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자팔라 왕조

Kamboja Pala dynasty
10세기 중엽 캄보자팔라 왕조의 지도.

캄보자팔라 왕조고팔라 2세 시대에 팔라족을 침공한 후 CE 10~11세기 벵골 일부 지역을 통치했다. 캄보자팔라 왕조의 마지막 캄보자 지배자는 11세기 초라 왕조의 남인도 황제 라젠드라 초라 1세에게 패배하였다.[1][2][3]

오리진스

BCE의 마지막 세기 동안, 캄보하스의 많은 종족은 사카스, 팔라바스, 야바나와 연합하여 인도에 진출하여 신두, 사우라슈트라, 말와, 라자스탄, 펀자브, 수라세나로 퍼져나갔다.[4][5] 미루트 캄보하스의 한 발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팔라 영토에 진입했고 10세기에 북서 벵갈을 정복했다.[6] 캄보자 부족은 벵골[7] 토착 기병이 부족하여 데바팔라의 정복에 이어 팔라스족에 고용되었다.

벵골의 캄보자 법칙에 관한 고대 자료

벵골에는 캄보자 지배를 증명하는 몇 개의 고대 비문이 있다. 가장 중요한 출처는 다음과 같다.

디나즈포레 기둥 비문

디나즈푸르 기둥 비문캄보야 가우다파티(즉, 가우다의 영주)라고 불리는 캄보자 왕에게 기록된다. 기둥이 새겨진 것은 원래 시바 사원에 세워졌는데, 이 사원은 이슬람 통치 기간 동안 가우다에서 동쪽으로 약 40마일 떨어진 방가르까지 옮겨졌다. 18세기 동안 기둥은 마하라자 람 나스에 의해 디나즈포레로 더 옮겨졌고 그 결과 그 비문은 디나즈포레 기둥 비문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8] 디나즈포레 기둥 비문은 10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

이르다 구리판 (탐라파트라)

이르다 동판(Irda Tamarapatra)은 캄보자팔라 왕조의 또 다른 출처로서 1931년에 발견되었다.[10]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져 있고 고대 벵골어 문자로 49행의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암사 또는 이르다 동판에 언급된 통치자들의 부족 정체성은 캄보자-밤샤-틸라카(즉, 캄보자 가문의 장식 또는 캄보자족의 영광)로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citation needed] 디나즈포레 기둥 비문처럼 이르다 구리판도 10세기 후반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Dr N. G. Majumdar, Dr. R. C. Majumdar). 따라서 학계에서는 디나즈포레 필러 비문의 캄보잔바야 가우다파티와 이르다 구리판 비문의 캄보자바타 파라마슈가타 마하라자디라자드히라자 파라마바타라 라자파라카 라자파라카 등이 같은 캄보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디나즈퍼 필러 비문은 "캄보잔바야 가우다파티"라는 호칭을 가진 캄보자 지배자 한 명을 지칭하는 반면, 이르다 구리판은 벵갈 왕 캄보자팔라 왕들의 세대 이후의 세대들을 언급하고 있다. 라자팔라, 나라야나팔라, 나야팔라 등 이르다 구리판의 캄보자팔라 왕들은 10세기나 11세기에 북서 벵갈을 통치했었다.[11]

마히팔라 1세의 방가르 그랜트

부처보살, 10/11세기: 이르다 구리판의 캄보자.밤샤.틸라카 라자팔라는 파라마사우가타(탈법불교)였으나, 캄보자팔라 왕조의 다른 왕들은 베디크 힌두교였다.

