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티아키

Kaitiaki

가이티아키수호신, 하늘, 바다, 육지의 개념에 사용되는 뉴질랜드의 마오리족 용어다. 카이티아키는 후견인이며, 환경을 보호하고 돌보는 과정과 관행을 카이티아키탕가라고 한다.[1]

그 개념과 용어는 점점 더 신탁통치나 후견인에 관한 공공 정책, 특히 자원 관리법에 따른 환경 및 자원 통제에 관한 공공 정책에 도입되어 왔다.

카이티아키탕가

오랫동안 구축되어 온 환경관리 마오리 제도는 총체적이다. 영구 불균형을 유발하는 침입을 방지하고 환경 훼손에 대비하는 것은 물론, 그 과정을 제공해 환경 내 평화를 보장하는 제도다. 카이티아키탕가는 "티캉가의 복잡한 코드에 깊이 뿌리 박혀 있는 개념"[2]이다. 카이티아키탕가(Kaitiakitanga)는 후견, 돌봄, 현명한 관리라는 생각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그러나, 카이티아키탕가가 환경 관리에 대한 사전 예방적 접근법이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관리 시스템이 항상 대규모 환경 파괴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개념

전통적으로 모든 마오리는 그들의 조상을 랑기누이와 파파투아누쿠가 된 단일 실체인 존재의 시초까지 추적한다.[3] 랑기누이는 하늘이 되었고, 파파투아누쿠는 모토지가 되었고, 그들의 자녀들이 결국 인간이 생겨난 다양한 물리적 원소의 형태를 띠게 되었다. 이 계보는 인간과 나머지 물리적 세계 사이의 "불가역적, 불가분의 관계"이다.[2] 지구의 물리적 형태로 구현된 파파투아누쿠는 계속해서 모든 사람들을 부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마오리는 영어로 번역된 단어의 표면적 의미보다는 카이티아키탕가의 해석에 더 깊이 빠져들었다.

반도 산책로에서 나온 카이코우라 해안선

입법

비록 가장 중요한 것은 1991년 자원관리법(RMA)과 그 개정안이겠지만, 1987년 보전법을 포함한 많은 정부법령이 위탕이와 카이티아키탕가 조약을 인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RMA 제7절에 따라 자연 및 물리적 자원의 사용, 개발 및 보호 관리와 관련하여 기능과 권한을 행사하는 모든 개인은 다른 개인들 중 카이티아키탕가를 "특별히 고려"해야 한다.[4] RMA를 통해 카이티아키탕가의 개념은 법적 정의를 받았다. 카이티아키탕가의 이러한 정의는 섹션 2(1)의 RMA 내에서 "후견인의 행사, 그리고 자원과 관련하여, 자원 자체의 특성에 기초한 스튜어드십의 윤리를 포함한다"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와 해석에 대한 반대는 1997년 자원관리 개정법에서 "자연적, 물리적 자원과 관련하여 톈가타 마오리에 따른 지역의 후견인 행사, 그리고 스튜어드십의 윤리를 포함한다"[4]로 개정되었다. RMA의 이러한 정의에도 불구하고, 카이티아키탕가의 특성과 이것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은 특정 지역이나 자원에 대한 마나우헤누아 부족의 권한을 쥐고 있는 파파티푸 루랑가이다.[6] RMA 외에도 1996년 뉴질랜드 어업법 9부는 이 관리를 카이티아키탕가라고 직접 확인하지 않고 관례적인 어업 관리를 규정하고 있다.[7]

또한, iwi, hapu 그룹이 선정하고, 수산부에서 임명하여 특정 지역의 보호자 역할을 하는 Tiaki 탕가타의 역할이 있다.[7] 탕가타 티아키는 자신들의 지역에서 관행적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허가증을 발급할 책임이 있으며, 이 어획량을 수산부에 신고해야 다음 해 어획량 한도가 레크리에이션용 낚시 가방 제한을 넘어 관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7] 탕가타 티아키/카이티아키는 현지 툰가타 시푸아(Tangata Tifua)의 승인을 위해 그들의 rohe 내에서 어업에 대한 관리 계획을 수립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RMA의 목적상, 이러한 계획을 "Iwi 계획 문서"라고 하며, 이러한 계획을 모든 자원 관리 계획에서 고려해야 하는 요건이 있다.[7] 수산법에 따르면 항가타 시누아 로헤에 있는 어업에 대한 지속가능성 대책 개발에도 계획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카이티아키에게는 두 가지 책임이 있다. 첫째, 마우리를 보호하는 목적, 둘째, 현재 상태와 같거나 더 나은 상태의 미래 세대에 환경을 물려주는 의무.

