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비행대 SAAF
2 Squadron SAAF2 편대 | |
---|---|
![]() | |
활동적인 | 1940년 10월 1일 - 현재 |
나라 | ![]() |
나뭇가지 | ![]() |
역할 | 공격/방해 |
수비대/HQ | AFB 마하도 |
닉네임 | 플라잉 치타 |
모토 | 라틴어: Sursam Prorsusque ("상향 및 상향") |
마스코트 | 역사적으로, 두 마리의 치타 새끼들은 |
장비 | JAS 39 그리펜 |
장식 | ![]() ![]() |
전투의 영예 | 1941년 동아프리카 주바 & 더 레이크; 서부 사막 1941-1943 시디 레제 아게다비아 가잘라 엘 알라메인; 1943년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엘 함마 & 튀니지 지중해 1943년 남동유럽 1944-1945 이탈리아 1943-1945, 상로 & 고딕 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1950-1953 |
휘장 | |
비행대 식별 코드 | DB(1939–[2]: 14c 1945) |
2 비행대대대대 | ![]() |
2개 중대는 1940년 결성된 남아공 공군의 대대다.[1][3] 이 비행단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SAAF가 참가한 모든 전투 활동에 관여해 왔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것은 북아프리카에서 사막 공군의 일부로서, 그리고 후에 이탈리아에서 그들 자신을 구분하기 전에, 동아프리카를 위한 전투에서 이름을 떨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 편대는 1940년 10월 1일 동아프리카 전역의 이탈리아인을 상대로 케냐에서 운항하던 1개 편대 SAF의 2개 편대가 새로운 편대로 편성되면서 창설되었다. 케냐에 본부를 둔 항공편은 수개월 동안 수단에 본부를 둔 1개 중대의 나머지 비행편과는 독립적으로 운항되어 왔으며, 케냐에 본부를 둔 항공기로 이루어진 이탈리아 항공기의 격추 2건은 새로운 중대에 소급하여 인정되었다. 새 비행대의 초기 장비는 호커 푸리스 전투기 9대와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9대, 호커 허리케인 5대였다.[1][4] 11월에는 중대의 글래디에이터가 1개 중대 SAAF로 이양되었고,[5] 1941년 1월 3일 허리케인도 1개 중대 SAAF에 인계되어 430편대 비행기로부터 물려받은 3개의 오래된 글로스터 건틀렛이 보충되었다.[6] 1941년 3월, 이 비행대는 커티스 모호크 4세와 재장전할 계획이었으나, 새 항공기가 맘바사에게 인도되었을 때 그들의 엔진은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영국으로 보내져 수리를 받아야 했다.[7] 4월 17일, 그 비행대의 조종사들은 서부 사막에서 복무할 수 있도록 다시 장비를 갖추게 될 이집트로 보내졌다.[8] 이 비행대는 8대의 이탈리아 항공기가 동아프리카 전역 중 격추되었다고 주장했다.[1]
이집트에 도착하자마자, 그 비행대는 계획된 커티스 토마호크스의 장비로 전환할 수 있을 때까지 허리케인을 임시 장비로 받았다. 나머지 편대가 토마호크스에 대한 작업을 계속하는 동안 5월 말부터 시디 하니쉬 비행장에서 전방위로 비행중대의 허리케인 분대가 작전했다.[9] 1941년 7월경에는 완전히 토마호크로 개종되어 운용되고 있었다.[10][11]
전쟁 초기 2개 중대는 동아프리카 전역과 북아프리카 전역의 1개 폭격기 여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943년 8월 이후 시칠리아,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에서도 행동을 보았다.[3]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 비행단은 다음과 같은 항공기를 운용했다.
- 호커 하르트베스트
- 호커 퓨리 1세[12]
- 글로스터 건틀트
-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2세
- 호커 허리케인
- 토마호크 IIB 1941년 6월 – 1942년 5월
- 키티호크 I 1942년 4월 – 1943년 6월
- 키티호크 3세 – 1943년 7월
- Supermarine Spitfire Vc 1943년 7월 – 1944년 3월
- Supermarine Spitfire IX 1944년 2월 – 1945년 7월
한국 전쟁
이 중대는 1950년 11월부터 1953년 12월까지 한국 전쟁 중 유엔의 전쟁 노력에 기여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공로였으며, 2중대는[13] 전쟁 기간 동안 제18전투기-범버 윙 미 공군에 소속되어 있었다.[14] 처음에 P-51 무스탕을 띄우던 중대는 1953년 2월 F-86 사브르를 다시 장착했다. 전쟁 중 이 비행단은 총 12,067명의 출격 비행을 했는데, 대부분은 위험한 지상 공격 임무였다. 94명의 무스탕 중 74명, 22명의 사브르 중 4명, 33명의 조종사(행동 중 14명, 행동 중 11명, 사고로 8명)가 실종되었다.
그 행동으로, 이 비행단은 한국 대통령 부대 표창,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그리고 그 밖의 수많은 상과 훈장을 받았다.[15]

제18전투비행단 사령관은 전쟁 말기에 다음과 같은 지시를 내렸다.[16]
씩씩한 남아공 전우들을 기리기 위해, 이에 따라, 이 날개가 개최하는 모든 퇴각식에서는, '디 스템 반 수이드-아프리카'라는 남아공 국가의 도입부를 연주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새로운 정책으로서 확립되었다. 이 날개의 모든 인원은 우리와 같은 영예를 안게 될 것이다.
한국, 부산 유엔 기념 묘지에 11명의 한국 전쟁 AAF 사상자가 묻혔다.
