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쿠라 막부

Kamakura shogunate
가마쿠라 막부
鎌倉幕府
가마쿠라 막부
1192–1333
자본의헤이안쿄
(황궁)
가마쿠라
(상군주거)
공통 언어중세 후기 일본어
종교
정부 왕위[a] 계승
군사 독재[3]
세습[5] 통치하에서.
황제
• 1183–1198
고토바
• 1318–1339
고다이고
쇼군
• 1192–1199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1308–1333
모리쿠니노미야
쉬켄
• 1199–1205
호조 토키마사
• 1326–1333
호조 모리토키
역사
1192년 8월[6] 21일
1185년 4월 25일
·호조 관청 설치
1203
1333년 5월 18일
통화
선행
에 의해 성공자
헤이안 시대
겐무 유신
14세기 일본 가마쿠라 막부 때 만들어진 목조 곤고리키시 상입니다.원래는 오사카부 사카이시에 있는 사찰 에바라데라의 문을 지켰다.

가마쿠라 막부는 1185년부터 1333년까지 [7][8]일본 가마쿠라 시대막부였다.

가마쿠라 막부는 겐페이 전쟁에서 승리한 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 의해 창건되어 쇼군([9] himself軍)요리토모는 일본 천황과 공식 수도 헤이안쿄(교토)의 궁정에서 [7]동부의 가마쿠라에서 군사 독재자로 일본을 통치했다.가마쿠라 쇼군은 1226년까지 미나모토 씨, 1252년까지 후지와라 씨, 그리고 마지막 6명은 황실의 [10]소공이었다.호조씨는 1203년부터 [11][7][12][13]쇼군섭정으로서 일본의 실질적인 통치자이다.가마쿠라 막부는 1221년 조큐전쟁과 1274년과 1281년 쿠빌라이 칸이 이끄는 몽골의 일본 침략을 목격했다.가마쿠라 막부는 1333년 고다이고 천황겐무 유신으로 멸망하고 1336년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아사카가 막부를 무너뜨리고 아시카가 막부를 세울 때까지 천황의 통치를 되찾았다.

역사

설립

가마쿠라 막부 초기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교토에 가다

역사적으로 일본에서는 문민정부의 권력은 주로 일본의 지배적인 천황과 그 섭정들이 가지고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그곳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경쟁하는 황실귀족 씨족들의 계급에서 임명되었다.군사는 민정의 후원으로 처리되었다.

1180년부터 1185년까지 겐페이 전쟁은 천황과 조정에 대한 영향력을 둘러싼 오랜 폭력적 경쟁의 일환으로 다이라 가문과 미나모토 가문 사이에 벌어졌다.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다이라 일족을 물리쳤지만, 그의 승리로 문민 귀족으로부터 권력을 빼앗고, 정치적으로 천황과 그의 궁중을 상징적인 인물에게 귀속시켰다.1192년 요리토모와 미나모토 가문은 가마쿠라[7]군정을 세웠다.

호조 관청

요리토모는 1199년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여 미나모토 가문은 쇠약해졌다.요리토모의 미망인 호조 마사코의 아버지이자 요리토모의 전 후견인인 호조 도키마사는 요리토모의 아들 미나모토노 요리에에게 섭정(식권)의 지위를 요구하였고, 결국 호조 가문에게 세습되었다.동시에, 호조 마사코는 비록 비공식적이기는 하지만, 매우 강력한 지위에 올랐고, 사람들은 그녀의 아들 요리이에를 대신해 그녀를 "눈 쇼군"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그러나 미나모토노요리에가 나이가 들면서 진정한 힘을 발휘하려고 했고, 그 결과 어머니와 권력 다툼이 일어났다.이러한 갈등은 [14]막부 내에 상당한 긴장을 초래했다.1201년, 겐닌[15]난으로 조씨는 미나모토 가문의 전복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결국 도키마사는 요리에를 폐위시키고 동생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를 새로운 쇼군으로 옹립하여 식권 자리에 올랐다.이때 사네토모는 겨우 12세였고, 그에 따라 권력은 사실상 어머니 호조 마사코에게 있었다.미나모토 가문은 호조가 실권을 쥐고 있는 명목상의 쇼군이었다.1204년, 요리에의 충신들이 호조의 지배권을 무너뜨리기 위해 봉기를 시도했지만, 후자는 반군을 물리치고 요리에를 [14]암살했다.

