)라고 한다.[38]
- ^ Scherzer에 따르면 II./SS-Panzer-Regionment 2의 부관이다.[38]
- ^ 슈헤르저에 따르면 판자예거-아브테이룽 23에서 I. 저그/슈르름슈히츠-아브테이룽 1023의 저그퓨러(플랫문 리더)라고 한다.[40]
- ^ 월터 보츠쉬가 그의 부대에 의해 지명한 것은 이미 1944년 10월 27일 헤레스 퍼스널람트(HPA-Army Steffice Office)에 의해 접수되어 1944년 11월 3일 승인을 위해 송부되어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프레젠테이션용 필드의 파일 카드 참고 사항: "추가 리더십 보고서는 폴더 참조"1945년 4월 5일 HPA에 의해 파일 카드에 따르면, 그의 부대에 의해 두 번째 지명이 내려졌으며, 이는 다른 용맹이나 지도력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Verliehenne Ritterkreuze"(Awarded Knight Crosses)의 책에는 보츠가 1945년 4월 16일 활동에서 누락된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낙제"라고 기술되어 있다.5082번을 가진 HPA의 지명이 만들어졌다.기사단 크로스 리시버 협회(AKCR)에 따르면, 이 상은 Dönitz-decree에 따라 수여되었다.도이체 디엔스텔(WAST)에 따르면 이는 불법이며 법적 정당성이 결여돼 있다.발표 날짜는 발터-피어 펠기벨이 지정했다.[37]
- ^ 셔저의 말에 따르면 LIII의 총사령관이었습니다.팔뚝.[37]
- ^ 그르나디에-레지던트 501의 부관으로서 셔저에 의하면.[42]
- ^ 슈허저에 따르면, 2./Sturzkampfgeschwader 2의 참모총장으로서.[42]
- ^ 슈헤르저 사령관에 따르면 헤레스슈투르마틸리에 브리게이드 912.[44]
- ^ 독일 연방 기록보관소에서는 이 상의 어떤 증거도 찾을 수 없다.요제프 브랜드너의 자체 계정에 따르면 그는 XXXVIII의 지휘관으로부터 오크 잎을 받았다.아르메코프스, 쿠를랜드 포켓의 아트리에리 커트 헤르조그 장군.그는 발표 날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아마도 그가 오크 잎과 함께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들이 있을 것이다.기사단 크로스 리시버 협회(AKCR)는 베를린에서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한다.발표일은 AKCR에 의한 가정이기도 하다.철십자 기사단 이후 불과 4~5주 만에 오크 잎사귀에 대한 발표는 거의 가능성이 없다.독일 연방기록원은 고위 군사상이 막 수여되었다는 이유로 거부된 수많은 지명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Brandner는 AKCR의 일원이었다.[47]
- ^ 슈어저에 따르면 레전드의 레우트넌트라고 한다.[44]
- ^ 7./Panzergrenadier-Region 103에서 리더로서 Scherzer에 따르면.[44]
- ^ 쉐르저에 따르면./제그제슈와이더 77호에서 조종사라고 한다.[48]
- ^ 슈헤르저 사령관은 아우프클레이룽스-아브틸룽 392(크로아티스체)의 사령관으로 임명했다.[48]
- ^ 슈헤르저 사령관은 페스퉁(포르트리스) 마리엔부르크 사령관으로 임명했다.[48]
- ^ 14./그레나디어-레디멘션 507의 수장으로서 셔저에 따르면.[48]
- ^ 슈헤르저에 따르면, 2세 주그/8./그레나디어-레디멘탈 308.[48]
- ^ 슈헤르저에 따르면 오우클레이룽스-압테일룽 100의 리더로 알려져 있다.[52]
- ^ a b 1944년 3월 26일 슈타브/나하우프클라릉스-그루프 9호에서 조종사와 관찰자로써 슈헤르저에 따르면.[52]
- ^ 12./게비르그제르-레디멘션 91에서 슈거셀에 따르면, 주그프뤼허(플랫폼 리더)가 있다./게비르그제르-레디멘트 91.[52]
- ^ Aufklaerrungsstaffel 5.(F)/122의 파일럿으로서 Schherzer에 따르면.[52]
- ^ 1943년 7월 27일 쉐르저에 따르면.[53]