마히팔라 1세의 방가르 헌장은[12] 벵골에서 캄보자 통치의 세 번째 매우 중요한 고대 원천이다. 이 헌장은 마히팔라가 "조상 왕국을 점령한 침략자들을 물리친 " 벵골 북부와 동부의 거의 모든 지역을 다시 정복했다고 주장하고 있다.[13] 비그라하팔라-3의 아암가아치 헌장에서도 같은 구절이 반복되어 왔다. 그러나 " 비문이 누구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다른 증거들은 캄보자 가문에 속한 통치자들이 북쪽과 서쪽 벵갈을 소유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4] 학자들은 마히팔라의 헌장이 감보자 왕조가 고팔라 2세 또는 팔라 왕조의 비그라하팔라 2세로부터 벵골 북부를 점령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마히팔라 1세 대왕이 무력으로[15] 되찾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캄보자 제국의 범위

벵골 캄보자팔라 왕국의 정확한 지리적 지역에 대해서는 확실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이르다 구리판 증거에 따르면 캄보자팔라 왕국은 확실히 캄보자 제국 내에 바라드마나-부크티 만다라(현대 버드만 사단)와 단다브후크티 만다라를 구성했다. 단다브후크티 사단은 발라소르 지구의 수바란레카 강 하류뿐만 아니라 중부 싱가포르 지구의 남부와 남서부 지역을 구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디나즈포레 기둥 비문의 증거는 가우다 왕국이 캄보자팔라 왕국의 일부도 형성했음을 증명한다. 그러나 우리가 캄보자팔라 제국에 북부 라다(Radha 또는 W. Bengal)를 포함하지 않는 한, 이 지역은 하나의 실행 가능한 정치적 실체를 구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라다의 북부 지역도 캄보자팔라 왕국의 일부를 형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R. C. 마금다르 박사는 가우다와 라다 모두 캄보자-팔라 제국의[16] 일부를 형성했다고 말한다 10세기 후반 찬델라 지배자 야쇼바르만이 팔라 왕국을 침공했다 궁정시인 바크파티는 자신이 가우다와 미틸라를 정복했다고 주장한다.[17] 야쇼바르만의 후계자인 제자브후크티의 찬델라 추장 단가( century家)가 10세기 말경 라다를 침공했다고도 명시되어 있다. 그 결과 북쪽 벵골의 캄보자 세력은 심한 충격을 받았다.[18] 이 정치적 시나리오는 팔라 왕 마히팔라 1세가 캄보하스로부터 가우다를 재위임할 수 있게 했다.[19] 캄보하스의 마지막 왕은 다라마팔라(Daramapala)로 11세기 1분기에도 단다브후크티를 계속 통치하였다.[20] 단다브후크티의 캄보자 지배자 다라마팔라는 11세기 벵골과 비하르를 침공한 남인도 황제 라젠드라 초라 1세에게 패배하였다.[21] 캄보자 팔라 왕국의 수도는 프라이앙구라고 알려져 있는데,[22] 일부 학자들은 가베타나에 위치한 핑바니라고 알려진 오래된 마을과 같은 것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23]

벵골의 유명한 캄보자 왕

우리는 캄보자 팔라 가문의 캄보자 지배자 세 명의 이름을 확실히 알고 있다. 라자팔라, 나라야나팔라, 나야팔라. 캄보자 왕 나야팔라(Copper Plate Bright)는 캄보자 왕 나야팔라(Nayapala)에 의해 발행되었으며, 그곳에서 그와 그의 아버지는 파라메세바라, 파라마하타타차랴, 마하라자드히라자와 같은 황실의 칭호를 받는다. 구리판 비문은 캄보자 팔라 왕조의 시조가 라자팔라 왕이었다는 것을 증명하기도 한다. 그는 캄보자밤샤틸라카 파라마사우가타 마하라자드히라자 파라메슈바라 파라마바타라 파라마바타라카-라자팔라라고 일컬어진다. 이것은 이 왕들이 캄보자 씨족에 속했다는 것을 증명한다. 두 번째 왕은 라자야팔라의 아들인 나라야나팔라다. 나라야나팔라는 이르다 구리판의 저자인 동생 나야팔라가 그 뒤를 이었다. R. C. 마금다르 박사는 디나즈포레 기둥 비문의 쿤자르가타바르샨이라는 표현은 쿤자르가타바르샨이 디나즈포레 기둥 비문의 캄보잔바야 가우다파티의 개인 이름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이 캄보잔바야 가우다파티는 벵골 캄보자 왕조의 네 번째로 알려진 캄보자 왕이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디나즈포레 기둥 비문의 캄보잔바야 고다파티가 이르다 구리판의 캄보자바하틸라카 라자팔라와 같다고 믿는다. 이는 이르다 구리판의 라자팔라가 부처(파라마-사우가타)의 신자로 묘사되고 있는 반면, 디나즈포레 필러 비문의 캄보얀바야 가우다파티는 자신의 비문에서 시바 신자라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이 아닌 것 같다. 그러나 나야팔라 왕 역시 이르다 구리판의 사이바이트(시바 신자)를 자처하고 있기 때문에 캄보잔바야 가우다파티가 이르다 구리판의 캄보자 왕 나야팔라와 동일할 가능성도 있다. 캄보자 팔라 왕조의 마지막 알려진 통치자는 11세기 1분기 단다브후크티에서 통치한 다라마팔라 왕으로 알려져 있다.[24]