1205년, 호조 도키마사는 사네토모를 폐위시키려 하고, 사위를 새로운 장군에 앉히려고 했다.그러나 그의 딸 호조 마사코는 이것을 자신의 신분에 대한 위협으로 보고, 사칭자의 살해를 주선하고 아버지를 [14]수도원으로 추방하였다.1219년, 사네토모는 조카 쿠쿄에 의해 암살되었다.사네토모가 자식 없이 죽었기 때문에 미나모토 가문의 쇼군 계열은 그와 [16]함께 끝났다.이때부터 호조는 [15]전권을 장악했다.1219년 사네토모가 사망하자, 그의 어머니 호조 마사코는 막부의 실질적인 권력의 [17]중심 역할을 계속하였다.그녀가 살아있는 한, 그녀가 키를 잡고 있는 동안 섭정들과 쇼군들이 왔다 갔다 할 것이다.호조 가문에는 쇼군을 지명할 계급이 없었기 때문에 마사코는 편리한 [18]꼭두각시를 찾아야 했다.문제는 미나모토 가문의 먼 친척인 쿠조 요리쓰네( the yor,)가 제4대 쇼군(gun軍)으로, 호조 요시토키가 일상 [18]업무를 담당하게 되어 해결되었다.아무리 무력해도 후지와라나 황실 혈통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혈통을[18] 맑게 하고 통치에 정당성을 부여한다.이 승계는 [18]1세기 이상 계속되었다.

그 결과 가마쿠라 막부는 섭정들의 특이한 피라미드와 사실상의 왕위 찬탈에 안주했다.진정한 통치자, 즉 호조 섭정은 미나모토 천황으로부터 권력을 빼앗았고, 미나모토 천황은 천황으로부터 권력을 빼앗았고, 고코 천황세이와 천황의 자녀로부터 권력을 빼앗았다.동시에, 섭정, 장군, 천황 모두 여전히 명목상의 지위를 유지하며 함께 존재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정권은 9명의 소년군과 16명의 [17]섭정군 등 총 135년 동안 지속될 만큼 안정적이었다.

1221년, 고토바 천황조큐 전쟁( (戰)으로 불리는 권력을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했다.[19]호조의 세력은 1324년 고다이고 천황이 그들을 타도하려는 음모를 꾸몄지만, 그 음모는 거의 즉시 발각되어 [17]수포로 돌아갔다.

몽골의 침략

쿠빌라이 칸이 이끄는 몽골인들은 1274년과 1281년에 [20]해상 침공을 시도했다.50년 전, 막부는 워커우족이 그들의 습격을 멈추도록 하는 한국의 요구에 동의했고, 이러한 약간의 좋은 외교는 두 국가 사이의 협력 관계를 형성했고, 몽골 점령군에 속수무책인 한국인들은 일본에 많은 정보를 보냈다.일본 간첩의 한반도 침입 메시지와 함께 막부는 몽골 [21]침략의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막부는 항복하라는 쿠빌라이의 요구를 무시했다.1274년의 몽골 상륙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어떤 경우에도 몽골군과 한국군의 연합 침략군 4만 명을 크게 능가하는 일본 수비군의 완패는 없었다.한국 제독들은 곧 닥칠 폭풍에 주목하여, 몽골군에게 해안으로부터 함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시 상륙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태풍은 몽골군의 3분의 1이 [22]파괴될 정도로 파괴력이 강했다.

살아남은 군대가 몽골 영토로 돌아간 후에도 쿠빌라이는 일본을 몽골의 지배하에 두려는 의도를 단념하지 않고 다시 항복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보냈고, 이는 사신을 처형한 호조 지도부를 격분시켰다.그들은 하카타만의 후방을 지키기 위해 성벽을 쌓고, 방어초소를 설치하고, 수비대 명부를 작성하고, 본토의 정규 병력은 서쪽의 방어로 전환하고, 침입자의 함대를 공격하기 위해 선박을 건조하는 등 단호한 방어행동으로 대응했다.

몽골인들은 1281년 약 5만 명의 몽골-조선족과 중국 남부 송나라의 10만 명의 징집병을 이끌고 돌아왔다.이 군대는 규슈의 여러 곳에서 약 7주 동안 일본군에 승선하여 싸웠지만, 방어군은 버티고 있었고 몽골군은 전략적 진로를 찾지 못했다.다시 태풍이 다가오자 한중 양국은 외해에서 태풍에 대처하기 위해 몽골 연합군을 다시 상륙시켰다.몽골군의 적어도 3분의 1이 파괴되었고, 8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남쪽으로 징집된 송군의 절반이 파괴되었다.수천 명의 침략군이 제때 승선하지 못하고 사무라이에 의해 학살당했다.이러한 인적, 물적 손실, 그리고 두 번의 침략에 대한 준비로 인한 한국의 고갈은 [23]몽고의 일본 정복 시도에 종지부를 찍었다.신풍, 즉 가미카제는 일본을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구했다고 여겨진다.

