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딩일란
Kadingilan카딩일란 | |
---|---|
카딩일란 현 | |
![]() 시청 | |
닉네임: 남부의 그린 헤이븐 | |
![]() 카딩일란이 강조 표시된 부키드논의 지도 | |
필리핀 내 위치 | |
좌표: 7°36˚N 화씨 124°55°E / 7.6°N 124.92°E좌표: 7°36′N 124°55′E / 7.6°N 124.92°E/ | |
나라 | 필리핀 |
지역 | 북부 민다나오 |
주 | 부키드논 |
구 | 제3구 |
설립됨 | 1971년 8월 16일 |
바랑게이 | 17(바랑게이 참조) |
정부 | |
• 유형 | 상무니앙바얀 |
• 시장 | 제리 오 카노이 시니어 |
• 부시장 | 헬버트 A. 조벨라르 |
• 대표 | 마누엘 F. 주비리 |
• 시 의회 | 회원들 |
• 유권자 | 유권자 26,689명(2019년) |
면적 | |
• 합계 | 171.94km2(66.39 sq mi) |
표고 | 302m(991ft) |
최고 고도 | 467m(1,532ft) |
최저 고도 | 157m(515ft) |
인구 (1998년 인구조사) | |
• 합계 | 33,735 |
• 밀도 | 200/km2 (190/sq mi) |
• 가구 | 7,437 |
이코노미 | |
• 소득계층 | 제3기 시립 소득계층 |
• 빈곤 발생 | 57.52% (2015)[4] |
• 수익 | ₱186,227,150.48 (2020) |
• 자산 | ₱407,071,702.22 (2020) |
• 지출 | ₱145,541,699.00 (2020) |
• 부채 | ₱174,628,347.36 (2020) |
서비스 제공업체 | |
• 전기 | First Bukidnon Electric Cooperative(FIBECO) |
시간대 | UTC+8(PST) |
우편번호 | 8713 |
PSGC | |
IDD : 지역번호 | +63 (0)88 |
네이티브 언어 | 비누키드 세부아노 아타마노보 마티그살루그 일리아넨 타갈로그어 |
웹사이트 | www |
카데일란, 공식적으로 카데일란 자치주(세부아노: Lungsod sa Kadingilan, Tagalog: 바얀 ng 카딩일란)은 필리핀 부키드논 지방의 3급 자치단체다.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33,735명이다. [3]
역사
문화사
초기에는 다투 만다가나사라는 족장이 이끄는 특정 민족이 있었다. 그 후 그는 그의 부족인 캄퐁의 가능한 보금자리로서 두 강 사이에 위치한 장소를 찾고 있었다. 그들은 이니아완 강과 피날팔란 강 사이에 위치한 광대한 땅을 발견했고 그 지역을 그들의 영토로 만들기로 결정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곳은 타락한 토착어 Kadiay(우리의 뜻)와 Madingilan(임시적인 의미)에서 Kadingilan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카딩일란의 성장과 발전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시작되었다. 전국 각지에서 온 이주민들이 비옥한 땅으로 몰려들었다. 원래 거주자는 세부아노스, 보홀라노스, 와레이스, 이고롯/이푸가오스로 서서히 대체되었다. 원래 거주자들은 들어오는 두마가트(기독교인에게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의 유입으로 결국 완화되었다.
정치사
부키드논이 아구산델노르테와는 별개의 지방으로 만들어지자 카데일란은 1945년 이후 마라막의 바리오가 되었다. 1956년 7월 1일 키바웨가 정식 시군으로 만들어지기 전까지 이와 같은 존재였다. 그 후 카딩일란은 마라매그에서 끌려와 키바웨의 정규 바리오 중 한 명이 되었다.
1971년 8월 16일, 카딩일란은 공화국법 6368호)에 따라 부키드논의 자치구로 만들어졌다.
카딩일란의 발전을 개척한 시 공무원들의 첫 번째 세트는 다음과 같다.
