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U에 관한 메모
SANU MemorandumSANU에 관한 메모 | |
---|---|
창조했다 | 1985년 5월 ~ 1986년 9월 |
제시. | 1986년 (최종) |
위치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위탁자 |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회원 |
작성자 | 16인 위원회 |
미디어 타입 | 타이프한 문서 |
목적 | 메모 |
단순히 SANU 메모[1](세르비아 키릴어: :ерраicic),),),),),),),),),),),),),),),),),),), the theserserserserserserserserser the)로 알려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SANU)의 16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1986년부터 1985년까지 작성한 문서 초안이다.
이 메모는 논란이 되고 있는 유고슬라비아 국가관에 대한 목소리를 내고 [2]국가의 근본적인 재편을 주장하면서 즉시 유고슬라비아 국민들의 관심을 끌었다.주된 주제는 유고슬라비아의 헌법 구조가 세르비아인을 차별하고 분권화가 유고슬라비아의 [3]붕괴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었다.그것은 세르비아의 발전이 유고슬라비아의 다른 지역들에 유리하게 잠식되거나 오히려 세르비아의 희생으로 번영한 다른 지역들이라고 주장했다.이 메모는 1986년 유고슬라비아 정부와 세르비아 SR 정부에 의해 민족주의를 [4]선동했다는 이유로 공식 비난받았다.일부에서는 이 출판물이 유고슬라비아가[5] 해체되는 중요한 순간이자 유고슬라비아 [3]전쟁에 기여하는 중요한 순간이라고 생각한다.
개요
1980년대 유고슬라비아의 주요 이슈는 1970년대에 발생한 막대한 부채 문제와 이에 따른 [6]긴축정책이었다.유고슬라비아는 당초 60억달러의 부채를 안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210억달러에 해당하는 엄청난 부채를 [7]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높은 부채 부담은 1980년대에 IMF에 의해 부과된 긴축 프로그램을 반복하게 했고, 이는 결국 공산주의 당국에 의해 너무 많은 부패가 노출되어 1980년대 [7]중반까지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믿음의 위기를 야기했다.유고슬라비아의 부패가 조직적이고 공산주의 엘리트들이 그들의 사치스러운 생활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공금을 약탈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특히 [7]긴축의 시기에 많은 분노를 불러일으켰다.1980년대 긴축정책을 펴게 된 것은 1970년대 공산 엘리트들이 빚더미에 올라섰다는 사실뿐 아니라 [7]엘리트들의 능력에 대한 심각한 의구심을 불러일으켰다.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세르비아보다 부유하고,[8] 긴축시 세르비아를 지원하기 위해 재산을 이전하는 것을 반대했다는 점이 경제위기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1985년 5월 이반 스탐볼리치가 1981년 [9]이후 처음으로 코소보 문제를 논의하라고 정부에 촉구하자 SANU는 16명의 저명한 학자로 구성된 위원회를 선정해 경제·정치적 위기의 원인과 문제 [10]해결 방법을 설명하는 각서 초안을 작성했다.그것은 공산당 및 국가 [10]기관에 제출되기 전에 아카데미의 승인을 받을 계획이었다.그러나 마지막 초안은 1986년 [2]9월 타블로이드 [10]신문인 세르비아 신문 베체르네 노보스티에 유출됐다.신문은 이를 반동적이고 민족주의적이라고 비난했지만 [10]출판하지는 않았다.세르비아 국가와 당 관계자들에 의한 공식 캠페인이 그것에 [10]반대하기 시작했다.