- ^ 오스카르 브레머만이 그의 부대에 의해 지명한 것은 1945년 4월 19일이었다.Heerespersonalamt (HPA—Army Step Office)는 내부 지명 요청을 작성하지 않았다.독일 문서보관소에 있는 기존의 파일카드는 현대적이지 않다!이 카드에는 "1945년 4월 20일에 지명되었고, 4월 28일에 요아힘 도마슈크 소령이 예"라고 적혀 있다."Verliehenne Ritterkreuze"(Awarded Knight Crosses)에는 도마슈크의 승인 "Knight's Cross yes"가 명시되어 있다.프레젠테이션의 추가 증거를 찾을 수 없다.기사단 크로스 리시버 협회(AKCR)에 따르면, 이 상은 Dönitz-decree에 따라 수여되었다.도이체 디엔스텔(WAST)에 따르면 이는 불법이며 법적 정당성이 결여돼 있다.발표 날짜는 발터-피어 펠기벨이 지정했다.브레머만은 AKCR의 일원이었다.[47]
- ^ 요제프 브렘이 소속 부대에 의해 지명한 것은 1945년 4월 30일 요아힘 도마슈크 소령에게 거부당했고 대신 독일 십자가 인 골드(Gold)를 추천했다.다른 모든 후보들과 마찬가지로 현 시점에서 11명의 멤버들과 관련이 있었다. Armee, 지명은 11일 이후로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아미는 1945년 4월 21일에 항복했으며 전쟁 포로나 실종자 등에 대한 발표는 금지되었다.유사한 상황의 다른 모든 경우에서 "AOK 11 연기" 또는 "AHA 44 Ziff에 따른 연기 연기 572 (Allgemeines Heresamt - General Army Office)"라는 메모를 찾을 수 있다.철십자 기사단의 높은 등급에 대한 후보명단에 기재된 등록일은 1945년 4월 28일이다.이 목록은 "지연된" 노트를 나타낸다.기사십자수령자협회(AKCR)는 이 상이 뒤니츠-결단에 따라 수여됐다고 주장하고 있다.도이체 디엔스텔(WAST)에 따르면 이는 불법이며 법적 정당성이 결여돼 있다.순차적 번호 "159"는 AKCR에 의해 할당되었다.발표 날짜는 펠기벨이 지정했다.Bremm은 AKCR의 일원이었다.[47]
- ^ 슈헤르저에 의하면 히레스그루페 아프리카의 캄프스타펠[카스타]에서 보병 회사의 리더로 있다고 한다.[57]
- ^ 셔저는 SS-Gruppenfuhrer와 경찰의 장군으로 임명되었다.[57]
- ^ a b 슈헤르저에 따르면, 예비군의 오버레우트넌트(Oberleutnant)[57]로서, 4./그레나디에르-레미션 9.
- ^ 1940년 10월 22일 쉐르저에 따르면.[57]
- ^ 1./플라크-레디멘션 (동력) 13에서 배터리 담당자로서 셔저에 따르면.[57]
- ^ 5.(Sturm)/Jagdgeschwader 300의 파일럿으로서 Scherzer에 따르면.[57]
- ^ 독일 연방 기록보관소에서는 이 상의 어떤 증거도 찾을 수 없다.발터-페어 펠기벨에 따르면, 슐드르너가 1955년 6월 27일 한스 브레츠에게 "1945년 4월 마지막 날에 철십자 기사의 십자가가 수여되었다"고 썼기 때문에, 펠지벨은 1945년 5월 3일 펠드마르슈 페르디난드 슈레너에 의해 발표되었다.슈허저는 이것이 4월 말 총통직 사분위기로의 의사소통 연결고리가 없었기 때문에 브레츠에게 호의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1982년 기사단 크로스 리시버 협회(AKCR)의 주문 위원회가 이 사건을 처리했다.어떤 증거가 분석되고 처리되었는지는 슈헤르저에게 알려지지 않았다.셔저는 이것이 슈어너가 브레츠에 호의적인 것에 근거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AKCR은 나이트 크로스 "1945년 4월 27일 예"라고 결정했다.보아하니 AKCR은 나중에 납득이 가지 않았고 날짜를 1945년 5월 6일로 변경했다.셔저는 이것이 슈어너 프레젠테이션으로 시상식을 선언하기 위해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슈헤르저는 연방정부기록보관법(독일 아카이브법)을 근거로 AKCR의 사건 규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파일에 대한 접근을 거부당했다.브레츠는 AKCR의 멤버였지만 AKCR을 떠났다.[59]
