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반 라슈코비치
Jovan Rašković요반 라슈코비치 | |
---|---|
Јован Рашковић | |
![]() 1990년 시카고의 라슈코비치 | |
세르비아 민주당 제1대 대통령 | |
재직중 1990년 2월 17일 ~ 1990년 12월 | |
앞에 | 직급설정 |
성공자 | 밀라노 바비치 |
인적사항 | |
태어난 | 크닌,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왕국 | 1929년 7월 5일
죽은 | 1992년 7월 28일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FR 유고슬라비아 | (63세)
정당 | 세르비아 민주당[1] |
아이들. | 산다 라슈코비치 이비치 |
모교 | 자그레브 대학교 |
직업 | 정신과 의사 |
요반 라슈코비치(세르비아 키릴 문자: ј ован р ашковић, ǒʋ ǎʃ코 ʋ리트 ɕ(, 1929년 7월 5일 ~ 1992년 7월 28일)는 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계 정신과 의사, 학자, 정치인입니다.
초기생
라슈코비치는 1929년 크닌에서 태어났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에서 우스타샤 포그롬으로 친척들이 사망한 후 이탈리아가 점령한 달마티아의 키스탄제로 망명했습니다.
1941년, 가족을 잃은 키스탄제 출신의 한 유족에 대한 대량학살의 심리적 효과를 목격하면서, 그의 세계관에 강한 영향을 남겼습니다.[3]
그는 시베니크에서 중학교 시험을 통과하고 자그레브에서 졸업했습니다. 그 후 그는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전기공학과 의학을 공부했고, 그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직업
전쟁전에
1960년대에는 시베니크 시립 병원장과 후에 의료 센터장을 역임했습니다. 그는 류블랴나에 있는 신경 생리 의학 연구소의 설립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라슈코비치는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크로아티아 의학 아카데미, 미국,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의 여러 정신 의학 협회의 회원이었습니다. 그는 자그레브와 류블랴나의 대학 교수였으며 파비아, 로마, 휴스턴, 런던 대학의 객원 교수였습니다. 라슈코비치는 프리모슈텐에 있는 그의 집과 시베니크에 있는 그의 아파트 사이에서 시간을 나누었습니다.[4] 시베니크에서 일하는 동안, 그는 크로아트인들, 특히 크로아티아 여성들에게 전기 충격 요법을 시행하는 것을 "즐거워했다"는 평판을 받았다고 합니다.[5]
작성 당시에는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회원은 아니었지만, 적어도 한 소식통은 그가 1986년 논란이 된 SANU 각서가 개발되고 있을 때 세르비아 민족주의 지식인 도브리카 초시치에 의해 크로아티아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광범위하게 자문을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5] 또한, 1990년에 라슈코비치는 공식적으로 이 단체에 가입했습니다.[5]
1990년 언젠가 라슈코비치는 "루다 제믈랴"라는 제목의 책을 출간했는데, 이 책에서 그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세르비아의 우월주의적 세계관을 융합했습니다.
가톨릭 종교에 의해 여성화된 크로아트인들은 거세 콤플렉스를 겪고 있습니다. 그것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권한을 행사할 수 없게 만듭니다. 그들은 훌륭한 문화로 인한 굴욕을 보상합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와 인근 지역의 무슬림들에 대해서는 프로이트가 말했듯이, 그들은 부의 축적을 부추기고 광적인 태도로 피난처를 찾는 항문 좌절의 희생자입니다. 마지막으로, 오이디팔 민족인 정교회인 세르비아인들은 아버지의 권위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키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저항 정신에서 유고슬라비아의 다른 민족들에게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전사들의 용기를 끌어냅니다. 이 나라에서 완전한 증오와 편집증의 상황이 전개되는 것은 당연합니다.[6]
그는 이 책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세르비아인들에게 트라우마를 남긴 대량학살에 대해 크로아치아 측의 집단적 죄책감 부족이 "최근 역사에 대한 비대칭적 기억"을 가져왔고, 이는 두 민족 사이에 갈등을 가져올 것이라고도 주장했습니다.[3]
1990년 2월,[7] 라슈코비치는 크로아티아 최초의 민주 선거에 참여한 세르비아 민주당을 창당하고 이끌었습니다. 그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이에 상응하는 정당이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동료인 라도반 카라드 ž리치에게 연락하여 정당을 설립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두 사람은 1990년부터 1991년까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 강의를 했는데, 그곳에서 현지 세르비아인들 사이에 "혐오와 호전성"을 선동하여 [5]그들을 "광란과 편집증의 상태"로 만들고자 했습니다.[3]
폭력의 발단
1990년 8월, 라슈코비치가 이끄는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조직 폭력의 첫 번째 행위가 일어났고, 이 때 지역 세르비아인들은 크닌 경찰서에서 무기를 압수하고 그곳에 주둔하고 있던 크로아티아 경찰을 살해했습니다.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들에게 무기를 공급하기로 약속한 후, 세르비아 민병대는 크라이나 지역에 봉쇄를 설치하여 이른바 로그 혁명의 시작을 알렸습니다.[5]