메모는 '유고 경제 및 사회 위기'와 '세르비아와 세르비아 국가의 지위'[11]로 나뉜다.첫 번째 섹션은 1974년 헌법 발표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경제적, 정치적 분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메모는 티토가 크로아티아인이었기 때문에 슬로베니아와 함께 [12]그의 모국인 크로아티아에 유리하게 전체 경제 및 정치 시스템을 과도하게 균형 있게 설계했다고 주장했다.이렇게 해서, 이 메모는,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그들의 부를 너무 많이 [12]보유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IMF에 의해 부과된 긴축 정책의 부담이 세르비아인들에게 거의 전부 떨어졌다고 주장했다.두 번째 섹션은 저자들이 유고슬라비아에서 세르비아의 열등하다고 본 것에 초점을 맞추고 코소보 지방과 크로아티아에서 세르비아인의 지위를 [12]논점으로 기술한다.메모는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지방 당국이 연방 정부와 직접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세르비아 사회주의 [12]공화국의 통제 밖에 있는 공화국이 되었다고 주장했다.1981년 3월 이후 코소보에서는 알바니아계 다수 민족과 소수 민족인 세르비아계 사이에 정기적으로 폭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대학 시스템이 취업 [12]가능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졸업생을 배출했기 때문에 긴축 시기에 노동 시장의 경쟁으로 인해 일어났다.메모는 다른 공화국들, 특히 크로아티아가 세르비아 [12]소수민족을 몰아내기 위한 음모의 일환으로 코소보의 알바니아 지방 정부를 지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코스타 미하일로비치는 경제에, 미하일로 마르코비치는 자기관리에, 바실리예 크레스티치는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의 지위에 공헌했다.
메모는 제2차 세계대전 말 티토가 세르비아 영토의 대다수인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크로아티아를 세르비아계 다수 주민으로 분할함으로써 세르비아를 의도적으로 약화시켰다고 주장했다.메모는 티토가 세르비아의 영토를 분할하고 코소보와 보이보디나 자치주를 만들면서 SR 세르비아를 더욱 약화시켰다고 주장했다.이 메모의 주요 주제는 세르비아의 희생으로 이익을 본 것으로 묘사된 다른 공화국들의 손에 의해 세르비아가 희생되었다는 것이다.메모의 작성자들은 "... 세르비아 국민들로부터 이러한 역사적 죄책감을 없애야 할 때"라고 썼다. 그리고 그들이 두 전쟁 사이에 경제적 특권을 가진 위치에 있었다는 주장을 공식적으로 반박해야 할 때이며, 그들이 역사를 통해 해방된 역할과 유고슬라비아를 건설하는 데 기여한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세르비아인들은 역사상 타인을 정복하거나 착취한 적이 없다.두 번의 세계 대전을 통해 그들은 스스로를 해방시켰고, 그들이 할 수 있을 때,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해방할 수 있도록 도왔다."[8]
다른 사람들의 손에 의해 세르비아가 희생된 혐의의 주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1980년대의 경제 위기에 대한 반응이었고, 긴축의 부담은 대부분 다른 공화국들에게 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가장 강력한 결과는 1945년 이후 처음으로 세르비아를 묘사하는 역사적인 이야기가 방송되었다.독특하고 선천적으로 도덕적이고 명예로운 사람들로서 [8]타인의 영원한 희생양이었다.영국의 역사학자 리처드 크램튼은 이 메모의 진짜 의미는 많은 평범한 세르비아인들이 생각하고 있던 것을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진술했다는 것과 그 저자들의 지적 명성 때문에 세르비아인들이 b라는 널리 퍼진 감정에 일종의 사이비 과학적 정당성을 부여했다는 것이라고 썼다.경제 [12]긴축 정책에 의해 부당하게 지목된 eing광범위한 경제적 고통과 고통의 시기에 세르비아인들이 부당하게 그들이 받아야 할 것보다 더 많은 고통을 당하도록 강요받고 있다는 메모의 메시지가 [12]인기를 끌었다.1980년대 경제위기에 대한 해결책은 세르비아인들이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자신들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재확인하고,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폐지하고,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 프리차니를 세르비아로 끌어들이는 것이라는 이 메모의 메시지는 세르비에 대한 요구로 여겨졌던 유고슬라비아의 다른 곳에서도 많은 경종을 울렸다.지배권[12]
우리는 나라를 무너뜨리기를 원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반대로, 각서는 이별을 막으려는 문서였다.각서 논란이 일어났을 때 우리는 서양에서 갈채를 받았다.그 후, 그것은 반공산주의 문서로 해석되었고, 새로운 민주주의 국가를 위한 위반으로 해석되었다.그 나라의 공식 정치가 우리를 공격했다.헤이그에서는 각서가 다시 철회되었다.물론, 그들은 이제 다른 변종이 필요하다.그것이 일상 [13]정치의 소용돌이입니다.
