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디스 (세로프)
Judith (Serov)주디스 | |
---|---|
알렉산더 세로프의 오페라 | |
![]() | |
네이티브 타이틀 | 러시아어: иьь |
리브레티스트 |
|
언어 | 러시아어 |
에 기반을 둔 | 주디스 |
시사회 | 1863년 5월 16일 (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 |
주디스(러시아어: ифь, 로마자로 표기: 유디프 – 제2 음절에 대한 스트레스)는 알렉산더 세로프가 1861–1863년에 작곡한 5막의 오페라다.구약성서 아포크리파의 주디스 이야기를 전승한 데서 유래한 이 러시아 리브레토는 비록 작곡가의 공로를 인정받았지만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초연은 1863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렸다.그의 다음 오페라 로그네다로 보충된 이 무대 데뷔는 세로프를 1860년대의 가장 중요한 러시아 오페라 작곡가로 만들었다.
구성이력
1860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제작된 파올로 지아코메티의 이탈리아 연극 기우디타는 세로프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이탈리아 오페라단의 차량으로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처음 영감을 주었다.세로프의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이반 안토니노비치 기우스티니아니는 이탈리아어로 리브레토를 썼다.제안된 오페라의 이탈리아 연출이 법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명되자, 이탈리아 리브레토는 콘스탄틴 즈반트소프와 드미트리 로바노프에 의해 러시아어로 번역되었고, 일부 구절은 시인 아폴론 메이코프에 의해 추가되었다. 그 동안 작곡가는 말을 미리 하지 않고 곡을 쓰고 있었다.
실적이력
세계 초연은 1863년 5월 16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마린스키 극장에서 콘스탄틴 리아도프가 지휘하고 미하일 사리오티가 홀로페르네스를, 발렌티나 비안키가 주디스 역을 맡아 진행되었다.
모스크바 초연은 1865년 슈라멕이 지휘하는 모스크바의 볼쇼이 극장에서 열렸다.
출판이력
- 1885년, 모스크바 구틸의 피아노-보컬 점수
- 1903년, 만점, 벨야예프, 라이프치히
역할

- 유대인 전사의 미망인인 이스라엘 여성 주디스: 소프라노
- 아브라, 그녀의 노예: 메조소프라노
- 베둘리아 시의 장로 오자야스: 베이스
- 베둘리아 시의 장로 샤르미스: 베이스
- 엘리아힘, 유대인 대사제: 베이스
- 암몬 자손의 우두머리 아치오르는 홀로페르네스에 예속되었다. 테너
- 홀로페네스, 아시리아 사령관: 베이스
- 아스파네스, 홀로페른의 보유자: 베이스
- 바고아스, 홀로페른스 하렘 대표: 테너
- 제1회 오달리스케: 소프라노
- 제2회 오달리스케: 메조소프라노
- 사람, 유대인 전사, 오달리스크, 아시리아 족장과 전사, 화기애애한 사람, 홀로페른스의 남녀노소 노예
시놉시스
- 시간: 기원전 6세기.
- 장소: 베둘리아 안과 주변
1막
아직도 홀로페르네스와 그의 아시리아 군대가 포위하고 있는 베둘리아 광장의 한낮, 백성들은 절망과 갈증에 시달린다.오자아스와 차르미 장로들은 이제 모든 길이 끊겨 마지막 물줄기가 말라버렸다고 보고한다.그러나 대제사장 엘리아힘은 기적을 바라지만, 백성들은 그들의 고통을 끝내기 위해 도시를 항복하고 싶어한다.장로들은 그들에게 5일 밤낮을 더 기다려 달라고 하고, 그 시간 이후 하나님이 그들을 인도하지 않으시면, 성읍은 적을 들여보내 줄 것이다.그러자 유대인 전사들이 아치오르를 안고 성문을 통해 들어온다.그는 홀로페르네스를 설득하여 포위 공격을 멈추고 유대인의 신을 따르도록 하였다. 홀로페르네스는 그를 묶고 도시 근처로 떠나 앗시리아 인들에 의해 유대인들이 멸망하는 것을 분담하게 하였다.그러면 모두가 하나님께 분만 기도를 드린다.
2장.
주디스 혼자 그녀의 방에서, 5일을 기다리는 대신에, 지금 무엇인가 해야 한다고 결심한다.그녀는 홀로페르네스를 속이고 그녀의 백성을 구하기 위해 신이 준 아름다움을 이용하려는 계획을 구상한다.그녀의 부름을 받고 연장자들이 도착한다.그녀는 자신의 친선적인 의도를 표현하고, 자신의 노예인 아브라와 함께 적진에 갈 수 있도록 허락을 구한다.그들은 허락을 받고 떠난다.에이브라가 그녀를 캠프에 가지 못하게 설득하려 할 때, 주디스는 변함없는 태도를 취한다.
