쥬시 살리프

Juicy Salif
필리프 스타크의 쥬시 살리프 시트러스 리머(1990년)

1990년 필립 스타크가 디자인한 감귤류 리머인 쥬시 살리프산업디자인의 아이콘으로 꼽히며, 뉴욕의 현대미술관[1] 메트로폴리탄 미술관[2] 상설 소장품, 런던의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왔다.[3]그것은 또한 RISD 박물관[4] 휴스턴 미술관에서도 이 상을 받았다.[5]

설명

이탈리아의 주방용품 회사인 알레시가 주조하고 연마한 알루미늄으로 만든 이 공구는 직경이 14cm(5.5인치), 높이가 29cm(11인치)나 된다.

그러나 이 장치는 사용하기 쉽지 않고, 광택이 나는 알루미늄 마감이 부식에 취약하며, 공식 지침에서 인정했듯이 불쾌한 맛을 낸다.[6]주방 공구는 식기 세척기가 안전하지 않아 손으로 씻는 동시에 날카로운 부분에서 부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6]

역사

런던 디자인 박물관의 쥬시 살리프 주형

매끈하고 이국적으로 보이는 이 모양은 바다오징어에게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원래의 그림은 피자가 묻은 종이 위에 스케치되었다.[7][6]

제조회사의 설립자인 알베르토 알레시는 나중에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나는 스타크로부터 냅킨을 받았는데, 그 위에 몇 개의 이해할 수 없는 표시(토마토 소스, 십중팔구)가 몇 개 그려져 있었다.오징어 스케치.그들은 왼쪽에서 출발하여 오른쪽으로 가면서 육즙이 많은 살리프가 되는 확실한 형태를 취했다.오징어 한 접시를 먹고 그 위에 레몬을 짜는 동안 스타크는 그의 유명한 레몬 스퀴저를 냅킨에 그렸다.[8][9]

알베르토 알레시는 드제엔에 올린 녹화 비디오 인터뷰에서 "이 프로젝트가 모두에게 큰 농담으로 여겨져 매우 기쁘다. [...] 내가 꼭 말해야 할 세기의 가장 논쟁적인 압축기지만, 내 경력에 있어 가장 재미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7]라고 말했다.그는 그것을 회사의 가장 성공적인 제품 중 하나로 여겼다.[7]

판매의

출시 10주년을 맞아 쥬시 살리프 1만여 대가 개별 번호와 금도금을 발행했다.그러나 이 호화판에는 마감재가 부식될 것이기 때문에 주스기를 실제 과일과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가 함께 나왔다.[10]회색/검은색(안트라카이트) 색상 버전도 있었는데, 이 중 1991년부터 2004년 사이에 47,000개의 무숫자 예가 생산되었다.[11]도시 전설에 따르면 무연탄은 금도금보다 희귀하다고 하지만 지금은 둘 다 수집가들의 물건이다.[citation needed]

2003년까지, 총 50만 점 이상의 상징적인 디자인 유물이 팔렸다.[10]

임계수신호

스타크는 자신의 감귤류 재배기가 "레몬을 짜기 위한 것이 아니라" 대화를 시작하기 위한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말했다.[10]

도날드 노먼의 저서 '감성 디자인'의 앞표지에 쥬시 살리프의 이미지가 실렸다.[12]금도금판은 과일의 구연산이 변색되어 금도금이 침식되기 때문에 "오르나멘트"로 설명되었다.[12]

파이낸셜타임스(FT)의 불량 디자인 기사에는 쥬시 살리프(Juicy Saliff)가 다른 사례로 포함됐으며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의 원래의 '끔찍한 공포의 방'을 되살려 현대적인 사례를 보여 줄 것을 제안했다.[13]

참조

  1. ^ "Philippe Starck. Juicy Salif Lemon Squeezer. 1988". MoMA. The Museum of Modern Art. Retrieved 2022-02-11.
  2. ^ ""Juicy Salif" Lemon Squeezer". The Met. Metropolitan Museum of Art. Retrieved 2022-02-11.
  3. ^ "Juicy Salif Starck, Philippe". Victoria and Albert Museum: Explore the Collections. Retrieved 2022-02-11.
  4. ^ "Juicy Salif". RISD Museum Collections.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Retrieved 2022-02-11.
  5. ^ "Juicy Salif Citrus Squeezer". Museum of Fine Arts, Houston. Retrieved 2022-02-11.
  6. ^ a b c Orr, Christy (1 May 2019). "Philippe Starck's Juicy Salif lemon squeezer: Genius design or just a cool fruit squeezer?". DesignStudies1. Medium. Retrieved 2022-02-11.
  7. ^ a b c Hobson, Benedict (9 July 2014). "Philippe Starck's Juicy Salif was "the most controversial lemon squeezer of the century"". Dezeen. Retrieved 2022-02-11.
  8. ^ 스타크 쥬시 살리프, hivemodern.com
  9. ^ "'Juicy Salif' lemon squeezer by Philippe Starck for Alessi, 1990". Powerhouse Museum. 2000. Retrieved 27 November 2008.
  10. ^ a b c Chadha, Radha (22 November 2016). "The irrationality of pure design". Mint. Retrieved 2022-02-11.
  11. ^ 알레시 컴퍼니 아카이브[full citation needed]
  12. ^ a b Norman, Donald Arthur (2005). Emotional Design. Basic Books. p. 114. ISBN 0-465-05136-7.
  13. ^ Heathcote, Edwin (30 October 2015). "Design horrors: the bad, the ugly and the dysfunctional". Financial Times. Retrieved 2022-02-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