— Dejan Medaković, co-author of the Memorandum and President of SANU 1999–2003
오스트리아의 학자인 도리스 괴들 씨는 세르비아인들을 영원한 희생자로 묘사한 메모는 그들이 어떤 잘못도 할 수 없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하며 유고슬라비아에서 잘못된 모든 것은 [8]다른 사람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괴들 교수는 세르비아인이 희생된 것은 사실이지만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세르비아인이 희생된 것은 극히 일방적이고 왜곡된 것으로, 세르비아인이 다른 민족을 희생시켰다는 사실을 무시했다고 썼다.유고슬라비아의.[14]유고슬라비아의 다른 민족들, 특히 크로아티아인들을 영원한 침략자로 그리고 세르비아인들을 끊임없는 희생자로 묘사한 이 역사 버전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1987년에 [8]시작한 민족주의를 부채질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고 Gödl은 결론지었다.
접수처
이 메모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 대통령이 "가장 어두운 민족주의"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라도반 카라지치 보스니아 세르비아 지도자가 "볼셰비즘은 나쁘지만 민족주의는 더 심하다"고 말하는 등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연맹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15]이런 선언에도 불구하고 밀로셰비치, 카라지치 등 세르비아 정치인들은 비밀리에 메모의 대부분에 동의했고 메모 작성자인 미하일로 마르코비치 세르비아 사회당 부총재, 도브리카비치 연방공화국 대통령 등 정치적 인맥을 형성했다.1992년 [4]유고슬라비아.1987년부터 세르비아 공산당의 당 대표인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민족주의에 냉소적으로 호소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매우 [16]잘 먹힌 전략인 공산당 내 대규모 부패의 범위로부터 대중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서였다.하지만,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민족주의에 대한 호소는 다른 공화국들에서 그가 유고슬라비아를 세르비아가 지배하는 국가로 [16]만들기 위해 권력행동을 시도하고 있다는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밀로셰비치는 1989년 코소보의 자치권을 종식시키기로 결정했고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하기 위해 세르비아계 경찰들을 배치한 것은 밀로셰비치가 세르비아의 지배를 유고슬라비아 전역에 [16]적용하기 전에 유고슬라비아의 다른 공화국들에 분리주의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다른 공화국들 사이에서는 SANU 메모가 코소보의 자치권 종식을 요구했고, 1989년 그것이 이루어졌을 때 밀로셰비치가 메모의 다른 부분을 이행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켰지만,[16] 그것이 당시 그의 의도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 메모는 결코 아카데미의 공식 문서가 아니었다.몇몇 학자들이 썼지만, 그 문서는 아카데미 소유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우리 기관들 중 어느 기관에서도 채택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내가 상처받은 것은 세르비아에 대한 공격이 아카데미에 대한 공격을 통해 주도되었다는 것이다.그 텍스트에는 부패한 내용이나 세르비아에 [17]해를 끼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 Nikola Hajdin, President of SANU 2003-2015