워터클라우프 AFB에 근거지를 둔 한국 전쟁 후 2개 대대는 캐나다 항공 CL-13 사브르를 장착했다. 일정 기간 동안 그 비행대는 AFB 피에테르스부르크에 주둔했다.
국경전쟁과 2000년 이후
1963년 새로운 미라지 3호로의 전환이 일어났고, 1978년 말에 편대는 AFB 호이드스프루트로 이동했다. 이 비행대는 서남아프리카/앙골라 국경전쟁 중에 여러 차례 교전했다.
그들은 1990년 10월까지 계속 미라지를 날렸다. 그들은 나중에 아틀라스 치타 C와 D를 재장착했지만, 미라지와 치타의 공백기 동안 '책 위에' 남아 그 시점에서 공식적으로 해체되지 않았다. 빈텐 비콘 18 시리즈 601 팟을 이용한 정찰도 실시되었다. 정기적인 야간 비행이 실시되었고, 2007년에 퇴역할 때까지 60개 비행대의 보잉 707 항공기로 공중급유 작전도 수행했다. 이 중대는 연례 SANDF 병력 준비 훈련에 참가했는데, 이 훈련에는 생무기 사용이 포함된다. 2006년 독일 공군과 연합훈련 중 데넬 오버버그 시험장에서 실탄인 V3S '스네이크'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40발이 발사됐다.[17]

1993년 1월 루이 트리차르트(현 AFB 마하도)로 이적한 2개 중대는 SAAF에서 유일한 최전방 전투 제트기 편대가 되었다. 2008년 4월 2일까지 이 비행대는 치타 C/D 전투기를 운용했으며 28개의 예시를 갖추었다. 이 비행대는 2004년에 1010시간을 비행했다.[18]
마지막 치타는 2008년 4월 2일에 은퇴했고, 그 달 말에 첫 번째 새로운 JAS 39 그리펜이 도착했다. SAAF는 2008년 4월에 첫 번째 Grippen D를 받아들였고 2009년 7월에 최종 2대의 Grippen D 항공기가 남아프리카에 도착했다. 처음 두 개의 Grippen Cs는 2011년 10월에 배달이 진행되면서 2010년 2월 11일에 도착했다. 이 중대는 AFB 오버버그의 시험 비행 및 개발 센터에 배정된 1차 그립엔 D를 제외한 모든 SAAF의 그립엔스를 운용한다.
1945-현재 운항 중인 항공기
- 북아메리카 F-51D 무스탕 1945년 7월 ~ 1953년
- 북미 F-86F 사브르 1953
-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 1953-56
- 캐나다 항공 사브르 Mk.6 1956-63
- 다쏘 미라지 3세 1963-89
- 아틀라스 치타 C와 D 1988-2008
- JAS 39 Grippen 2008-현재
참조
- ^ a b c d "THE SQUADRONS INCEPTION". South African Air For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September 2009. Retrieved 18 July 2009.
- ^ Martin, H.J. Lt-Gen; Orpen, N.D. (1978). Eagles Victorious: South African Forces World War II. Cape Town: Purnell. ISBN 0-86843-008-0.
- ^ a b "Squadron 2". GlobalSecurity.org. Retrieved 18 July 2009.
- ^ 1996년, 페이지 63.
- ^ 1996년, 64페이지, 70페이지
- ^ 1996년, 92-93페이지
- ^ 1996년, 페이지 138
- ^ 1996년, 페이지 149
- ^ 쇼레스, 마시멜로 & 게스트 2012, 페이지 162, 204
- ^ 쇼레스, 마시멜로 & 게스트 2012, 페이지 239
- ^ 핼리 1988 페이지 538
- ^ Macdonald, J.F. (1945). "Chapter II – The Story of 237 Squadron". Lion with tusk guardant. Salisbury, South Rhodesia: The Rhodesian Printing and Publishing Co. Ltd. p. 23.
- ^ Laurent, PARRA. "SQUADRON 2 - SAAF - Flying Cheetahs". www.cieldegloir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7. Retrieved 20 April 2018.
- ^ McGregor, P. M. J. (3 June 1978). "The History of No 2 Squadron, SAAF, in the Korean War". Military History Journal. The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4 (3). ISSN 0026-4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ugust 2009. Retrieved 18 July 2009.
- ^ Brent, Winston A. Flying Cheetahs 1950–1953. Freeworld Publications. ISBN 978-0-9583880-9-2.
- ^ Ward, E.H. (1982). "Swifter than Eagles: A Brief history of the South African Air Force 1912–1982" (Online). Scientia Militaria: South African Journal of Military Studies. 12 (2). doi:10.5787/12-2-619. ISSN 2224-0020. Retrieved 1 January 2015.
- ^ "2 Squadron participation in exercise Good Hope II". South African Air Force. Retrieved 18 July 2009.
- ^ Annual Report 2004-2005 (PDF). Department of Defence. p. 91. ISBN 0-621-36083-X. Retrieved 18 July 2009.
참고 문헌 목록
- Halley, James J (1988). The Squadrons of the Royal Air Force & Commonwealth, 1918–1988. Tonbridge, Kent, UK: Air-Britain (Historians) Ltd. ISBN 0-85130-164-9.
- Shores, Christopher (1996). Dust Clouds in the Middle East: The Air War for East Africa, Iraq, Syria, Iran and Madagascar, 1940–42. London: Grub Street. ISBN 1-898697-37-X.
- Shores, Christopher; Massimello, Giovanni; Guest, Russell (2012). A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Air War 1940–1945: Volume One: North Africa: June 1940 – January 1942. London: Grub Street. ISBN 978-1-908117-07-6.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2개 비행대 SAAF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