- 베르나르디노 L. 메조라다 - 시장
- 에피파니오 Q. 라미레즈 - 부시장
- 클레멘테 H. 에둘란테스 - 의원
- 페드로 T. 기리탄 - 의원
- 아가피토 코넬 - 의원
- 로둘포 퀼라톤 - 의원
- 멜레시오 그라필 - 의원
- 이보니아 에멜리오 - 의원
- 이레노 코로나 - 의원
- 아리스턴 아도 - 의원
지리
Kadingilan은 경도 7O 20' 31"의 북경 및 동경 124O 49'에서 125O 2의 동위도에서 격자 좌표 안에 위치한다. 카딩일란은 부키드논 지방의 서남쪽 국경을 따라 위치해 있다. It is bounded on the north by the municipality of Don Carlos; north-east by the municipality of Dancagan; east by the municipality of Kibawe; southeast by the municipality of Damulog and on the south and south-west by the province of North Cotabato and on the west by the province of Lanao del Sur and north-west by the municipality of Pangantucan.
지형
시군의 지형은 구불구불한 구릉지대와 산악지형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언덕들과 산들은 다물로그, 단카간, 키바웨의 자치주들과 공통된 자연경계 역할을 하는 동부의 무레타 강과 같은 강과 기슭에 의해 해부된다. 남부의 마리다오와 키당긴 강은 판간투칸 시와 라나오 델 수르 주로부터 카딩일란을 분리한다.
기후
자치체의 기후는 C형 농경지에 속한다. 이 지역은 도내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현재와 잠재적 농업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은 것은 부키드논 동쪽 산악벨트의 비 그림자 효과 때문이다. 인접한 구릉과 산맥이 있어 남부지방에서는 강수량 분포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가장 많은 강우량은 5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한다.
카딩일런, 부키드논의 기후 데이터 | |||||||||||||
---|---|---|---|---|---|---|---|---|---|---|---|---|---|
월 | 얀 | 2월 | 3월 | 4월 | 5월 | 준 | 줄리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평균 높은 °C(°F) | 29 (84) | 30 (86) | 30 (86) | 31 (88) | 29 (84) | 28 (82) | 28 (82) | 29 (84) | 29 (84) | 28 (82) | 29 (84) | 29 (84) | 29 (84) |
평균 낮은 °C(°F) | 22 (72) | 22 (72) | 22 (72) | 23 (73) | 24 (75) | 23 (73) | 23 (73) | 23 (73) | 23 (73) | 23 (73) | 23 (73) | 22 (72) | 23 (73) |
평균 강수량 mm(인치) | 174 (6.9) | 145 (5.7) | 159 (6.3) | 192 (7.6) | 302 (11.9) | 343 (13.5) | 297 (11.7) | 265 (10.4) | 244 (9.6) | 293 (11.5) | 306 (12.0) | 188 (7.4) | 2,908 (114.5) |
평균 비 오는 날 | 17.4 | 14.4 | 17.4 | 21.3 | 27.6 | 28.0 | 27.9 | 26.9 | 25.0 | 26.9 | 26.0 | 21.1 | 279.9 |
출처: 마테오블루 |
표고
전체 육지 면적의 약 52퍼센트는 해발 300~400미터의 고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 40%는 해발 0~30미터의 고도다. 단지 50헥타르만이 500미터 이상의 고도에 있고 이것들은 대부분 페이아오와 마탐페이 언덕에서 발견된다.
경사
시 전체 토지 면적의 26%가 18~30%의 경사를 이루고 있어 구릉지대로 굴러가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들은 카바디앙간과 마부하이의 바랑게이 내 목재지로 분류된 지역이다. 24%는 경사 범주가 3~8%로 기단 쪽으로 기울어진 것이 특징이다. 단지 약 15% 또는 총 2,628헥타르가 0-3%의 경사 범위(전체 외래 및 일회용지의 30.6% 이상을 완만하게 경사진 수준)에 해당된다.
흙
카딩일란의 토양형은 주로 키다파완 점토류가 주를 이룬다. 연한 갈색에서 진한 갈색으로, 건조할 때는 딱딱하게, 습하고 습할 때는 플라스틱과 끈적끈적하고, 유기물 함량이 희박한 것이 특징이다.