Gödl은 1989년까지 크로아티아에서 SANU 메모에 제시된 것과 유사한 역사 버전이 설교되고 있다고 썼다. 크로아티아인들은 영원한 희생자로 묘사되고 세르비아인들은 영원한 [18]침략자로 묘사되고 있다.특히 1990년 보스니아 민족주의자인 안토 바코비치 신부가 쓴 드리나 강 순교자는 2차 세계대전의 체트니크와 빨치산 운동을 극도의 반크로아트와 반카톨릭 운동으로 그리고 유고슬라비아의 역사는 지속적인 폭력적 트라우마의 하나로 묘사했다.크로아티아인에 [18]대한 세르비아인들의 유혹바코비치 신부는 1941년 12월 체트니크족에 의해 희생된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 수녀들의 모임인 드리나의 축복받은 순교자로 알려진 것을 제2차 세계대전 [18]당시 크로아티아인들의 "순교"의 모범으로 삼았다.Gödl은 Drina River Martiors와 같은 책의 인기는 부분적으로 SANU 비망록과 다른 유사한 세르비아 민족주의 작품들에 대한 반응이었고, 이것은 2차 세계대전 직후에 빨치산에 의해 저질러진 범죄를 강조함으로써 세르비아 집단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Ustashe 범죄에 대한 기억을 지우는 것을 의도했다.과거의 [18]추억Gödl은 1989년까지 많은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둘 다 그들 자신의 집단을 선천적으로 순수하고 고결한 것으로 묘사하고 다른 집단은 선천적으로 악랄하고 잔인한 것으로 묘사하는 역사적 이야기에 사로잡혀 자신들을 영원한 희생자로 보고 다른 집단은 영원한 [14]희생자로 본다고 주장했다.Gödl은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이 1980년대 영원한 희생에 대한 이야기가 인기를 끌면서 1991-1992년 [19]유고슬라비아가 폭력적으로 해체될 조짐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역사학자 시마 치르코비치에 따르면 SANU 비망록은 아카데미에 의해 채택된 적이 없기 때문에 이른바 비망록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그는 이 문서를 "비망록"이라고 부르는 것 자체가 [20]조작이라고 주장한다.
비망록 포인트
- 알바니아인은 코소보에서 세르비아인에 대해 대량 학살을 저지르고 있다(각서 페이지 41, 56).
- SR 슬로베니아와 SR 크로아티아는 세르비아 경제를 장악하고 있다.유고슬라비아는 SR 세르비아에서 산업을 철수시키고 있다(42페이지)
- 세르비아에 대한 부당한 대우와 약화로 인해 유고슬라비아의 헌법 개정이 필요하다(46페이지)
- 반서브 차별이 만연하다(50페이지)
-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의 이름으로 시민 250만 명을 희생시켰으며(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에서) 현재 이 국가의 희생자이다(52페이지).
- 1690년부터 1912년 사이에 500,000명의 세르비아인들이 알바니아인들이 대량학살을 저지르고 있는 코소보를 떠났다(56페이지).
- 코소보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은 차별을 받는다(58페이지)
-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은 전례 없는 위험에 처해 있다(62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모든 세르비아계 작가는 세르비아계이며 보스니아 작가가 아니다(65페이지).
- 세르비아 문제는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국민의 완전한 국가 및 문화적 통일 없이는 해결할 수 없다(p. 70-3).
- 지난 50년 동안 세르비아인들은 파괴, 동화, 강제 개종, 문화적 대량 학살, 이념적 세뇌의 희생자가 되어 자신들이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pgs 70-3).
- 유고슬라비아가 붕괴되면 세르비아는 자국의 국익을 지켜야 한다(73페이지)
작가들
위원회는 세르비아 지식인 [21]16명으로 구성되었다.
- 파블레 이비치
- 안토니예 이사코비치
- 두샨 카나지르
- 미하일로 마르코비치
- 밀로시 마쿠라
- 데얀 메다코비치
- 미로슬라프 판티치
- 니콜라 판티치
- 류비샤 라키치
- 라도반 사마르지치
- 미오미르 부코브라토비치
- 바실리예 크레스티치
- 이반 막시모비치
- 코스타 미하일로비치
- 스토얀 첼리치
- 니콜라 초벨리치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SANU Memorandum integral English translation".
