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언형지수
Jungian Type IndexJTI(정기안 유형 지수)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의 대안이다.2001년 옵티마스에 의해 소개된 [1]JTI는 노르웨이에서 심리학자 토르 외데그르트와 홀바르드 E: 링스타드에 의해 10년간 개발되었다.JTI는 칼 융이 저서 '심리학적 유형'에서 사고 대 감정, 감지 대 직관 등 개인들이 선호하는 심리학적 기능 사용을 포착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선호하는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JTI의 질문과 방법론은 MBTI와 다르다.예를 들어, 그것은 영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하기 귀찮은 단어 쌍을 제거한다.[citation needed]많은 언어에서 문장의 문맥은 단어의 의미를 액자로 만드는 반면, 영어에서는 단어 자체가 더 많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개요
MBTI와 마찬가지로 JTI는 16가지 유형이 형성되는 4가지 범주를 식별한다.외향/내향, 직관/감각, 생각/감각, 지각/판단성격 유형은 이러한 범주에 대한 검사나 자기 성찰을 통해 도달한다.예를 들어, 직관, 생각, 판단 엑스트라버트는 ENTJ로 분류될 것이다.그러나 더 복잡한 것은 이 표면 수준 분류 아래에 있다.각 성격 유형에는 정어적 인지 기능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각 타입의 사람들이 현실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각 유형에는 네 가지 인지 기능(생각, 느낌, 직관, 감지)이 모두 다른 순서로 배열되어 있으며, 내성/외향 수준이 다르다.어떤 형태의 두 개의 중간 문자 중에서 하나는 그들이 세상과 상호 작용하는 일차적인 기능이 될 것이고, 하나는 보조 기능이 될 것이다.예를 들어, ENTJ의 1차 함수는 (외향)이다.생각, 그리고 그들의 2차 기능은 직관이다.[2]
상용화
미국에서는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원래의 MBTI 툴이 여전히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어느 정도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도 JTI가 경력개발과 코칭 등을 위해 JTI를 보완하는 다른 도구와 연계해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3][citation needed]네덜란드, 중국, 독일에도 유통사를 두고 있다.[4]
유형 역학 논쟁
일부 MBTI 실무자들은 MBTI에 유형 역학(예: "역전 센싱"과 같이 유추된 유형을 갖는)을 적용하는 것은 이를 뒷받침하는 경험적 증거가 거의 없는 논리적 범주 오류라고 주장한다.대신에 그들은 마이어스 브릭스 타입에 대한 가장 좋은 증거는 타입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분리된 범주로 볼 때 이분법적인 타입으로 보일 때 나온다고 주장한다.[5]
참고 항목
참조
- ^ "European Type Confer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4-11. Retrieved 2008-08-29.
- ^ "The Dynamics of Psychological Type". Retrieved 2014-12-08.
- ^ 스웨덴 JTI 에이전시
- ^ JTI - 정안 유형 지수
- ^ https://www.capt.org/research/article/JPT_Vol69_0109.pdf[bare URL PDF]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