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커우

Wokou
워커우
Een zeeslag tussen Japanse zeerovers en Chinezen.jpg
워커우 해적과 중국 해적 사이의 해전을 그린 18세기 중국 그림.
한자이름
중국인倭寇
한국이름
한글왜구
한자倭寇
일본식 이름
한자倭寇
가나わこう

Wokou(중국어: pin; 병음:Wokuu; 일본어:와코(한국어: 왜구)는 13세기부터 [1][2]16세기까지 중국과 한국의 연안을 급습한 해적이다.워커우는 일본, 한국,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해졌고 일본해와 동중국해[3]섬들에서 본토를 습격했다. 일본해1443년 [1]계해조약 이후 한국에서의 워커우 활동은 감소했지만 명나라에서 계속되었고 1500년대 중반의 자징워커우 습격 때 절정에 달했지만, 일제의 보복과 해적들에 대한 강력한 탄압으로 1600년대에 와커우는 사실상 사라졌다.

역사

Wokou 해적에는 두 개의 뚜렷한 시대가 있다.초기 와쿠는 대부분 일본인이 아닌 16세기 와쿠와는 달리 일본해 일본 열도의 외딴 섬에 캠프를 설치했다. 일본해초기 워커우는 중국과 [4]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인들을 공격했다.

광개토대왕(재위 391~413)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중국 지린(吉林)시 지안(吉安)에 세워진 석비인 광개토비(光開土 stele)에서 처음으로 워커우(ok口)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5]비석에는 404년에 '왜적'이 바다를 건너 그에게 패했다고 적혀 있다.워커우(wokou)라는 용어는 중국어로 왜소하거나 일본인을 경멸하는 의 워(Wo)와 반딧(bandit)[6][7]의 합성어이다.

얼리워커우

14세기와 16세기 와쿠 해적 습격
푸젠(福建) 연안의 충무성(忠武城)의 문 중 하나(원래는 1384년 경)

워커우(wokou)의 기원은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두 학기로 나뉘는 워커우(Wokou)의 활동 중 얼리 워커우(Early Wokou)라고 불리는 해적은 몽골의 일본 침략에서 탄생했다.전쟁으로 인해 중국과 한국의 해안 방어력은 크게 저하되었다.또한 전쟁의 결과로 규슈의 쓰시마, 이키, 고토 열도에 사는 사람들은 극심한 가난에 시달렸다.이러한 이유로, Wokou는 중국과 [8][9]한국의 해안에서 그들의 약탈을 점차 강화하였다.정몽주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에 파견되었고, 규슈의 지사 이마가와 사다요는 초기 와쿠를 진압하였고, 후에 그들의 빼앗은 재산과 사람들을 한국으로 [10][11]돌려보냈다.1405년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20명의 생포된 해적들을 중국으로 보내 닝보[12]가마솥에서 끓였다.

한국 기록에 따르면 1350년부터 와코 해적이 특히 기승을 부렸다.거의 매년 전라도경상도의 침략 이후, 그들은 충청경기 [13]지역으로 북쪽으로 이주하였다.고려사에는 1380년 왜적을 격퇴하기 위해 100척의 군함이 진포에 파견되어 334명의 포로를 풀어주었고, 그 후 왜군의 출격은 감소하였다는 기록이 있다.1377년 고려가 화약병기청을 설립한 이후 와코족에게는 부족했던 화약기술을 통해 와코족 해적들을 효과적으로 추방했다.[13]: pp. 82–86

1419년, 한국군은 쓰시마에 상륙하여 사상 최대 규모의 외해(外海) 침략을 일으켰다.1419년 6월 19일, 227척의 배와 17,285명의 병사들로 구성된 이종무의 함대는 거제도에서 쓰시마로 출발했다.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6월 20일 전투에서 한국군은 129척의 워커우함을 나포하고 1939채를 불태우고 114명을 사살하고 21명을 생포하고 131명의 중국인을 구출했다.[14]6월 29일, 그들은 15척의 와쿠 선박과 68채의 집을 불태우고 9명의 목숨을 앗아갔으며, 포로로 잡혀있던 중국인과 한국인 등 15명을 구출했지만, 100명 이상의 군인들이 와쿠에 [15]의해 목숨을 잃었다.7월 3일 한국군은 거제도로 [16]철수했다가 한국군의 손실과 [17]악천후로 쓰시마 상륙과 점령을 포기하고 완전히 철수했다.7월 10일의 기록에 따르면, Wokou에 의해 사망한 군인의 수는 [18]180명으로 수정되었다.한편, 소씨 일족이 기록한 역사 문헌에 따르면 한국군의 사망자는 [19][20]2500명이었다.