연안자원관리

RMA에 따라 모든 권한을 행사하는 사람들은 지역 및 지역 계획을 준비하고 관리할 때 자원 관리의 모든 측면에서 마오리 문화 가치를 인식하고 제공할 의무가 있으며,[8] 여기에는 의무화된 연안 정책 선언이 포함된다. RMA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뉴질랜드 연안 정책 성명이 항상 발효되어야 한다는 요건이 있다.[4] 따라서 뉴질랜드 법률에서 카이티아키탕가를 고려하여 연안 자원 관리에서 카이티아키탕가가 갖는 실질적인 의의를 탐색할 수 있다. 특히 2010년 뉴질랜드 해안정책 성명의 정책2는 연안관리자들이 연안환경에 관한 항가타 시누아에 관한 여러 측면을 고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는 툰가타 시누아에게 "해안 환경에서의 해역, 산림, 토지, 어업"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9] 여기에는 "관련 iwi 자원 관리 계획 및 적절한 iwi 당국이나 hapu가 인정한 기타 관련 계획 문서를 고려"와 같은 의사결정 과정에 마오리에게 관여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9] iwi 자원 관리 계획은 관련 지역 또는 구의회에 제출되어야 한다. 또한, 의회는 iwi 또는 hapu가 iwi 자원 관리 계획을 개발하고자 하는 의사를 표시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9]

도구들

1996년 「어업법」, 제9부 및 특히 제186조에 의거한, 남도 관용어업 규정」은 관용어업권과 관련하여 지역 iwi가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통적인 카이티아키탕가 방법에서 파생된 많은 법적 도구를 규정하고 있으며, 지역 iwi가 지속가능경영을 지원한다. 전통적 마힌가 카이 수집 장소의 보호.

태아푸레 지역 어업

태음인은 음식의 원천으로서 또는 정신적 또는 문화적 이유로 iwi 또는 hapu에게 관습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지닌 지역을 식별한다.[7] 태음인을 인정하는 목적은 와양기조약 제2조에 따라 확보한 랑가티라탕가 및 어업권 인정에 관한 개선된 규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태양어 관리 위원회는 수산부 장관이 임명하고, 그 위원들은 항가타 시누아에 의해 지명된다. 태양어장관리위원회는 태양어장 내 어류, 수생생물 또는 해조류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태양어장을 관리하고 관례에 따라 태양어장 기능을 허용하는 규정을 권고하는 역할을 한다.[7][10]

규정은 다음과 관련될 수 있다: a. 어종, 수생생물 또는 미역, b. 섭취할 수 있는 각 종의 수량, c. 각 종을 섭취할 수 있는 날짜 또는 계절, 섭취할 수 있는 각 종과 관련된 크기 제한, d. 각 종을 섭취할 수 있는 방법, e. 면적 또는 미역각 종을 취할 [7][10]수 있는 것과 같이

마타이타이

마타이타이(Mataitai)는 항가타이푸아가 모든 비상업적 어업을 내규를 만들어 관리하는 보호구역으로, 수산부 장관의 승인을 받은 모든 개인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11] 이러한 보호구역은 관습적인 식량집합에 중요한 장소를 식별하고, 이러한 보호구역은 전통적인 어장 위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항가타 시누아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 지역이어야 한다. 이 보호구역 내에서 상업적 어업은 금지되어 있다. 탄가타 틴투아는 탄가타 틴타이를 관리하도록 임명하는데, 탄가타 틴아키는 내규를 만들어 탠가타 틴타이를 관리한다.