이후 20년간 가마쿠라 막부는 몽골군이 또 다른 침략을 시도할 경우를 대비해 감시를 유지했다.그러나 군과 재정 지출에 대한 압박은 정권을 상당히 약화시켰다.게다가, 방어전은 그것을 싸웠던 전사들에게 분배할 이득을 남기지 않아, 불만을 가져왔다.방어벽 건설은 긴장된 [24]정권에 추가 비용을 더했다.

쇠퇴와 몰락

1331년 고다이고 천황은 가마쿠라에 대항해 무장을 했지만 가마쿠라의 아시카가 다카우지에게 패해 현재의 시마네현[19]오키 섬으로 유배되었다.그 후 한 군벌이 추방된 천황을 구하러 갔고, 이에 호조는 다시 다카우지가 지휘하는 군대를 보내 [19]교토를 공격했다.그러나 일단 그곳에 도착하자 다카우지는 편을 바꿔 고다이고를 [19]지원하기로 결정했다.동시에 천황에 충성하는 또 다른 군벌 니타 요시사다(日田義田)[17]가 가마쿠라를 공격하여 함락시켰다.마지막 세 섭정을 포함한 약 870명의 호조 씨족이 현재의 오마치에서 [17]유적이 발견된 가묘인 도쇼지에서 자살했다.

1336년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쇼군의 자리에 올라 아시카가 막부를 세웠다.

기관

가마쿠라 막부는 헤이안 [25]천황제의 틀 안에서 기능했다.

요리토모는 그의 주요 통치 기관인 만도코로를 설치했다.이후 별도의 기관인 호조 아래에서 효조주는 정부의 중심이 되었다.

막부는 지방에 새로운 군수를 임명했다.이들은 주로 다른 지방의 힘있는 가문에서 뽑혔거나 성공적인 작전 후에 장군과 그의 가족에게 작위를 수여했다.그들은 스스로 일을 처리했지만 이론적으로는 여전히 쇼군에 대한 충성을 통해 중앙 정부에 대한 의무가 있었다.군정 지사들은 [citation needed]교토의 문민정부에 의해 임명된 현재의 지사 및 부지사(부지사) 체제와 병행했다.

가마쿠라는 또한 장원(長園)의 직책으로 관리인(지토)이 관리인들은 군복무의 대가로 장원들로부터 수입을 받았다.그들은 비슷한 관직의 주인인 게스와 함께 일했고, 게스는 장원에서 교토의 주인에게 회비를 전달했다.그래서 이중 정부 체제는 장원 수준에 [citation needed]도달했다.

가마쿠라 쇼군 목록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묘소
  1.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재위: 1192년~1199년[26])
  2. 미나모토노요리에(재위: 1202년[27]~1203년
  3. 미나모토노 사네토모(재위: 1203년[28]~1219년
  4. 후지와라 요리쓰네 재위 1226년~1244년[29]
  5. 후지와라 요리츠구 재위 1244년[30]~1252년
  6. 무네타카 친왕(재위: 1252년~1266년[31])
  7. 고레야스 친왕(재위: 1266년~1289년[32])
  8. 히사아키 황태자(재위: 1289년-1308년[33])
  9. 모리쿠니 친왕(재위: 1308년~1333년[34])

가마쿠라 식권 목록

호조 다카토키 사망지
  1. 호조 도키마사, 재위 1203년~1205년[35]
  2. 호조 요시토키(재위: 1205년 ~ 1224년[36])
  3. 호조 야스토키 재위 1224년 ~ 1242년[37]
  4. 호조 쓰네토키 재위 1242년~1246년[38]
  5. 호조 토키요리 재위 1246년[39]~1256년
  6. 호조 도키무네 재위 1268년~1284년[40]
  7. 호조 사다토키 재위 1284년 ~ 1301년[41]
  8. 호조 모로토키(재위 1301년-1311년[42]
  9. 호조 다카토키 재위 1316년 ~ 1326년[43]