배수/수력학
배수로에는 내부와 외부의 두 가지 유형이 확인된다. 전자는 주로 토양 프로파일 내의 여분의 물을 제거하는 토양 질감의 영향을 받는다. 후자는 경사와 생리적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표면의 물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토양이 외부적으로 잘 배출되지 않을 때는 내부적으로도 잘 배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카딩일란 토양과 같은 모든 상류 토양은 그들의 생리학적 위치 때문에 내부와 외부로 잘 배출된다. 제안된 마리다오 강 관개 사업은 바라이, 포블라시온, 시봉가, 키보그톡, 살바시온, 말리나오, 후사얀, 페이아스의 일부 바랑게이를 덮는 6,000헥타르의 논에 관개할 예정이다.
광물 자원
그 자치단체는 화산 퇴적암과 변성암 기원을 가지고 있다. 확인된 암석 종류 중 하나는 석회암(코드/라인 석회암, N,Ls)으로, 암초 석회암, 생물성 석회암, 석회암, 석회암을 포함한 밝은 색에서 크림까지, 부분적으로 단편적이고 석회암 형성이 특징이다. 또 다른 유형은 옅은 갈색과 회색의 사암과 셰일(N1)이며, 퇴행성 해양 퇴적물이 두껍고, 주로 실트스톤과 셰일 지층이 박혀 있는 거대한 사암층이다.
바랑게이
Kadingilan은 정치적으로 17개의 바랑게이로 세분된다.
PSGC | 바랑게이 | 인구 | ±% p.a. | |||
---|---|---|---|---|---|---|
2020 [3] | 2010 [6] | |||||
101306001 | 바공바얀 | 4.6% | 1,552 | 1,314 | 1.72% | |
101306002 | 바고르 | 5.6% | 1,877 | 1,811 | 0.37% | |
101306003 | 발라오로 | 6.7% | 2,247 | 2,185 | 0.29% | |
101306004 | 바로이 | 4.7% | 1,583 | 1,510 | 0.49% | |
101306005 | 카바디앙간 | 13.7% | 4,638 | 4,521 | 0.26% | |
101306006 | 후사얀 | 1.8% | 616 | 507 | 2.02% | |
101306007 | 키발라곤 | 3.2% | 1,096 | 1,037 | 0.57% | |
101306008 | 마부하이 | 2.4% | 817 | 764 | 0.69% | |
101306009 | 말리나오 | 3.5% | 1,181 | 1,008 | 1.64% | |
101306010 | 매텀페이 | 3.6% | 1,210 | 1,199 | 0.09% | |
101306011 | 시봉가 | 3.9% | 1,332 | 1,286 | 0.36% | |
101306012 | 페이아스 | 5.6% | 1,892 | 1,863 | 0.16% | |
101306013 | 피나망구한 | 6.3% | 2,115 | 1,663 | 2.50% | |
101306014 | 포블라시온 | 18.9% | 6,367 | 5,993 | 0.62% | |
101306015 | 살바시온 | 4.5% | 1,526 | 1,465 | 0.42% | |
101306016 | 산안드레스 | 7.1% | 2,408 | 2,270 | 0.61% | |
101306017 | 키보그토크 | 3.9% | 1,321 | 1,360 | −0.30% | |
합계 | 33,735 | 31,756 | 0.62% |
인구통계학
연도 | Pop. | ±% p.a. |
---|---|---|
1975 | 16,977 | — |
1980 | 20,634 | +3.98% |
1990 | 23,911 | +1.49% |
1995 | 26,093 | +1.65% |
2000 | 25,858 | −0.19% |
2007 | 30,135 | +2.13% |
2010 | 31,756 | +1.93% |
2015 | 33,778 | +1.18% |
2020 | 33,735 | −0.03% |
출처: 필리핀 통계청 |
2020년 인구조사에서 카데일란의 인구는 33,735명으로, 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200명 또는 평방마일당 520명이었다.