- ^ 슈어저에 따르면 예비군 소령이라고 한다.[60]
- ^ 606년 플라크 바타일론 [60]사령관으로서 슈헤르저에 따르면
- ^ 스허저가 미넨시프 코브라 사령관으로 말한다.[60]
- ^ a b 1943년 12월 31일 쉐르저에 따르면, Aufklérungsstaffel 6.(F)/122/Fernaufklerrungs-Gruppe 1의 조종사.[60]
- ^ 슈헤르저에 따르면 14년 리히츠추체(총잡이)라고 한다./Infanterie-Regionment 25.[60]
- ^ a b 슈헤르저에 따르면 레전드의 하우트만과 판자야거콤파니 1299년의 추장이라고 한다.[62]
- ^ 기갑-구역 15의 부관으로서 셔저에 따르면.[62]
- ^ 그르나디에-레미션 123의 부관으로서 셔저에 따르면.[62]
- ^ 8./그레나디어-레디멘션 386에서 슈헤르저에 의하면 기관총사라고 한다.[62]
- ^ 독일 연방 기록보관소에서는 이 상의 어떤 증거도 찾을 수 없다.빌헬름 브뢰커호프 자신의 설명에 따르면 그 발표는 그의 급여 책자에 기록되어 있었다.[64]기사단 교차수령자협회(AKCR)의 명령위원회 파일에는 1961년 전 사단장인 헤르만 슐테-허트하우스 장군이 1945년 3월 중순과 말 사이에 브뢰커호프를 기사단 십자가에 지명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있다고 나와 있다.AKCR의 파일에서도 주목되는 것은 본 서맨이 브뢰커호프에게 사본을 요구했을 때 브뢰커호프의 급여 장부가 없어진 것이다.또 다른 간헐적 지휘관인 전 기갑코프 '그뢰더치랜드' 총사령관인 게오르크 자우어는 1961년 "이 사건을 기억할 수 없다"면서 "기사십자가 언제 승인됐는지, 발표가 언제 이뤄졌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자우어는 또한 "슐테-허트하우스에서 말한 바와 같이 지명되어 제출된 후에 브뢰커호프 소령이 기사단 십자가를 받았을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이 지명은 본 서먼이 말한 Heerespersonalamt (HPA - Army Step Office)에 의해 확실히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또한 HPA에 의해서도 거절당했다.자우어의 편지를 받은 카를 뫼니츠는 자우어의 가설을 받아들였다.뒤니츠는 브뢰커호프에게 "모든 것은 괜찮아!"라고 썼고 1961년 4월 18일 브뢰커호프에게 "1945년 5월 8일 기사 십자가"를 수여했다고 증언했다.브뢰커호프는 AKCR의 일원이었다.[65]
- ^ 쉐르저에 따르면 2./Jagdgeschwader 54의 파일럿이다.[62]
- ^ 4./그레나디어-레디멘션 330의 소총 리더로서 셔저에 의하면.[66]
- ^ a b 슈허저는 I./Sturzkampfgeschwader 2 "이멜만"에서 레우트난트(전쟁 장교)와 조종사로 일한다고 한다.[66]
- ^ 슈어저에 따르면/SS-판저-피오니어-바타일론 2의 수장으로서.[66]
- ^ 셔저에 따르면 I./Sturzkampfgeschwader 77의 Gruppenkommandeur라고 한다.[66]
- ^ 1941년 6월 24일 쉐르저에 따르면.[68]
- ^ 슈헤르저에 따르면 14년 게슈흐츠 총통(총부층)이라고 한다./Infanterie-Regionment 253.[68]
- ^ a b 슈헤르저에 따르면 레전드의 레우트난트(Leutnant)로, 부관이며 3세의 지도자다./Infanterie-Regional 508.[68]
- ^ 슈헤르저에 따르면 1./SS-판저-제거-압테일룽 54에서 게슈흐츠프뤼허(총층)라고 한다.[71]
- ^ 1944년 10월 18일, 쉐르저에 따르면.[71]
- ^ 슈어저에 따르면 레전드의 레우트넌트라고 한다.[73]
- ^ 슈헤르저는 파넨정커-레디멘션 4(사단 "메르키슈-프리드랜드")[73]의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 ^ 슈헤르저에 따르면, 3세/SS-판저그레나디에-규정 5 "툴레"[73]의 사령관이 된다.