1443년 조선과 쓰시마의 사다모리 사이에 계해조약이 체결되고 소씨 일가가 무역 특권을 부여받으면서 한반도에서 워커우의 활동은 [1]진정되었다.

저장성과 푸젠성에는 아직도 우커우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건설된 해안 요새가 있다.그중에는 복원이 잘 된 푸청성(저장성 간난현)과 충우성(푸젠성 화이안현 충우성)과 장푸현 류아오(劉,)[21]의 유적이 있다.

나중에 wokou

명나라의 역사에 따르면 16세기 와쿠의 30%는 일본인이었고 70%는 [22][23][24][25]중국인이었다.

중앙집권화 시도로, 명나라는 "무제한 무역은 [26]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공감대로 무역 금지를 제정했다.해상 무역이 불법화되면서, 중국의 해군은 축소되었고, 그 결과, 그들은 늘어난 밀수에 맞서 싸울 수 없었고, 이로 인해 남동부 해안에 대한 워커우 지배가 이루어졌습니다.와커우는 "왜구"를 의미하지만, 16세기 주요 와커우 그룹은 명나라의 무역 [26]금지 때문에 생계가 중단된 중국 무역상들에 의해 주도되었다.명나라의 부패의 정도 때문에, 많은 중국 관리들이 해적들과 실제로 관계를 맺고 해적들로부터 이익을 얻어서 중앙 당국이 [27]통제하기 어려웠다.

워커우 전투와 관련된 중국의 유명한 두 명의 군사 인물치지앙과 유다유였다.위다유는 왜구로부터 해안을 방어하기 위해 파견된 명나라의 장군이었다.1553년, 제지앙이라는 젊은이가 명나라의 부군사가 되어 "도적들을 처벌하고 백성들을 지키는 일"을 맡았는데, 이는 명나라 동해안을 공격하는 왜구를 상대하는 것을 의미했다.당시 그의 나이는 겨우 26세였다.그 다음 해 전날,[28] 그는 성공으로 인해 저장성 총국장으로 승진했다.

워커우는 심지어 1600년대 말살되기 전에 필리핀에 들어왔다.필리핀 북부 루손에 있는 아파리는 와쿠의 후원 아래 해적 도시 국가로 설립되었습니다.아파리 주변은 1582년 왜구와 스페인 [29][30][31][32]병사 사이에 벌어진 카가얀 전투의 장소였다.Wokou는 Aparri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해적 전령 리마홍은 [33]마닐라를 침공하려다 실패했고 이후 스페인군에 의해 추방되기 전 카볼란(팡가시난)에 임시 해적 국가를 세웠다.

재위 기간 및 지역별[34] 명나라 해적 습격 건수 개산
재위 기간 지역
요동 산동 강남 저장 푸젠 성 광둥성
홍우 (1358년-1398년) 1 7 5 21 3 9 46
지안원 (1399년-1402년) 2 2
용글(1403~1424) 2 8 4 25 1 3 43
홍시(1425) 0
쉬안더 (1426년-1435년) 1 1 1 3
정통(1436년~1449년) 1 10 11
징타이 (1450년-1456년) 1 1
천순(天順, 1457년 ~ 1464년) 0
청화 (1465년-1487년) 1 1 2
홍지 (1488년-1505년) 1 1
정덕(1506년 ~ 1521년) 1 1 2
자징 (1522년 ~ 1566년) 5 207 192 158 39 601
룽칭 (1567년-1572 19 19
완리(1573~1619) 1 5 9 15
746

정체성 논란

Wokou의 공격입니다.14세기 회화

해적들의 민족 구성과 국가 기원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함께, 워커우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몇 가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도쿄 대학의 다케오 다나카 교수는 1966년에 초기 워커우족은 이 외딴 섬에 살았던 한국인이라고 제안했다.조선왕조실록에서 세종대왕 편찬본에는 이순몽(李- (, 한자: 李- 13, 1386~1449)이라는 신하가 자신의 군주에게 "고려 말기에 욱우( country roaming)와 농민들이 그들을 당해낼 수 없었다고 한다.그러나 (진짜) 일본인에 의한 것은 10건 중 1~2건뿐이었다.우리 농민들 중 일부는 일본 옷을 모방해서 그룹을 만들어 말썽을 피웠다.모든 악폐를 막으려면 호패만큼 시급한 것은 없다.[35][36]그러나, 이씨는 고려 시대에 살지 않았고, 확실한 증거가 아닌 소문이나 전설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게다가, 이 대통령의 연설은 국가 안보가 어떻게 악화되고 있고, 어떻게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대통령이 자신의 [37]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신뢰할 수 없는 정보를 사용했을 수도 있다.그러므로 이씨의 주장은 다른 [38]연구자들에 의해 우커우의 원천으로 높이 평가되지 않는다.고려사에는 1223~1392년 529건의 왜구 습격사건이 기록돼 있지만 가짜 일본인에 대해서는 [37]3차례만 언급돼 있지 않다.

