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제프 카사부부
Joseph Kasa-Vubu요제프 카사부부 | |
---|---|
제1대 콩고 공화국 대통령 | |
재직중 1960년 6월 27일 – 1965년 11월 24일 | |
수상 | 파트리스 루뭄바 요제프 일레오 저스틴 마리 봄보코 요제프 일레오 시릴 아둘라 모이즈 슘베 에바리스테 킴바 |
선행자 | 직책정립 |
성공자 | 요제프 데지레 모부투 |
개인내역 | |
태어난 | c.1915 벨기에 콩고 마윰베 쿠마디지 |
죽은 | 1969년 3월 24일(53~54) 콩고 민주 공화국 보마 |
정당 | 아바코 |
배우자 | 호텐스 응고마 마순다 (1941년 m. ) |
아이들. | 저스틴 카사부부를 포함한 9개 |
조셉 카사부부(Joseph Kasa-Bubu), 대안으로 조셉 카사부(Joseph Kasa-Vubu, 1915년 ~ 1969년 3월 24일)c.는 콩고 출신의 정치인으로 1960년부터 1965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당시 콩고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다.
초년기
조지프 카사부부는 벨기에 콩고 마윰베 지구의 쿠마디지 마을에서 태어났다.다른 출처들은 그의 출생 연도를 1910년, 1913년, 1915년 또는 1917년으로 나열하지만, 1915년은 가장 유력한 날짜다.그는 콩고 민족의 일부인 욤베 민족 집단의 아홉 자녀 중 여덟 번째 아이였다.그의 아버지는 성공한 농부였는데, 독립 기업가로서 카빈다의 거리 상인들과 거래하여 마을 변두리에 집을 지었다.이로 인해 그는 마을 사람들의 적개심을 얻었고 그들의 적개심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카사나무에서 추출한 물질로 "독성 검사"를 받겠다고 자원했다.[a]그 행사를 기념하여 그의 이름에 '카사'라는 단어가 붙었다.[3]카사부부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4년 만에 돌아가셨고, 아버지는 1936년에 돌아가셨다.1925년 1월 31일 그는 츠라 근교의 키즈(Kizza)의 샬루티스트 카톨릭 사절단에서 요셉이라는 기독교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4]
1927년 카사부부는 초등학교 3학년에 입학했다.이듬해 그는 츠라에서 50km 떨어진 음바타키엘라의 한 마이너 신학교로 전학했다.그곳에서 그는 초등 공부를 마치고 주요 신학교에서 강의를 준비하기 위해 라틴어와 인문학을 배우기 시작했다.근면한 학생인 카사부부는 1936년 학급에서 2등으로 졸업하여 가사이 성의 갑웨 신학교에 입학하였다.그는 서품된 사제가 되기 전에 3년간의 철학과 5년간의 신학을 공부할 작정이었다.1939년 이전 과정을 마친 후 그는 주교에게 제명당했다.[4][b]
그 후 카사부부는 마욤베로 돌아와 칸구 사절단의 장부 담당으로 일하게 되었다.월급 80프랑에 불만을 품은 카사부부는 강사 시험에 합격해 1941년 초 선교학교 6학년 교사가 됐다.그러나 봉급은 인상되지 않았고 그는 상사와 지방 주교와 공개적으로 이견을 보이며 임무를 떠났다.5월에 그는 농업과 벌목 회사인 Agrifor에 새로운 직업을 찾았다.월 500프랑의 월급으로, 그는 결혼하기에 충분한 재정적인 안정을 느꼈다; 10월 10일 카사-부부는 Kangu 사절에서 카톨릭 의식에서 호르텐스 응고마 마순다와 결혼했다.그들은 9명의 자녀를 두었다.[4]
1942년 6월 카사부부는 콩고의 수도인 레오폴드빌에서 벨기에 식민지 행정의 재무부에 사무원으로 취직했다.그는 벨기에 통치하의 콩고 공무원들이 고용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직급인 서기장 직급에 [4]올라 15년간 그곳에서 일했다.[5]1956년에 그는 행정부의 모든 일반 상점들의 회계처리를 담당했다.[6]
정치 활동
Kasa-Bubu는 그가 여전히 식민지 당국에 의해 고용된 동안 반 밀실 정치 조직 작업을 시작했다.[7]