SDS는 1990년 선거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의석을 차지했지만, 빠르게 세력을 키우기 시작했고, 라슈코비치는 곧 프란조 투지만과 그의 새 정부에 의해 세르비아계의 지도자로 인식되었습니다. 그것은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계의 미래에 대한 두 사람의 직접적인 협상으로 이어졌습니다. 한 회의에서 라슈코비치는 "세르브들은 그의 말을 듣지 않는 미친 사람들이었다"고 말했습니다.[8][9] 투지만의 수석 정치 고문인 슬라벤 레티카(Slaven Letica)는 라슈코비치를 국민들의 신임을 떨어뜨리기 위해 크로아티아 언론에 비밀리에 녹음하고 녹취록을 유출했습니다. 이는 역효과를 낳았는데, 라슈코비치를 거부하는 대신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크로아티아 정부에 대한 신뢰를 잃고 극단주의와 무력 충돌을 받아들였습니다.[9]
1990년 이후, 라슈코비치는 크로아티아의 주권을 인정하는 온건파로 여겨졌지만, 세르비아 소수 민족의 자치권과 국가 권리를 위해 협상하기를 원했고, 밀란 바비치와 같은 "더 급진적이고 강경한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권력에서 제거되었습니다. 그는 무장 자치를 주장하고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을 설립했습니다.[9][10] 크로아티아의 열렬한 민족주의자인 투지만은 라슈코비치의 온건한 요구를 거부했고, 따라서 보다 급진적인 세르비아 민족주의 저항 세력의 부상을 정당화했습니다.[9][10][11] 이러한 요구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세르비아인을 크로아티아의 구성 민족으로 계속 인정하는 것이었고, 투지만 정부는 이를 거부했습니다. 1990년 12월, 크로아티아 헌법은 세르비아인에게 문화적 자치권을 부여했지만 크로아티아는 법적으로 "크로아티아의 국민 국가"라고만 명시했습니다.[10][12]
설상가상으로 라슈코비치도 베오그라드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었는데, 정치학자 니나 카스페르센은 투지만의 강경한 입장보다 긴장을 높이는 데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10] 우선 세르비아 정부는 라슈코비치에게 투드만의 정부 직책 제안을 거절하라고 압력을 넣었습니다.[13] 게다가, 반공 민족주의자인 라슈코비치는 세르비아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를 공개적으로 반대했는데, 그는 그를 "큰 볼셰비키, 공산주의자, 폭군"이라고 불렀습니다.[14] 그는 또한 밀로셰비치를 상대로 세르비아에서 선거전을 치르려고 했지만, 더 호전적인 밀란 바비치는 밀로셰비치를 지지했고, 결국 밀로셰비치의 지지를 받았습니다.[11]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카스퍼센은 1990년 12월 여론조사에서 86%의 세르비아인이 라슈코비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바비치는 54%에 불과하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1991년 2월까지 SDS의 주요 이사회의 압도적 다수는 여전히 바비치를 지지했습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카스퍼센은 베오그라드의 이러한 외부 지원이 크로아티아 세르비아계의 방향을 "민주적 자원"에서 비민주적 자원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수단을 제공했다고 주장했습니다.[10] 바비치가 더 급진적인 SDS 크라이나당을 창당한 직후, 라슈코비치는 "처음으로 SDS를 장악하려는 이 급진적인 집단은 우리에게 위험하며, 그들이 사태를 악화시킬 경우 전쟁이 반드시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13]라고 말했습니다.
라슈코비치는 1991년 플리트비체 호수 사건 이후 정계를 은퇴했습니다.[15]
라슈코비치는 나중에 세르비아인들의 집단적인 정신 상태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냈는데, "세르비아 신화는 세르비아 정신에 들어왔지만, 독을 덜 만들기 위해 통제되어야 한다고 믿었던 독, 독, 복수, 그리고 퇴보와 함께"라고 말했습니다.[3] 1992년 초, 라슈코비치는 베오그라드 TV에서 사과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군사적인 준비는 아니더라도 이번 전쟁에 대비한 준비를 했기 때문에 책임감을 느낍니다. 제가 세르비아 국민들에게 이런 감정적인 부담을 주지 않았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우리 일행은 크로아티아뿐만 아니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모든 곳에서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도화선에 불을 붙였습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SDP(세르비아 민주당)나 카라드 ž치가 우리의 영향력 없이 집권하는 것은 상상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 사람들을 몰아냈고, 우리는 그것에 정체성을 부여했습니다. 땅이 아니라 하늘에서 온 것이라는 것을 이 백성에게 거듭 말씀드렸습니다.[16]
죽음과 유산
1992년 7월 28일 베오그라드에서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7] 친구이자 동료였던 보스니아 세르비아 지도자 라도반 카라드 ž리치는 라슈코비치를 "그의 주요 롤모델이자 영감"이라고 여겼습니다.