- ^ 슈헤르저에 따르면/슐라크트게슈와이더 2 "이멜만"[73]
- ^ a b 슈헤르저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스칼 I./Jagdgeschwader 3에서 조종사로 철십자 기사십자를 받은 막스 부홀츠라고 한다.[73]
- ^ 셔저는 5./SS-카발리에리-레디멘션 15의 리더로 말한다.[76]
- ^ 슈헤르저에 따르면 레전드의 오버레우트넌트라고 한다.[76]
- ^ 1./SS-Festungs-Region "Besslein"/Festung Breslau(포르트 브레슬라우)의 리더로서 Scherzer에 따르면.[76]
- ^ 슈넬부츠 S-27 사령관으로 있는 셔저에 따르면 1번에서 각각 S-51이다.슈넬부츠플로틸.[76]
- ^ 카를 하이네스 뷔를러에게 수여된 상에 대한 증거는 독일 연방 기록보관소에서 찾을 수 없다.이 상은 아마도 SS-Oberstgruppenführer Sepp Dietrich가 수여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불법적인 발표로 간주된다.기사십자사협회(AKCR)의 주문위원회는 1977년에 이 사건을 처리하여 기사십자사 제1호, 1945년 5월 1일로 결정했다.뷔를러 사건은 1983년 가을에 다시 처리되었다.추가 또는 새로운 증거가 구체화되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주문 위원회는 이번에 결정했다: 기사단 십자가 예, 1945년 5월 8일.본 샤멘은 1945년 5월 7일에 그를 나열하고 있으며, 크래츠흐메르는 1945년 5월 1일에 언급하고 있다.펠기벨은 이후 1945년 5월 6일에 이 상의 날짜를 다시 잡았다.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는 여전히 추측의 대상이다.Bühler는 AKCR의 일원이었다.[77]
- ^ 4./Jagdgeschwader 2 "Richthofen"[76]의 Scherzer에 따르면.
- ^ 셰르저에 따르면 레게슈와이더 1호의 게슈와데르코르티오레라고 한다.[78]
- ^ 슈헤르저에 따르면 레전드의 오버레우트넌트라고 한다.[78]
- ^ a b 슈헤르저에 따르면 오버레우트넌트(Oberleutnant)이자 3세의 지도자라고 한다./Infanterie-Region 528.[78]
- ^ Aufklaerrungsstaffel 1.(F)/122의 참모총장으로서 Scherzer에 따르면.[81]
- ^ 독일 연방 기록보관소에서는 이 상의 어떤 증거도 찾을 수 없다.게르하르트 폰 샤멘은 1976년부터 1939–1945년까지 발간된 디 리터크뢰즈트레거 2판에서 맨프레드 뷔트너가 Böhmler Fallschremjaeger에 의해 등재되었다고 인용한다. 아우플라주.[82]발터-피어 펠기벨은 그의 저서에서 뷔트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이츠의 철십자사 수령자는 연방 기록보관소에 공식적인 증거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연방정부 소속이며 나이트 크로스 수령자라고 주장하는 사람이다.일부 사례에서 이러한 주장은 민병대 압시름디엔스트(MAD—군사방첩청)의 조사로 받아들여졌다고 말했다.Büttner는 기사단 크로스 리시버 협회(AKCR)의 회원이었다.[83][84]
- ^ Scherzer에 따르면 Stab I./Sturzkampfgeschwader 77의 파일럿이다.[85]
- ^ 슈어저에 따르면 레전드의 레우트넌트라고 한다.[85]
- ^ a b 1944년 6월 24일 슈타브/나흐트잡게슈와이더 1호에서 쉐르저에 따르면 [게슈와이더키불편소령 베르너 스트레이브 소령과의 무선/무선 운영자로서의 업적에 대하여][85]
- ^ 슈헤르저에 따르면, 2세/그레나디에르-레니멘션 121의 지도자.[85]
- ^ 슈헤르저에 따르면 SS-Pionier-Bataillon 11의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85]
- ^ 발터-피어 펠기벨이 나이트 크로스 수혜자 명단에서 하인리히 부르차드를 때렸다.그는 버차드가 1943년 3월 15일 금의 게르만 십자가를 대신 받은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5]
- ^ a b 슈헤르저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루트비히 빌헬름 부르크하르트(Ludwig-Wilhelm Burkhardt)로, 6./Jagdgeschwader 77에서 조종사로 철십자 기사십자를 받았다.[88]
- ^ 1956년, 전 헤레스페르탈람트/P 5 (HPA—Army Steffice)의 책임자였던 슈에어씨는 데르 게비르그스트르페 루돌프 콘라드(LXVIII 지휘관)로부터 1945년 5월 2일자 나이트 크로스 프레젠테이션 문서를 작성한 기계를 발견했다.아르메코프스)는 알프레드 버게마이스터 연방 국방부의 개인 파일에서 히레스그루페 수드 총사령관을 대신하여 작성되었다.슈테이어는 이 문서의 사본을 부서에 보냈다.연방 국방부의 III C5"는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이 문서는 Oberst a.D.의 개인 파일에 수정되어야 한다.기사 십자가의 발표가 주목되지 않는 버지마이스터."1945년 5월 2일에 이 문서에 따르면, 이 발표는 따라서 불법이다.버지마이스터는 기사단 크로스 리시버 협회(AKCR)의 회원이었다.[89]
- ^ 슈어저에 따르면 14./분할-그루프 112의 수장으로서.[87]
- ^ 슈어저에 따르면, 스테츠캄프페게슈와이더 77에서 무선 통신 사업자로써.[88]