3막
홀로페른의 캠프에서는 오달리스크가 노래와 춤을 춘다.홀로페르네스는 다음 날 베둘리아를 총공격할 계획을 세우고 그들을 돌려보낸다.주디스는 수용소로 보내져 그녀의 아름다움에 매혹된 홀로페네스에게 선물된다(모든 아시리아인들이 그렇듯이).그가 그녀의 목적을 추궁할 때, 그녀는 베둘리아와 예루살렘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허락하는 한 그에게 비밀리에 출입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줄 것이라고 시늉을 한다.홀로페르네스는 여왕이 되어달라고 할 정도로 그녀의 계략을 믿는다.그리고 나서 그 캠프는 바빌론의 힘을 찬양한다.
4막
캠프에는 춤과 노래가 한 번 더 울려 퍼진다.온화한 주디스를 칭찬하는 가운데 아스파네세스는 그녀의 냉혹함에 대해 불행한 말을 하고, 곧바로 홀로페른스에게 칼에 찔려 죽는다.바로 그때 주디스가 나와서 그 비열한 행동에 소름이 끼치지만, 그녀의 계획에는 여전히 결심이 남아 있다.그는 그녀에게 도시가 다음날 공격당할 것이라고 알려준다.술에 취한 상태에서 홀로페르네스는 주디스의 발 앞에서 의식을 잃고 땅바닥에 쓰러진다.그가 침대에 눕혀진 후, 그녀는 다른 사람들이 떠나갈 때 그와 함께 남아있다.장막 안에서 그녀는 그의 칼을 빼앗고 그를 죽인다.아브라에게 머리를 자루에 담으라고 한 후, 두 사람은 재빨리 떠난다.
5막
베둘리아에서는 엿새째 되는 날 새벽을 기다리는 백성이 대제사장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아시리아 사람들에게 성문을 열어 줄 준비를 하고 있다.갑자기 성문 밖에서 주디스가 들리고, 홀로페른스의 머리를 그들에게 보여 준다.도망치는 아시리아군의 소리는 오자아스의 보고에 의해 확인된다.하나님께서 그들의 기도에 응답하시니, 모두 찬양하여라.
주요 아리아 및 숫자
- 소개(또는 서곡)
- 주디스 독백 (2막)
- 홀로페른스의 행진 (3막 전 엔트락트)
- 춤 (3막)
- 오달리스크의 박치 춤과 두 알마 춤 (4막)
- 인도 노래 (4막)
영향
주디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첫 오페라는 아닐 뿐만 아니라 "러시아어"라는 소재가 전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세로프의 설정은 러시아 음악의 역사에 큰 의미를 갖는다.(1898년부터 시작된 표도르 샬리아핀의 홀로페르네스의 묘사에 의해 향상됨) 대중과의 성공 외에도, 세로프의 주디스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 후기 러시아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주디스의 동양적 요소는 3막과 4막에서 가장 명백하다; 그 영향(러슬란과 류드밀라에서 글링카에 의해 표현된)은 4막의 인도 노래와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인도적 게스트의 노래"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녹음
- 1991년 안드레이 치스티야코프(지휘자), 볼쇼이 극장 관현악단, 구소련의 러시아 학술 합창단, 이리나 우달로바(주디스), 옐레나 자렘바(아브라),Mikhail Krutikov (aka Svetlov) (Holofernes), Nikolay Vasilyev (Bagoas), Anatoly Babïkhin (Ozias), Vladimir Kudryachov (Achior), Stanislav Suleimanov (Asfaneses), Pyotr Gluboky (Eliachim), Maksim Mikhaylov (Charmis), Irina Zhurina and Marina Shutova (odalisques), Lev Kuznetsov (Hindu Song).Brilliant Classic 2011 재발행.
참고 항목
참조
- Bernandt, G.B. Словарь опер впервые поставленных или изданных в дореволюционной России и в СССР, 1736–1959 [Dictionary of Operas First Performed or Published in Pre-Revolutionary Russia and in the USSR, 1836–1959] (Москва: Советский композитор, 1962), p. 357.
- 칸딘스키, 알렉세이[주디스 녹음을 위한 CD 노트, LDC 288 035/036, Chant du monde 라벨에 표시]
- 세로프, 알렉산더Юдифь: опера в пяти действиях.Арранжированная для пения с фортепианом А. Евгениевым и Г. Дютшем.[주디스: 5막 오페라.A에 의해 음성과 피아노용으로 편곡되었다.예브게니예프와 G.디우트슈.]Москва: А. Гутхеиль, 1885.
- 타러스킨, 리처드1860년대에 설교되고 연습된 러시아의 오페라와 드라마.뉴에드.로체스터:로체스터 대학 출판부, 1993.
- _____. "세로프, 알렉산더 니콜라예비치", 그로브 뮤직 온라인(2006년 1월 10일 접속), <http://www.grovemusic.com>
- _____. "유디프"," 그로브 뮤직 온라인(2006년 1월 10일 접속), <http://www.grovemusic.com>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주디스(알렉산드르 세로프)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