계보학

부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54대 천황 닌묘 천황(808~850년, 재위 833년~850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몬토쿠 천황(826년 ~ 858년, 재위 850년 ~ 858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고코 천황( (子天皇, 830년 ~ 887년, 재위 884년 ~ 887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59대 천황 우다 천황(867년 ~ 931년, 재위 887년 ~ 897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제60대 천황(884년~930년, 재위 897년~930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무라카미 천황(村上天皇, 926년~967년, 재위기간 946년~967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제64대 엔유 천황(959년~991년, 재위 969년~984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66대 천황 이치조 천황(980년~1011년, 재위기간 986년~1011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69대 천황 고스자쿠 천황(1009년~1045년, 재위 1036년~1045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고산조 천황(1034년~1073년, 재위 1068년~1073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제72대 천황 시라카와 천황(1053년~1129년, 재위기간 1073년~1087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73대 천황 호리카와 천황(1078년~1107년, 재위기간 1087년~1107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도바 천황 (74대 천황, 재위 1103년~1156년, 재위 1107년~1123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제77대 천황 시라카와 천황(1127년~1192년, 재위기간 1155년~1158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다카쿠라 천황(高,天皇, 1161년 ~ 1181년, 재위기간 1168년 ~ 1180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고토바 천황(1180년~1239년, 재위기간 1183년~1198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83대 천황 쓰치미카도 천황(1196년~1231년, 재위기간 1198년~1210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고사가 천황(88대 천황, 1220년~1272년, 재위 1242년~1246년)
                                    • Sasa Rindo.svgImperial Seal of Japan.svg6 무네타카 황태자 제6대 가마쿠라 쇼군(1242년-1274년, 재위:1252년-1266년)
                                      • Sasa Rindo.svg Imperial Seal of Japan.svg 제7대 가마쿠라 쇼군 고레야스 황태자(1264년~1326년, 재위 1266년~1289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고후카쿠사 천황(89대 천황, 1243년~1304년, 재위 1246년~1260년)
                                      • Sasa Rindo.svgImperial Seal of Japan.svg제8대 가마쿠라 쇼군 히사아키 황태자(1276년-1328년, 재위:1289년-1308년)
                                        • Sasa Rindo.svg Imperial Seal of Japan.svg 제9대 가마쿠라 쇼군 모리쿠니 친왕(1301년~1333년, 재위 1308년~1333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제90대 가메야마 천황(1249년~1305년, 재위 1259년~1274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91대 천황 고우다 천황(1267년~1324년, 재위기간 1274년~1287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Simple gold crown.svg 96대 천황(高大天皇, 1288년~1339년, 재위기간 1318년~1339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 제1대 겐무쇼군 모리요시 황태자(1308년~1335년, 재위 1333년)
                                          • Imperial Seal of Japan.svg 제2대 겐무쇼군 나리나가 천황(1326년~1338년?/1344년?, 재위기간 1334년~1336년)

패밀리 트리

Sasa Rindo.svg
(1147–1199)
미나모토노 요리토모(1)
규칙 1192~1199
(d. 1190)
보몬히메[ja]
(1147-1197)
이치조 요시야스[ja]
Sasa Rindo.svg
(1182–1204)
미나모토노요리에(2)
r. 1202–1203
Sasa Rindo.svg
(1192–1219)
미나모토노사네토모(3)
r. 1203~1219
(1169–1206)
쿠조 요시츠네
(1167-1200)
의 딸
이치조 요시야스
(d. 1227)
이치조 젠시
(1171-1244)
사이온지 긴츠네
(1198–1203)
미나모토노이치만
(1200–1219)
쿠쿄
(1193–1252)
미치이에 쿠조
(1192–1253)
사이온지 린시[ja]
(1194-1269)
사이온지 사네우지
(1202–1234)
미나모토노요시코[ja]
Kujō Fuji inverted.png
(1218–1256)
쿠조 요리츠네(4)
규칙 1226~1244
오미야노츠보네
의 딸
후지와라노치카요시[ja]
(b. 1211)
쿠조 진시
(1210-1259)
고노에 카네츠네
(d. 1308)
다이라노무네코[ja]
(1220–1272)
고사가 천황
(1225-1292)
사이온지키시
Kujō Fuji inverted.png
(1239–1256)
쿠조 요리츠구(5)
r. 1244~1252
(b.1241)
코노에 사이시[ja]
Imperial Seal of Japan.svg
(1242–1274)
무네타카노미야(6)
규칙 1252~1266
(1243-1304)
고후카쿠사 천황
Imperial Seal of Japan.svg
(1264–1326)
고레야스노미야스(7)
규칙 1266~1289
의 딸
고레야스노미야스
Imperial Seal of Japan.svg
(1276–1328)
히사아키노미야(8)
r. 1289-1308
Imperial Seal of Japan.svg
(1301–1333)
모리쿠니노미야(9)
r. 1308~1333

[44][45]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교토의 시민권력, 가마쿠라의 군사권력이 나라를 [4]통치하는 권한을 공유하고 있다.