라후이

라후이는 일시적인 폐쇄다. 1996년 어업법 186조에 따라 잠정 폐쇄가 허용되며, 1998년 Ngai Tahu 청구권 조정법의 일환으로 남섬의 뉴질랜드 해역에서 어업을 중단하거나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라후이의 목적은 어류의 크기 및/또는 이용가능성을 향상시키거나 항가타 시누아에 의해 어류의 사용과 관리를 인식하는 것이다. 단, 1996년 「어업법」 제186b조에 따라 임시휴업일은 통보일로부터 2년을 초과하여 시행하지 않을 수 있으나, 라후이는 2년을 초과하여 연장할 수 있다.[7] 라후이는 특정 계절, 월, 주, 일 또는 날짜에 적용되고 전자화 될 수 있다.

사례 연구

카이코우라

소개

카이코우라는 뉴질랜드 남섬 동해안에 있는 작은 해안 공동체로 해안 자원 이용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지역 툰가타 시누아의 정체성의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다. 이 부분에 대한 마나우헤누아(삼권)는 응아티 쿠리(Ngai Tahu Papatipu luranga 18개)가 보유하고 있으며, 생물물리학적 가치와 함께 사회문화적 가치를 접목하는 등 지역사회 관리전략을 개발할 기회가 많아졌다.[12] 이것은 정부, 어업 이해당사자, 지역사회 기관과 협력하여 이루어졌다. 관광, 어업, 기타 자원 이용에서 비롯된 이 루랑가가 카이 모아나에 영향을 미치는 수질 문제를 포함한 항가타 이누아 가치에 관한 많은 이슈가 있다.[6]

카이티아키탕가의 발전

환경관리계획

뤼낭가 오 카이코우라가 개발한 Te Poha o Toha Raumati 지역의 천연자원 및 환경관리에 탕가타 이푸아 가치와 정책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기 위해: Te Runanga o Kaikoura 환경 관리 계획(Te Poha).[13] 이 계획은 2005년부터 시행되었다. 테포하는 연안해역 등 천연자원 및 환경관리 문제에 대한 응아티 쿠리의 가치와 지식 및 관점을 통합한 성명서를 제공하며 카이티아키탕가의 표현이다.[13]
이 계획에는 Ngai Kuri와 자연환경의 관계를 뒷받침하는 가치 설명, 타키와에서 천연자원 및 환경관리와 관련된 주요 이슈 파악, 천연자원에 대한 Te Ruanga o Kaikoura 정책 및 관리지침 및 관리지침을 명확히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명시적 목적이 있다. 해안 환경을 포함한 환경 관리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사이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13] 이 모든 목적은 Ngati Kuri 값과 일치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또한, 본 계획의 목적은 Naguanga o Kaikoura가 Ngai Kuri 값을 자연 자원, Wai Tapu 및 Wahi Taonga의 관리에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Ngai Kuri 가치와 관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역, 영토 및 국가 당국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1991년 자원 관리법, 1987년 보존법 및 기타 환경 법률에 따른 법적 의무를 이행한다.[10]

카이코우라 해상 전략

환경 관리 계획 외에도, 테 코로와이 오 테 타이 오 마로쿠라(카이코우라 해안 해상 지킴이)가 개발한 카이코우라 해상 전략이 있으며, 현재 제안서 형태로 진행 중이다.[10] Te Korowai 멤버십은 Te Ruanga o Kaikoura의 멤버십일 뿐만 아니라 Te Ruanga o Ngai Tahu와 Kaikoura 구의회 등 책임의 차원에 관여하는 지방조직과 다양한 관련 정부부처 및 이익단체의 멤버십이다. Ngai Kuri 가치와 Kaitiakitanga 원칙이 사회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자주 논쟁적인 해안 환경에서 제안된 모든 구현에서 뒷받침될 기회를 강화하는 것은 지역, 지역 및 국가 조직을 포함하는 것이다.[12] 카이코우라 해양전략은 현지 지식과 최선의 이용 가능한 과학을 바탕으로 네 가지 결과와 네 가지 "교차적 구현 행동"[10]을 중심으로 형성된 비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풍요를 추구하고, 지역 보물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생활을 하며, 이해, 거버넌스, 컴플라이언스, 모니터링 및 검토와 같은 실행 조치와 함께 관행적 관행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슈 및 조치