- ^ a b 보코보이, 어바인 & 릴리 1997, 322페이지.
- ^ a b "Picture stories - ESI". esiweb.org. Retrieved 2014-12-14.
- ^ a b Ramet 2006, 페이지 321.
- ^ 실버 & 리틀 1996, 페이지 31
- ^ 크램튼 1997, 페이지 386
- ^ a b c d 크램튼 1997, 페이지 386-387
- ^ a b c d e Gödl 2007, 페이지 50
- ^ 요비치 2009, 페이지 248
- ^ a b c d e 조키치 2003, 페이지 255
- ^ 밀러 2008, 페이지 269
- ^ a b c d e f g h i 크램튼 1997, 페이지 387
- ^ "Jadna nam je država - Intervju sa Dejanom Medakovićem". Nedeljnik Vreme. 12 March 2003. Retrieved 2019-07-23.
- ^ a b Gödl 2007, 페이지 50-51
- ^ 램프 2000, 347페이지
- ^ a b c d 크램튼 1997, 페이지 387-388
- ^ Nedeljnik.rs (17 July 2019). ""Plakao sam za kraljem Aleksandrom. Za Titom nisam. A kada su ubili Đinđića, bio sam star za suze": Tako je govorio Nikola Hajdin Nedeljnik". Retrieved 2019-07-21.
- ^ a b c d Gödl 2007, 페이지 51
- ^ Gödl 2007, 페이지 50-52
- ^ Ćirković, Sima (2020). Živeti sa istorijom. Belgrade: Helsinški odbor za ljudska prava u Srbiji. p. 168.
- ^ Miller 2008, 페이지 268
원천
- Bokovoy, M. K.; Irvine, J.; Lilly, C. (1997). State-Society Relations in Yugoslavia, 1945-1992. Palgrave Macmillan. p. 322. ISBN 9780312126902.
- Djokić, Dejan (2003).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C. Hurst & Co. Publishers. pp. 255–. ISBN 978-1-85065-663-0.
- Crampton, Richard (1997).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After. London: Routledge. ISBN 0-415-16423-0.
- Gödl, Doris (Spring 2007). "Challenging the Past: Serbian and Croatian Aggressor—Victim Narra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37 (1): 43–57. doi:10.2753/IJS0020-7659370103. S2CID 143910006.
- Jović, Dejan (2009). "The "SANU Memorandum" and the reaction of the political elite (1986)".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Purdue University Press. pp. 248–253. ISBN 978-1-55753-495-8.
- Lampe, John R. (2000).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7401-7.
- Mihailović, Kosta; Krestić, Vasilije (1995). Pantić, Miroslav (ed.). "Memorandum of the 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Answers to criticisms" (PDF). Belgrade: SANU.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Mihailović, Kosta; Krestić, Vasilije (1995). Pantić, Miroslav (ed.). "МЕМОРАНДУМ САНУ" ОДГОВОРИ НА КРИТИКЕ (in Serbian). Belgrade: SANU. ISBN 86-7025-213-9.
- Miller, Nick (2008). The Nonconformists: Culture, Politics, and Nationalism in a Serbian Intellectual Circle, 1944-1991.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p. 268. ISBN 978-963-9776-13-5.
- Silber, Laura; Little, Allan (1996) [1995]. Yugoslavia: Death of a Nation. TV Books. p. 31. ISBN 978-1-57500-005-3.
- Škorić, Sofija; Tomashevich, George Vid (1987). The Serbian Academy after a century: an institution at risk?. Serbian Heritage Academy of Canada. ISBN 978-0-920069-05-9.
- Ramet, Sabrina P. (2006).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Indiana University Press. p. 321. ISBN 0-253-34656-8.
외부 링크
- "Serbi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SANU) Memorandum, 1986". Roy Rosenzweig Center for History and New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9-14. (문서의 영문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