레퍼런스

  1. ^ Naofusa Hirai. "Shinto § The encounter with Buddhism". britannica.com.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Retrieved October 22, 2020.
  2. ^ "Buddhism § Korea and Japan". britannica.com.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Retrieved October 22, 2020.
  3. ^ a b c d "Kamakura period Japanese history". britannica.com.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Retrieved October 22, 2020.
  4. ^ "Japan § Medieval Japan". britannica.com.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Retrieved October 22, 2020.
  5. ^ John A. Harrison. "Hōjō Family Japanese family". britannica.com.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Retrieved October 22, 2020.
  6. ^ "First Shogunate in Japan". nationalgeographic.or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6 April 2020. Retrieved October 21, 2020.
  7. ^ a b c d 누스바움, 루이 프레데릭(2005).일본 백과사전 459쪽가마쿠라지다이.
  8. ^ "12세기에도 헤이안 제도는 여전히 왕성했을 뿐만 아니라 생전에 막부가 운영되어야 했던 필수적인 틀로 남아 있었다.그런 의미에서 헤이안 정권은 14세기까지 존속해 가마쿠라 막부로 멸망했다.일본의 전사 규칙, 1페이지.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9. ^ 누스바움, 쇼군 pp.878–879.
  10. ^ 누스바움, "미나모토" 페이지 632-633.
  11. ^ 누스바움, "후지와라" 페이지 200-201.
  12. ^ 누스바움, "호조" (p.339-340)
  13. ^ 누스바움, "식켄" 페이지 857
  14. ^ a b c 턴불 2010, 페이지 11
  15. ^ a b 턴불 2010, 페이지 12
  16. ^ 턴불 2010, 페이지 11-12
  17. ^ a b c d e "A Guide to Kamakura". History. January 2006. Retrieved 2008-04-28.
  18. ^ a b c d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The Hojo Regency. Retrieved 2008-04-28.
  19. ^ a b c d 가마쿠라: 역사 유적 -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민 네트워크 2008년 4월 27일 접속
  20. ^ 턴불, 스티븐 R.(1987)사무라이 전사 38쪽, 턴불(1966)사무라이 워페어, 98~99쪽
  21. ^ 샌섬, 조지 베일리(1958)일본사 ~ 1334년, 페이지 438~439.
  22. ^ 머독, 제임스 (1964년)일본사, 제1권I, 페이지 511-513.
  23. ^ 샌섬, 페이지 443~450
  24. ^ 머독, 525페이지
  25. ^ 미사, 제프리 P. (1996년)무사의 법칙가마쿠라 막부(마리우스 얀센, ed.) 1페이지.
  26. ^ 누스바움, 635쪽 '미나모토의 요리토모'
  27. ^ 누스바움, 635쪽 '미나모토의 요리'
  28. ^ 누스바움, 「미나모토의 요리토모」(p. 633-634).
  29. ^ 누스바움, 후지와라의 요리쓰네(212쪽), 호조 마사코(340쪽)를 잇는 571쪽 '쿠조 요리쓰네'
  30. ^ 누스바움, 212쪽 '후지와라의 요리츠구'
  31. ^ 누스바움 666쪽 무네타카 신노
  32. ^ 누스바움 561쪽 '고려야스 신노'
  33. ^ 누스바움, 321쪽 '히사키라 신노'
  34. ^ 누스바움, 660쪽 '모리쿠니 신노'
  35. ^ 누스바움, 호조토키마사 340쪽
  36. ^ 누스바움 호조 요시토키 341쪽
  37. ^ 누스바움 호조 야스토키 341쪽
  38. ^ 누스바움, 호조 츠네토키 341쪽
  39. ^ 누스바움 호조토키요리 341쪽
  40. ^ 누스바움, 호조 도키무네 341쪽
  41. ^ 누스바움, 호조 사다토키 페이지 340
  42. ^ 누스바움, 호조 모로토키 페이지 340
  43. ^ 누스바움, 호조 다카토키 페이지 340
  44. ^ 계보(guns) - 닌묘 천황의 다른 혈통과 가마쿠라 쇼군(j軍)의 주요 혈통을 알 수 있다(jp
  45. ^ 후지와라이치조 계보(jp)

인용된 작품

추가 정보

좌표:35°19ºN 139°33°E/35.317°N 139.550°E/ 35.317, 139.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