1954년 3월 21일 지도자의 사임에 따라 카사부부는 동맹 데스 바콩고(ABACO)의 회장으로 선출되었다.[8]그의 지도 하에, 이 단체는 1957년 첫 공개 시립 선거인 레오폴드빌 선거를 휩쓸었고, 그는 이 도시의 덴데일 지역의 시장으로 선출되었다.[5]
카사부부는 빠르게 독립을 요구한 최초의 콩고 지도자들 중 한 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처음에는 30년 연대표로 벨기에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했지만, 아바코 운동이 힘을 얻으면서 시간표를 단축했다.[7]카사부바는 덴데일 시장 취임사에서 독립 요구를 거듭 강조하면서 콩고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만 강화한 벨기에 식민지 당국의 질책을 이끌어냈다.[5]
1959년 1월 4일, 카사-부부가 조직한 ABAKO 정치 집회는 폭력으로 번져 콩고 독립 투쟁의 중추적인 순간인 레오폴드빌 폭동을 촉발시켰다.카사-부부는 아프리카 민족주의에 대한 군중들의 연설을 할 예정이었지만, 식민지 당국은 이 회의를 금지했다.그들은 군중을 진정시킬 수 없었고 수천 명의 콩고인들이 폭동을 일으켰다.카사부부는 다른 지도자 몇 명과 함께 체포되어 폭동을 선동한 죄로 투옥되었다.그는 두 달 후에 석방되었다.[5]
대통령직
콩고가 벨기에로부터 독립하자, ABACO는 새 의회에서 상당한 표를 얻었지만 완전한 승리는 아니었다.정치적 타협으로, 무브먼트 내셔널 콘골라리스(MNC)의 파트리스 루뭄바가 수상이 되고, 카사-부부는 ABACO의 전 멘토였던 장 볼리캉고와 대통령직을 놓고 대결하기로 합의했다.[9]카사부두 당선은 콩고의 새 정부를 폭넓게 수용하게 했다.벨기에 언론은 이번 개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한 콩고가 편집한 르오폴드빌의 일간지 쿠리에 다프리케는 정부에 대한 훨씬 따뜻한 찬성을 보여주었다.국제 여론은 리더십의 적절한 균형에 만족감을 나타냈다.[10]벨기에 정치인들은 카사부부가 루뭄바의 충동과 벨기에에 대한 개인적 경멸을 견제하기를 바랐다.[11]그는 6월 27일에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다.[12]
신공화국은 정·군 갈등과 지역 분리주의 운동으로 즉각 혼란에 빠졌고, 보수파인 카사부부와 좌파 총리 루뭄바와의 갈등으로 중앙정부가 마비됐다.루뭄바가 더 강한 중앙정부를 주창하는 반면, 카사부부는 연방제 하에서 지방에 자치권을 주는 보다 분권화된 형태의 정부를 선호했다.[7]
카사부부는 그의 동기와 행동에서 다소 신비로운 것으로 여겨졌는데, 그가 맞닥뜨렸을 때 종종 침묵을 지키거나 애매한 대답을 하는 것을 선호한다.국가원수로서의 그의 역할은 이론적으로 의례적이었고 루뭄바의 총리 역할보다 훨씬 영향력이 적었다.독립에 이은 즉각적인 격변기에 카사부부는 루뭄바가 미국, 유엔, 소련에 국제 원조를 호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조치를 취하고 결정적인 진술을 거의 하지 않았다.[7]한편, 카사부부는 루뭄바의 권위주의적인 행동을 억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ABACO와 콩고브라자빌의 풀베르트 유루 대통령으로부터 비판에 직면했다.그는 그들의 압력에 저항했고, 8월 13일 정부에 대한 통합과 지지를 호소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정부가 재정상의 부당성과 과잉에 대해 경고했다.[13]
내가 법이 정한 한도 내에서 정부를 지지하고 옹호해야 할 도덕적 의무를 지고 있다면, 정부 구성원들 스스로 팀으로서 함께 일할 의무가 있다.그들의 정책은 정부의 정책이어야 하며 한 정당, 한 인종, 한 부족의 정책이 아니어야 한다.그것은 국가의 이익을 반영하고 인도주의적 가치가 자유 속에서 번창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어야 한다.이 명령에는 우리와 충실하게 협력한 사람들에 대한 증오, 의심, 그리고 불신의 모든 감정이 배제되어 있다.설치된 기관을 존중하고 민주적 실천의 정상적인 규칙을 지키는 것도 정부의 책무다.