인구 증가
1975년부터 1980년까지의 인구는 3.98% 증가했다. 그러나 이후 10년간 인구 증가율은 평화질서 교란으로 1.48%에 그쳤다. 1995년 인구조사에서는 1990년 인구수보다 약간 높은 1.76%의 성장률을 보였다. 1995년 자료는 또한 바라이, 마탐페이, 피나망관구안, 산안드레스 등 4개의 바랑게이가 인구 감소를 경험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더 나은 기회를 찾아 사람들이 도시 지역으로 이주했기 때문이었다.
인구밀도
1995년 인구조사에서 카딩일란의 인구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147명에 달했다. 이는 평방 킬로미터당 135명으로 집계되었던 1990년의 수치에 비해 8.16%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대부분의 지방과 마찬가지로 포블라시온은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바랑게이다. 1995년 집계에 따르면 포블라시온의 인구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598명 또는 1헥타르의 땅당 약 6명으로 나타났다. 바랑게이스 말리나오와 키발라곤이 그 뒤를 이어 인구밀도가 헥타르당 3명에 육박했다. 반면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바랑게이는 마탐페이로 평방킬로미터당 86명 또는 1헥타르당 1명 정도에 불과하다.
언어들
카데일란 시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다양한 민족 출신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불구하고 세부아노어는 여전히 인구의 83% 가까이가 사용하는 주언어다. 보홀라노 - 보홀 섬이 원산지인 언어도 전체 인구의 약 8%가 사용하고 있다. 또한 루마드가 사용하는 언어인 마노보는 1995년 인구조사를 기준으로 카딩일란 인구의 거의 5%가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도 관찰할 수 있다.
노동인구
예상 노동력은 노동력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도출되었다. 15세 이상 가구 인구는 전체 인구의 57.24%에 해당하는 약 19,395명이 될 것이라는 비율을 이용하여 도출되었다. 이 중 약 1만4954명이 취업해 노동력 실직자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2,525명으로 추산된다. 또한, 동일한 인구도 같은 연령층(15세 이상)에 속하지만 노동인구에 속하지 않는 계층에 대해 동일한 지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 정부
시군의 지역 조직은 12개의 사무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사무소 중 3곳은 국가 정부 산하에 있었으나, 현재는 RA 7160의 시행에 따라 지방 정부로 이관되고 있다. 1991년의 지방 정부 코드라고 알려진 이 법은 보건, 농업 및 사회복지 개발부의 사무소로 위임되었다.
12개 사무실 외에도, 시 정부는 경제 기업 부서를 신설했다. 이는 특히 지역적 노력을 통해 지방재원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 부서는 총 25명의 직원이 3개의 중요 부문을 담당했다. 지역 재원의 증대에 도움을 준 부문은 시영시장과 도축장, 시영 상수도 및 중장비 풀이다.
카딩일란 자치단체가 따르고 있는 조직구조는 1991년 지방정부법령에 의해 규정된 의무사항을 준수하고 있다.
참조
- ^ 카딩일란 현 (DILG)
- ^ "2015 Census of Population, Report No. 3 – Population, Land Area, and Population Density" (PDF).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Quezon City, Philippines. August 2016. ISSN 0117-145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May 25, 2021. Retrieved July 16, 2021.
- ^ a b c d Census of Population (2020). "Region X (Northern Mindanao)".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8 July 2021.
-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City%20and%20Municipal-level%20Small%20Area%20Poverty%20Estimates_%202009%2C%202012%20and%202015_0.xlsx; 발행일: 2019년 7월 10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 ^ "Kadingil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Meteoblue. Retrieved 29 April 2020.
- ^ a b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0). "Region X (Northern Mindanao)".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NSO. Retrieved 29 June 2016.
- ^ Census of Population (2015). "Region X (Northern Mindanao)".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20 June 2016.
- ^ Censuses of Population (1903–2007). "Region X (Northern Mindanao)". Table 1. Population Enumerated in Various Censuses by Province/Highly Urbanized City: 1903 to 2007. NSO.
{{cite encyclopedia}}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Province of Bukidnon". Municipality Population Data. Local Water Utilities Administration Research Division. Retrieved 17 December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