현재 지배적인[39] 설은 1988년 초기 무라이 쇼스케의 설이다. 그는 초기 무라이 쇼스케가 단일 [38]민족이 아닌 여러 민족 출신이라는 것을 증명했다.무라이는 워커우족은 조미아 [38]논문과 같은 국가적 충성심 없이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마적 남자"라고 썼다.이 이론의 지지자들은 초기 워커우 지도자 중 한 명인 아지발도가 몽골인, 일본인, 한국인, 그리고 "섬사람"[40]이라고 시대 소식통들에 의해 다양하게 주장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41]그의 이름은 명백히 한국인과 몽골인이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a b c 와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 ^ 배튼 브루스.'일본으로 가는 게이트웨이' 2006
  3. ^ 소관웨이.16세기 동안 명나라에 있었던 일본 해적.미시간 주립 대학 출판부, 1975. 2장
  4. ^ 왕샹룽, "중일관계사 정리" 청일연구 v.2(1980), 31
  5. ^ Sansom, George (1961).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p. 265. ISBN 978-0804705257.
  6. ^ 왕용 교수, "'난쟁이 해적'의 사실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일본인에 대한 명나라 인식의 진화.교수님.조슈아 A.포겔, ed. 현명한 승려와 피에 굶주린 전사들: 명청시대 중국인의 일본관(EastBridge, 2002), 17~41
  7. ^ 더글러스 R 교수하울랜드.중국 문명의 경계: 엠파이어 말기의 지리학과 역사 (Duke University Press Books, 1996), 22페이지
  8. ^ 왕융, 중국 역사 속 일본의 이미지.제6장 제2절노상요손분카교카이, 2000년, ISBN 9784540001710
  9. ^ 고려의 수목 오타 히로키. 원나라의 일본 침략과 관련하여, 페이지 2-20.게이린카이, 1988, NAID 40000975703
  10. ^ 오타, 코키, 와코: 일본풍 카츠도시(분게이샤, 2004), 98페이지(일본어)
  11. ^ 가와조에, 쇼지, 다이카이칸케이노시테키텐카이(분켄슈판, 1996년) 167쪽(일본어).
  12. ^ 요사부로 타케코시일본 문명사의 경제적 측면. 1967. 페이지 344.
  13. ^ a b Park, Seong-rae (2005).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n History: Excursions, Innovations, and Issues. Jain Pub Co. p. 85.
  14.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회, 국사편찬회, 국사편찬회, 국사편찬회.
  15.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16.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17.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18.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19. ^ 氏家,,,対対対対対対
    應永二十六年己亥六月廿日、朝鮮將李從茂率戰艦二百二十七艘、卒一萬七千二百八十五人、到對馬州與良郡淺海浦。州兵拒之海濱不利。朝鮮兵到仁位郡、分道下陸、竟進屯糠獄。貞茂率州兵、到糠嶽下。侵矢石攻之。連戰數日、七月初一日、與左軍朴松戰大破之。朝鮮兵狼狽走海濱乘船、貞茂使海人放火。以燒賊船。齋藤、立石等發兵撃之。賊兵大潰而還。我兵戰死者百二十三人。斬賊二千五百餘級。
  20. ^ 오에이 침략니포니카 백과사전
  21. ^ 양수이밍(杨水明), 웨이백 머신에 보관 2012-04-26(옛 류아오 성: 역사의 물결을 듣다)
  22. ^ 앤서니 리드, "바다에서의 폭력" 로버트 J 앤서니, 편집장, 포착하기 어려운 해적, 만연한 밀수업자홍콩 대학 출판부 18페이지
  23. ^ History of Ming, Volume 322, "Biography Section 210: Japan (3)" (明史 列傳第二百十外國三 日本": Year Jiajing 26 1547) "Generally true Japanese were 3 out of ten, the subornates to the Japanese 7 out of 10 (大抵真倭十之三,從倭者十之七)" (in Chinese)
  24. ^ Wikisource-logo.svg 중국어 Wikisource에는 이 문서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가 있습니다: / 322 (중국어)