- ^ Aufklaerrungsstaffel 1.(F)/121의 파일럿으로서 Schherzer에 따르면.[88]
- ^ a b 셔저는 101년 캄프그루페의 지도자 겸 오버슈틀루트넌트라고 한다. 예거 사단장이자 예거-레디멘트 228.[91]
- ^ 1943년 [91]5월 10일 쉐르저에 따르면
- ^ 슈어저에 따르면 SS-Feld-Ersatz-Bataillon 19에서 회사 리더로 일하고 있다.[91]
- ^ 16./제거-레디멘션 228에서 슈헤르저에 따르면 게슈흐츠 총통(총층)으로 한다.[91]
참조
- 인용구
- ^ 펠기벨 2000, 페이지 4
- ^ 펠기벨 2000, 페이지 113–460, 483, 485–487, 492, 494, 498–499, 501, 503, 509.
- ^ 셔저 2007년 117-186쪽.
- ^ a b 펠기벨 2000, 페이지 135-152, 487.
- ^ a b 펠기벨 2000, 페이지 510.
- ^ 셔저 2007년 122-125쪽.
- ^ 펠기벨 2000, 페이지 119–135, 485–486.
- ^ "Reichsgesetzblatt Teil I S. 1573; 1 September 1939" (PDF). ALEX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in German). Reichsministerium des Inneren (Ministry of the Interior). Retrieved 21 February 2008.
- ^ "Reichsgesetzblatt Teil I S. 849; 3 June 1940" (PDF). ALEX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in German). Reichsministerium des Inneren (Ministry of the Interior). Retrieved 21 February 2008.
- ^ "Reichsgesetzblatt Teil I S. 613; 28 September 1941" (PDF). ALEX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in German). Reichsministerium des Inneren (Ministry of the Interior). Retrieved 21 February 2008.
- ^ "Reichsgesetzblatt 1945 I S. 11; 29 December 1944" (PDF). ALEX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in German). Reichsministerium des Inneren (Ministry of the Interior). Retrieved 21 February 2008.
- ^ 펠기벨 2000, 페이지 112.
- ^ 펠기벨 2000, 페이지 49–51, 102–111.
- ^ a b c 2007년, 226페이지.
- ^ 펠기벨 2000, 페이지 13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2007년, 227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펠기벨 2000, 페이지 136.
- ^ 펠기벨 2000, 페이지 57, 136.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셔저 2007, 228페이지.
- ^ 펠기벨 2000, 페이지 125, 485, 487
- ^ 펠기벨 2000, 페이지 136, 48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셔저 2007, 페이지 229.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펠기벨 2000, 페이지 137.
- ^ 펠기벨 2000, 137 페이지 48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셔저 2007, 페이지 23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펠기벨 2000, 페이지 13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셔저 2007년 231페이지.
- ^ a b c 펠기벨 2000, 페이지 138, 48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셔저 2007년 232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펠기벨 2000, 페이지 139.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셔저 2007년 233페이지.
- ^ 펠기벨 2000, 페이지 139, 48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셔저 2007, 페이지 23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펠기벨 2000, 페이지 140.
- ^ a b 펠기벨 2000, 페이지 140, 48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셔저 2007, 235페이지.
- ^ a b c d 셔저 2007, 페이지 122.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셔저 2007, 페이지 236.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펠기벨 2000, 페이지 14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셔저 2007년 237페이지.