9월 5일, 카사-부부는 공산주의 동조자로 비난했던 루뭄바 정부를 해산시켰다.루뭄바는 자신의 해임을 받아들이지 않고 카사부부의 해임을 발표해 9월 14일까지 버텨온 교착상태를 만들었고,[14] 이때 조지프-데지레 모부투 육군사령관이 권력을 장악하고 루뭄바를 체포했다.루뭄바는 이후 카탕가 모우테 츠솜베의 분리독립국가로 넘겨졌고 콩고의 천연자원에 관심을 갖고 있던 모부투, 카사부부부두, 모이스 츠솜베와 서방 열강의 연합설정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 후 5년간 카사부부는 연이은 약한 정부를 지휘했다.카탕게 분열이 종식된 후 카사부부는 1964년 7월 신흥 심바 반란을 종식하라는 위임과 함께 츠솜베를 총리로 임명했다.sh베는 망명중인 카탕게 겐다메리를 떠올리고 백인 용병을 모집하여 아르메네셔널 콩골라세(ANC)와 통합하였다.Tshombe가 이탈해 있는 지방의 리더인 동안 많은 용병들이 카탕가를 위해 싸웠다.심바 반군을 상대로 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슘베는 백인 용병들과 서양 군대를 동원하여 위신을 손상시켰다.1965년 10월 총리직에서 해임한 카사부부의 지지를 잃었다.
모부투는 1965년 11월 25일 두 번째로 정권을 잡았고, 현재는 카사부부를 예치하고 그 후 국가원수를 선언했다.
죽음
모부투는 카사-부부를 가택[15] 연금시켰다가 결국 사임한 대통령이 마윰베의 자신의 농장으로 은퇴하는 것을 허락했다.카사부부는 4년 후인 1969년 보마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는데, 아마도 오랜 병후일 것이다.[5]
레거시
카사-부부의 가족은 그의 죽음 이후, 먼저 알제리와 스위스로 망명했다.[9]그의 딸 중 한 명인 저스틴 므포요 카사부부는 결국 1990년대에 콩고(당시 자이르)로 돌아왔다.1997년 로랑 카빌라(Laurent Kabila)에 의해 각료에 임명되고 당시 벨기에 주재 대사가 되었다.[16]2002년 9월 카사부베의 묘지 흉상이 그의 지지자들의 권유로 그의 무덤에 세워졌다.[17]
콩고 역사에서 카사부우의 역할은 루뭄바와 모부투에 의해 문학에서 가려졌다.[18]인류학자 욜란다 코빙턴-워드는 콩고 민족주의에 대한 루뭄바의 역사학에서 '특권'의 입장과는 달리 카사-부부와 아바코가 독립운동의 1차적 '동력'이었다고 썼다.[19]
명예
대중문화에서
메모들
참조
- ^ 모리스 2006 페이지 157.
- ^ 전기 벨지 벨지- 2015, 페이지 218.
- ^ 전기 벨지 벨지- 2015, 페이지 217–218.
