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DA(AM)

KKDA (AM)
KKDA
KKDA dkNET730 logo.png
도시텍사스 주, 그랜드 프레리
방송 영역댈러스/포트워스 메트로플렉스
빈도730kHz
브랜딩dk NET 730 AM(Dallas Korean Network)
프로그래밍
언어한국인입니다
포맷풀서비스
소유권
소유자스콧 킴 & 킴벌리 로버츠
(SKR 파트너 LLC)
역사
첫 방송일
KBCS로 1957번길
이전 통화 기호
KBCS(1957-1959)
KKSN (1959-1960)
KRZI(1960-1962)
KPCN (1962-1969)
이전 자매 방송국인 K104 DALLAS에서
한국달라스 우연의 역법
기술정보
클래스B
500와트
송신기 좌표
32°45′51″N 96°59′27″w / 32.76417°N 96.99083°W / 32.76417; -96.99083좌표: 32°45′51″N 96°59′27″W / 32.76417°N 96.99083°W / 32.76417; -96.99083
링크
웹사이트dknet730.com

KKDA(오전 730)는 댈러스/포트워스 지역에 있는 미국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이 역은 텍사스주 그랜드프레리 지역사회에 봉사할 수 있도록 허가되었으며, 면허소지자인 SKR파트너스 LLC를 통해 스콧 킴과 킴벌리 로버츠가 소유하고 있다. 2013년 1월 1일 SKR 파트너스는 FCC 승인을 기다리는 동안 현지 마케팅 계약에 따라 방송국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앞서 KKDA는 서비스방송이 오랜 기간 도시형 구식 형태로 운영한 바 있다. 또 2012-13시즌부터 UTA 매버릭스 남자농구 경기를 소화했다.[1]

730 AM은 캐나다와 멕시코의 클리어 채널 주파수다.

역사

댈러스의 AM 730은 1957년 8월 1일 탑 40 음악 방송국 KBCS로 운영을 시작했다. 몇 년 동안 KLIF, 1480 KBOX와 제한된 성공으로 상위 40명의 관객들을 위해 경쟁하다가 1959년에 KKSN("키신")으로 통화를 변경하여 향후 몇 달 동안 R&B 형식으로 진화하고 1960년에 KRZY("크레이지")라는 새로운 전화를 받았다.

1962년 KRZY는 국가 포맷으로 KPCN이 되었다. 데이타이머 KPCN이 24시간 KBOX와 경쟁할 수 없어 1967년 초 KBOX가 Top 40에서 국가로 바뀌기까지 KPCN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AM 730은 1969년 1월 KDA 전화를 받았고, 처음에는 1970년 4월 R&B 형식으로 돌아올 때까지 1년 조금 넘는 시간 동안 쉬운 청취 형식을 방송했다. KKDA는 이후 달라스/포트워스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2012년 중반까지 사용된 Soul 73 로고.

이 방송국은 1976년 12월 22일 서비스방송에 인수되었다. 수년 동안, 그것은 '소울 73'의 스테이션 ID./logo를 사용했는데, 소울, R&B, 그리고 약간의 복음, 재즈, 블루스가 혼합되어 있었다.

KKDA는 1990년까지 주간 전용역이었다.

2012년 5월 말, KKDA는 바비 패터슨, 신디 B, 로저 B를 포함한 많은 직원들을 해고했다. 브라운은 그것들을 자동화된 서비스로 대체했다.[2] 몇 달 후, 이 방송국은 어반 올디즈 형식을 유지하면서 소울 730(소울 7-30)으로 브랜드를 변경했다. 이어 베테랑 방송인 윌리스 존슨이 오전 쇼(5AM~9AM), 린 헤이즈가 정오 드라이브(9AM~2PM), 워렌 브룩스가 오후와 초저녁 시간(2PM~7PM)을 맡는 등 새로운 DJ가 영입됐다. 자동화는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도 계속되었다. 그리고 나서 KKDA는 라이브 방송을 포함한 약간의 리브랜딩과 로고 개편에 이어 마침내 자체 웹사이트를 확보했다.