이 해안 지역의 항가타 when과에서는 암시장의 확산과 카이코우라 지역의 어류 및 기타 해산물의 밀렵에 대한 우려가 있어 왔다. 또한, 카이코우라에 본부를 둔 어업 담당관이 없기 때문에, 그 지역의 어업을 감시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 지역 사회다.[12] 레크리에이션, 상업적, 관습적 항구의 조합으로 인한 압력으로 인해, 라후이의 형태로서 186b절의 임시 폐쇄가 제안되어 카이코우라 반도의 와이오푸카 암초 지역에 배치되었다(그림 2 참조).[10] 이 라후이는 세 번이나 갱신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14]

용어의 광범위한 현대적 용법

카이티아키(kaitiaki)라는 용어는 뉴질랜드에서 신탁통치나 후견의 더 넓은 역할을 위해, 특히 공공 부문 조직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례들이 다음과 같은 것을 보여준다.

  • 정부의[15] 전자 인증을 감독하는 「거버넌스-카이티아키 그룹」 제안.
  • 뉴질랜드의 최고 옴부즈만은 마오리족 "Nga Kaitiaki Marine Tangata"(즉, "국민의 수호자")[16]이다.
  • 코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17] 운영에 있어서 카이티아키의 역할
  • 이후마타오에서 계획된 택지개발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자신을 카이티아키라고 부르며 2016년 이곳에 캠프를 차렸고, 카이티아키 마을로 알려졌다.[18]

참고 항목

참조

  1. ^ NZQA 단위규격 "환경관광마오리"
  2. ^ a b 마스덴, M, & 헤나레, T. A. (1992) 카이티아키탕가: 마오리족의 총체적 세계관에 대한 명확한 소개: 미발표 원고.
  3. ^ "랑기누이 하늘 아버지" 테아라
  4. ^ a b c 「자원관리법 1991」, 2012년 4월 6일, 의회 고문실
  5. ^ 헤이스, S. (1996-1999) 카이티아키탕가 및 자원관리법 1991. 오클랜드 대학 법학 검토, 893-899
  6. ^ a b 환경 캔터베리(2005년). 캔터베리 지역의 지역 해안 환경 계획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환경 캔터베리.
  7. ^ a b c d e f g h "Fisheries Act 1996". legislation.govt.nz. Retrieved 7 November 2021.
  8. ^ 헤밍센, S. A. (2004) 카이티아키탕가: 마오리는 코스트의 가치관, 사용 및 관리. 크라이스트처치 캔터베리 대학교
  9. ^ a b c d 뉴질랜드 연안 정책 성명 2010
  10. ^ a b c d e f g Te Korowai o te Tai o Marokura(2011년). 카이코우라 해상 전략: 우리 바다를 지탱하고 있다.
  11. ^ 수산부(2011년) 사우스 아일랜드 관습 어업 규정 1999. http://www.fish.govt.nz/en-nz/Maori/SouthIsland/default.htm에서 2012년 4월 27일 검색
  12. ^ a b c 헤밍센, S. A. (2009) 토착 연안 자원 관리: 호주와 뉴질랜드 비교. 호주 국립 대학교 캔버라.
  13. ^ a b c 테 루랑가 오 카이코우라(2005년). Te Poha O Toha Raumati: Te Runanga o Kaikoura 환경 관리 계획. 뉴질랜드 카이코우라: Te Runanga o Kaikoura, Tahakanga Marae.
  14. ^ "카이코우라 라후이" 카이코우라 구의회 웨이백머신에 2012-05-02년 보관
  15. ^ 「온라인 인증 프로젝트 관련 마오리 문제 연구」 2007-03-08년 웨이백 기계 보관
  16.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7-01. Retrieved 2007-06-23.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17. ^ koha.org에서 "이 카이티아키 사람은 누구인가?"[영구적 데드링크]
  18. ^ Hayden, Leonie (September 2017). "When worlds collide". New Zealand Geographic. No. 147.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