- ^ a b c 펠기벨 2000, 페이지 141, 48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셔저 2007, 페이지 23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펠기벨 2000, 페이지 142.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2007년, 페이지 239.
- ^ a b 펠기벨 2000, 페이지 142, 487.
- ^ 펠기벨 2000, 페이지 102.
- ^ a b c 셔저 2007, 페이지 123.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셔저 2007, 페이지 24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펠기벨 2000, 페이지 143.
- ^ 펠기벨 2000, 페이지 143, 487.
- ^ 펠기벨 2000, 페이지 143, 48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셔저 2007, 페이지 24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셔저 2007, 242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펠기벨 2000, 페이지 144.
- ^ a b c 펠기벨 2000, 페이지 144, 488
- ^ 펠기벨 2000, 페이지 49.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셔저 2007, 243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펠기벨 2000, 페이지 145.
- ^ 셔저 2007, 페이지 123–12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셔저 2007, 페이지 244.
- ^ a b 펠기벨 2000, 페이지 145, 48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셔저 2007, 245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펠기벨 2000, 페이지 146.
- ^ 본 서먼 1976, 페이지 97.
- ^ 셔저 2007, 페이지 12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셔저 2007, 페이지 246.
- ^ 펠기벨 2000, 페이지 146, 48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셔저 2007, 페이지 247.
- ^ a b c d e f g 펠기벨 2000, 페이지 147, 48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펠기벨 2000, 페이지 14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셔저 2007, 페이지 248.
- ^ 펠기벨 2000, 페이지 9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셔저 2007, 페이지 249.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펠기벨 2000, 페이지 148.
- ^ a b c d 펠기벨 2000, 페이지 148, 48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셔저 2007, 페이지 250.
- ^ 셔저 2007, 페이지 11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셔저 2007, 페이지 25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펠기벨 2000, 페이지 149.
- ^ a b 펠기벨 2000, 페이지 149, 48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셔저 2007, 페이지 252.
- ^ 1976년 본 사일런 페이지 379.
- ^ 펠기벨 2000, 페이지 27.
- ^ 셔저 2007, 페이지 12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셔저 2007, 페이지 253.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펠기벨 2000, 페이지 15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셔저 2007, 페이지 25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셔저 2007, 페이지 255.
- ^ 셔저 2007년 124-125쪽.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펠기벨 2000, 페이지 15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셔저 2007년, 페이지 256.
- ^ 펠기벨 2000, 페이지 151, 488.
- ^ a b 펠기벨 2000, 페이지 152.
- 참고 문헌 목록
- Fellgiebel, Walther-Peer (2000). Die Träger des Ritterkreuzes des Eisernen Kreuzes 1939–1945 — Die Inhaber der höchsten Auszeichnung des Zweiten Weltkrieges aller Wehrmachtteile [The Bearers of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1939–1945 — The Owners of the Highest Award of the Second World War of all Wehrmacht Branches] (in German). Friedberg, Germany: Podzun-Pallas. ISBN 978-3-7909-0284-6.
- Scherzer, Veit (2007). Die Ritterkreuzträger 1939–1945 Die Inhaber des Ritterkreuzes des Eisernen Kreuzes 1939 von Heer, Luftwaffe, Kriegsmarine, Waffen-SS, Volkssturm sowie mit Deutschland verbündeter Streitkräfte nach den Unterlagen des Bundesarchives [The Knight's Cross Bearers 1939–1945 The Holders of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1939 by Army, Air Force, Navy, Waffen-SS, Volkssturm and Allied Forces with Germany According to the Documents of the Federal Archives] (in German). Jena, Germany: Scherzers Miltaer-Verlag. ISBN 978-3-938845-17-2.
- Von Seemen, Gerhard (1976). Die Ritterkreuzträger 1939–1945 : die Ritterkreuzträger sämtlicher Wehrmachtteile, Brillanten-, Schwerter- und Eichenlaubträger in der Reihenfolge der Verleihung : Anhang mit Verleihungsbestimmungen und weiteren Angaben [The Knight's Cross Bearers 1939–1945 : The Knight's Cross Bearers of All the Armed Services, Diamonds, Swords and Oak Leaves Bearers in the Order of Presentation: Appendix with Further Information and Presentation Requirements] (in German). Friedberg, Germany: Podzun-Verlag. ISBN 978-3-7909-0051-4.
외부 링크
- "Das Bundesarchiv". Military Archive - Freiburg im Breisg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December 2010. Retrieved 2 January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