그는 베오그라드 새 묘지의 저명한 시민들의 골목에 안장되었습니다. 또한 트레빈제, 프리제도르, 반자 루카, 노비 바노프치에도 그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거리가 있습니다.
참고문헌
- ^ The New York Times (1990-08-07). "Serb Minority Seek Role in a Separate Croatia". Retrieved 2021-01-08.
- ^ Večernje novosti (2007-09-05). "Ćaća od Krajine" (in Serbian). Retrieved 2019-09-21.
- ^ a b c d Carmichael, Cathie (2013). "Watch on the Drina: Genocide, War and Nationalist Ideology". History. 98 (4 (332)): 592–605. ISSN 0018-2648.
- ^ Tanasić, Dragan (2 February 2016). "ZABORAVLJENI TESTAMENT JOVANA RAŠKOVIĆA: Kako su Milošević i Tuđman uništili srpskog Gandija" (in Serbian). Kurir. Retrieved 8 August 2023.
- ^ a b c d e f Cohen, Philip J. (1996), Cushman, Thomas; Meštrović, Stjepan G. (eds.), "The Complicity of Serbian Intellectuals in Genocide in the 1990s", This Time We Knew, Western Responses to Genocide in Bosnia, NYU Press, pp. 39–64, retrieved 2023-09-23
- ^ Cohen, Philip J. (1996), Cushman, Thomas; Meštrović, Stjepan G. (eds.), "The Complicity of Serbian Intellectuals in Genocide in the 1990s", This Time We Knew, Western Responses to Genocide in Bosnia, NYU Press, pp. 39–64, retrieved 2023-09-23
- ^ Večernje novosti (2002-04-14). "Golgota Jovana Raškovića" (in Serbian). Retrieved 2019-09-21.
- ^ Nebojša Vukanović (2018-07-29). "Sjećanje na Jovana Raškovića" (in Serbian). Retrieved 2022-05-25.
- ^ a b c d MacDonald, David Bruce (2002), "Croatia, 'Greater Serbianism', and the conflict between East and West", Balkan Holocausts?, Serbian and Croatian victim centred propaganda and the war in Yugoslavi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p. 98–131, ISBN 978-0-7190-6466-1, retrieved 2023-09-23
- ^ a b c d e Caspersen, Nina (2007). "Belgrade, Pale, Knin: Kin-State Control over Rebellious Puppets?". Europe-Asia Studies. 59 (4): 621–641. ISSN 0966-8136.
- ^ a b Schiemann, John W. (2007). "Bizarre Beliefs and Rational Choices: A Behavioral Approach to Analytic Narratives". The Journal of Politics. 69 (2): 511–524. doi:10.1111/j.1468-2508.2007.00547.x. ISSN 0022-3816.
- ^ Drakulic, Slobodan (1994). "Pandora's War: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the Yugoslav Conflicts". Refuge: Canada's Journal on Refugees / Refuge: Revue canadienne sur les réfugiés. 14 (3): 5–10. ISSN 0229-5113.
- ^ a b Gagnon, V. P. (1994). "Ethnic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 Conflict: The Case of Serbia". International Security. 19 (3): 130–166. doi:10.2307/2539081. ISSN 0162-2889.
- ^ Nation, R. Craig (2003). The State of War: Slovenia and Croatia, 1991-92 (Report).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S Army War College. pp. 91–148.
- ^ Večernji list (2016-12-01). "Neuropsihijatar, osnivač Srpske demokratske stranke: Jovan Rašković" (in Croatian). Retrieved 2023-08-08.
- ^ Cohen, Philip J. (1996), Cushman, Thomas; Meštrović, Stjepan G. (eds.), "The Complicity of Serbian Intellectuals in Genocide in the 1990s", This Time We Knew, Western Responses to Genocide in Bosnia, NYU Press, pp. 39–64, retrieved 2023-09-23
- ^ Večernje novosti (2007-09-06). "Presvisnuo od tuge" (in Serbian). Retrieved 2023-08-08.
외부 링크

-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전기 (세르비아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