- ^ a b c d e 전기 벨지 벨지- 2015, 페이지 219.
- ^ a b c d e 로이터 1969.
- ^ 전기 벨지 벨지- 2015, 페이지 220.
- ^ a b c d 태너 1961.
- ^ 커빙턴-워드 2012, 페이지 75.
- ^ a b 키산가니 2009년, 페이지 265.
- ^ 호스킨스 1965 페이지 79.
- ^ 호스킨스 1965 페이지 83.
- ^ 본예카 1992페이지 248-249.
- ^ 호스킨스 1965 페이지 198.
- ^ 도일 2006, 페이지 175
- ^ 풍부한 2012 페이지 304.
- ^ 키산가니 2009.
- ^ 드 그로오프 2020, 페이지 60.
- ^ Loffman, Reuben (22 June 2017). "From Mobutu to Kabila, the DRC is paying a heavy price for autocrats at its helm". The Conversation. Retrieved 18 January 2018.
- ^ 코빙턴-워드 2012, 페이지 73.
- ^ "Les discours du 30 juin 1960: Roi Baudouin, Pdt Joseph Kasavubu et le 1er Min. Patrice Emery Lumumba Radio Tele LAVDCONGO".
- ^ Meta, Sylvie (2 July 2020). "RDC : Joseph Kasa-Vubu élevé au rang de héros national". Digital Congo (in French). Retrieved 5 July 2020.
원천
- Bonyeka, Bomandeke (1992). Le Parlement congolais sous le régime de la Loi fondamentale (in French). Kinshasa: Presses universitaire du Zaire. OCLC 716913628.
- Covington-Ward, Yolanda (January 2012). "Joseph Kasa-Vubu, ABAKO, and Performances of Kongo Nationalism in the Independence of Congo". Journal of Black Studies. 43 (1): 72–94. doi:10.1177/0021934711424491. ISSN 0021-9347. JSTOR 23215196. S2CID 144014323.
- De Groof, Matthias, ed. (2020). Lumumba in the Arts.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 ISBN 9789462701748.
- Doyle, Michael W.; Sambanis, Nicholas (2006). "Chapter 4: Making War". Making War and Building Peace: United Nations Peace Operations.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44–196. ISBN 978-0-691-12275-5.
- LaFontaine, J.S. (1986). City Politics: A Study of Léopoldville 1962–63. America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 Hoskyns, Catherine (1965). The Congo Since Independence: January 1960 – December 1961.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OCLC 414961.
- "Joseph Kasavubu Dies in Congo; Was His Nation's First President" (PDF). Reuters. 24 March 1969. Retrieved 19 August 2014.
- "Kasa-Vubu (Joseph)" (PDF), Biographie belge d'outre-mer (in French), vol. IX, Brussels: 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d'Outre-Me, 2015, OCLC 561667718
- Kisangani, Emizet Francois; Bobb, Scott F. (2010).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3rd ed.). Plymouth, UK: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5761-2. Retrieved 19 August 2014.
- Morris, Brian (2006). Religion and Anthropology: A Critical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52418.
- Rich, Jeremy (2012). "Kasa-Vubu, Joseph (1915–1969)". In Akyeampong, Emmanuel Kwaku; Gates, Henry Louis (eds.). Dictionary of African Biography. Vol. 3.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pp. 302–304. ISBN 978-0-19-538207-5.
- Tanner, Henry. "The Patient African – Kasavubu" (PDF). New York Times. No. 26 February 1961. Retrieved 19 August 2014.
추가 읽기
- Kasa-Vubu, Justine M'Poyo (1997). Kasa-Vubu et le Congo indépendant: 1960–1969. Brussels: Le Cri édition. ISBN 9782871061854.
- Kasa-Vubu, Justine M'Poyo (1985). Joseph Kasa-Vubu, mon père: de la naissance d'une conscience nationale à l'indépendance. Brussels: Éditions de Chabassol. OCLC 17233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