  25. ^ Masayoshi, Sugimoto; Swain, David L. (1978). Science and Culture in Traditional Japan (A.D. 600-1854) (The M.I.T. East Asian science series ; 6). Boston: MIT Press. p. 152.
  26. ^ a b Mann, C. C. (2011년)1493: 콜럼버스가 창조한 새로운 세계를 발견한다.고풍스러운.
  27. ^ 소관웨이.16세기 동안 명나라에 있었던 일본 해적.미시간 주립 대학 출판부, 1975. 3장
  28. ^ "Bio General Qi JiGuang". www.plumpub.com.
  29. ^ 필리핀, 인디 제도 종합문서보관소, 파일 29번지, 번치 3번지, 62번지후안 바우티스타 로만이 멕시코 총독에게 보낸 편지, 1582년 6월 25일
  30. ^ 필리핀, 인디 제도 종합문서보관소, 파일 6, 번치 2, 60번지1583년 7월 20일 필리핀 총독이 멕시코 총독에게 보낸 편지
  31. ^ 필리핀, 인디 제도 종합문서보관소 74번지, 번치 1, 24번지필리핀 주교가 스페인 왕에게 보낸 편지, 1583년 1월 18일
  32. ^ [1] 인도제도 총문서보관소, 제도평의회, 339, L.1, F.286V-287R.1583년 6월 14일 멕시코에서 필리핀으로 사람을 보내라는 명령
  33. ^ Kenji, Igawa (2010). Antony, Robert (ed.). at the Crossroads: Limahon and Wako in Sixteenth-Century Philippines, in Elusive Pirates, Persavie Smugglers.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pp. 78–82. ISBN 9789888028115.
  34. ^ 천마오슝(1957년), 명대우커우 가오루(明大ok)[명조시대 왜구의 간단한 역사]베이징(원래 1934년 출판), 히긴스에서 인용(1981년), 페이지 29
  35. ^ 다나카, 다케오, 와코에서 간고보에키까지 (시분도, 1966년) (일본어)
  36. ^ 世宗 114卷 28年 (1446 丙寅) 10月 28日 (壬戌) (in Traditional Chinese). 臣聞前朝之季, 倭寇興行, 民不聊生, 然其間倭人不過一二, 而本國之民, 假著倭服, 成黨作亂.. 救弊之要, 莫切於號牌。
  37. ^ a b P'ar-hyŏn Chang (장팔현), PhD. "Were the Wokou made up mostly of Goryeo and Choson Koreans the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그러나 우리 측 사료인 ‘고려사’에는 단 3건의 가왜(假倭)기록이 있을 뿐이다. 1223년부터 1392년까지 169년간 총 529회의 침입에 겨우 3번의 ‘가왜’ 기록이 있을 뿐인데, 이를 보고 왜구의 주체를 고려인으로 봄은 어불성설이고 침소봉대를 해도 너무 지나치다고 볼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왜구침구 기사가 무려 312건이 나오는데 이 기사 어디에도 조선인이 왜구라는 말은 없다.
  38. ^ a b c 무라이, 쇼스케, 주세와진덴 (이와나미, 1993년) (일본어)
  39. ^ 미타니 히로시Hardacre, ed. 메이지 일본 연구의 새로운 방향.브릴 페이지 295
  40. ^ Tōgō, Takashi; Ueda, Shin, illustr. (2007). Etoki zōhyō ashigaru tachi no tatakai (in Japanese). Kodansha. pp. 48–51. 東郷隆, 上田信 『【絵解き】雑兵足軽たちの戦い』
  41. ^ 바바라 세이요크.'해적과 무역업자''지중해 건너 무역과 이전'에 관한 논문, Otto Harassowitz Verlag, 2005. 페이지 95.

레퍼런스

주요 소스:

  • 하이경 송, 무라이 쇼스케로쇼도 니혼코로쿠 : 조센시세쓰노미타주세이니혼 1987년, 이와나미쇼텐.ISBN 978-4-00-334541-2
  • 저우하이투비안 정뤄후이(鄭oh,)

보조 소스:

  • 복서, C.R. "남중국해의 해적", 히스토리 투데이, XXX, 12(12월), 페이지 40-44.
  • 복서, 찰스 랄프, 페레이라, Galeote, 크루스, 가스파르 da;Rada, 마르틴 드(1953년)은 중국은 16세기에:Galeote 페레이라, 버섯의 이야기.가스파르 다 크루스, OP[그리고]버섯.작품들은 탐험 협회에 인쇄를 해 클루트 사회를 위한(Galeote 페레이라의 보고서와 가스파르 다 크루스의 책의 CR이 박서의 코멘트들에 영어로 번역, 포함한다.)에 의해 발행된 마르틴 드 Rada, O.E.S.A.(1550–1575), 발행 106이다.

Mann, C. C. (2011년)1493: 콜럼버스가 창조한 새로운 세계를 발견한다.빈티지.161-16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