2012년 12월 21일, 라이선스 보유자 서비스 방송 그룹 LLC는 KDA를 라이선스 사업자인 SKR Partners LLC를 통해 Scott Kim과 Kimberly Roberts에게 보고된 판매가격 190만 달러에 판매하기로 계약하였다.[3] FCC는 2012년 12월 28일 방송 면허 이전 신청을 받아들였으나 2013년 1월 1일 현재 위원회는 거래에 대한 추가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3] 매각이 보류 중인 가운데 SKR파트너스는 2013년 1월 1일 현지 마케팅 협약에 따라 새로운 한국어 라디오 포맷으로 방송국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한국어 포맷으로 전환했음에도 불구하고, 방송국은 2012-13 시즌의 남은 기간 동안 UTA 매버릭스 농구를 계속 방영했다. 이 게임들은 방송국에 남아 있는 유일한 영어 프로그래밍이었다.

2013년 2월 22일, Hymen Childs의 서비스 방송 그룹은 SKR Partners LLC에 190억 달러에 한국 KKDA-AM/그랜드 프레리-달라스 판매를 마감했다.

이전 프로그래밍

밀리 잭슨 쇼

2013년 1월 1일까지 사용된 Soul 730 식별 정보.

소울 레전드 밀리 잭슨은 여러 해 동안 평일 오후 3시부터 6시까지 오후 드라이브쇼를 진행했으며, 음악에는 해설과 코미디를 혼합했다.연예인들은 정기적으로 뉴스와 함께 S.B.와 트리시 호지를 포함했고, 후에 교통 체증으로 케이티 런던을 데뷔시켰다. 특집 기사에는 5시 30분에 "The N-News"가 포함되었다. 그녀의 마지막 쇼는 2012년 1월 6일이었다.[4]

Roger B와 함께 하는 Talking Sports. 갈색

KKDA는 또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를 위한 스포츠 쇼도 열었다. "로저 B와 스포츠를 이야기한다. 브라운"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후 6시에서 7시까지, 일요일에는 오후 6시에서 8시까지 들렸다. 이 쇼에는 루퍼스 D.와 같은 등장인물들이 즐비했다. 루디 존스), 플립 다 버드, 에릭 B. (본명: 에릭 새틀러)는 그 중에서도. 루퍼스 D.는 일요일의 연예 및 스포츠 편집자였고 공동 진행자 역할도 했다. 에릭 B. 또한 공동 진행자로 활동했다. 이 쇼는 흑인 방송사들이 주최한 몇 안 되는 스포츠 토크쇼 중 하나였다. 로저 B. 브라운은 방송국에서 해고되기 전까지 18년 넘게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스포츠에 대해 이야기해왔다.[citation needed]

논란

KDA-AM의 판매와 포맷 변경은 방송국의 열렬한 청취자들로부터 흑인 사회의 부정적인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KDA-AM에서 윌리스 존슨의 아침 쇼를 정기적으로 청취한 드웨인 캐러웨이 댈러스 시의원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것은 목청을 찢는 것이다. "나는 한국인과 전혀 문제가 없지만, 흑인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남자는 수백만 달러를 벌었고, 우리에게 전혀 아무 말도 하지 않았소?"라고 말해, 소울 730의 상실이 강력한 배출구를 침묵시켰음을 보여준다. 서비스방송은 수익성이 높은 FM 힙합 상대인 KKDA-FM(K104)을 유지했지만 AM 방송국의 청취자들을 달래지는 못했다.[5]

2013년 4월 22일 현재; 윌리스 존슨의 아침 쇼가 온라인 리얼리티 라디오 411 네트워크를 통해 돌아왔다.[6]

참조

  1. ^ "Mavericks announce new radio home - UT Arlington Official Athletic Site". Utamavs.com. 2012-10-26. Retrieved 2014-07-23.
  2. ^ Grubbs, Eric (May 23, 2012). "KKDA Lays Off Bobby Patterson, Most Of Its On-Air Staff". Dallas Observer. Dallas, TX. Retrieved January 1, 2013.
  3. ^ a b "Application Search Details (BAL-20121227AAI)". FCC Media Bureau. December 28, 2012. Retrieved January 1, 2013.
  4. ^ "Millie Jackson exits Dallas "Soul 73" KKDA-AM". Radio-Info.com. January 10,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4, 2012. Retrieved January 10, 2012.
  5. ^ 댈러스의 최장수 라디오 쇼2013-01-05년 Wayback Machine에 보관됨 - WFAA-TV(2013년 1월 1일 발매)
  6. ^ Wilis Johnson 2013-05-10년 웨이백 머신 - 411 리얼리티 라디오보관(2013년 4월 26일 액세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