벵골의 캄보자의 종교

디나즈포레 필러 비문의 캄보잔바야 고다파티는 시바 신전의 건축가라 하여 시바의 신봉자였다. 그는 자선단체의 큰 후원자라고 한다. 이르다 구리판의 제1대 왕인 캄보자밤사틸라카 라자야팔라(Parama-saugata, 부처의 악마)를 가리킨다. 세 번째 통치자인 나라야나팔라 캄보자는 비슈누 신의 신자로 알려져 있다. 이르다 구리판의 저자인 나야팔라 캄보자 왕은 시바 숭배 의식을 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캄보자 지배자 다라마팔라에 대한 정보는 없지만, 그도 역시 베딕 추종자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 같다. 즉, 사이바이트나 비슈누 신자 중 한 사람이다. Irda Copper 판은 힌두교의 신들, 높이 솟아오르는 사원 건물들, 그리고 야냐 화재에서 하늘로 솟아오르는 신성한 담배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이것은 다시 팔라 캄보하스의 힌두교를 암시한다. 이르다 구리판은 또한 푸로히트족, 크리티바야스족, 다르마그야스족, 그리고 다른 신성한 관리들을 특별히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벵골의 캄보자 왕들은 물론 라자팔라 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베디크 힌두교도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동벵골 부르드완 지구의 푸로히트족에게 땅과 마을을 주는 것을 언급한다. R. C. 마금다르 교수에 따르면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벵골의 캄보자, 바르만, 세나 왕들의 토지 보조금에 푸로히트가 포함된 것이다. 이는 모두 정통 힌두교의 추종자였던 이들 왕조의 통치 기간 동안 행정의 종교적, 사회적 측면에 큰 중요성을 부여했음을 보여준다.[25] B.N. Sen 박사는 팔라와 칸드라 통치자 초기의 신자들이 있던 불교는 10세기 동안 아마도 벵골에서 쇠퇴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반면 베다 종교는 성행하고 있었다. 벵골의 캄보자 팔라 왕들은 대부분 베디크 힌두교 신자들이었기 때문에, 벵골에서 강력한 제국을 건설하는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26]

벵골 카스트 제도의 캄보하스

벵골의 고대 카스트 분류에는 북서쪽에서 침략자로 오거나 침략자와 동행한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이 사람들은 벵골의 용감한 카스트 제도에서 멜레차스로 묘사되어 왔다. 고대 산스크리트어팔리어 문자와 비문은 몽골 국이 아닌 인도-이란어 또는 스키토-아리얀에 속한 우타라파타 또는 우디치야 사단의 멜렉차 부족으로서 캄보하스를 풍부하게 증명하고 있다. 캄보하스, 사카스, 후나스, 야바나스, 아브히라스, 하사스, 사바라스, 투루시카스, 수하마스 등 북서부 지방이다. 벵골 사회 내에서 모두 외부인, 외국인 또는 멜레차스로 분류되어 고대 벵골의 카스트 분류 밖에 남겨졌다. [1] 비교: Part-II: VI 고대 벵골 민족: [2].[27]

벵골의 후기 캄보자 통치자에 대한 증거

16세기 후반 벵골의 자간 나트 왕으로 알려진 캄보자 왕을 증명하는 문학적인 증거가 있다. 자간 나스 왕은 브라흐마나 학자인 수라 미쉬라를 후원했다고 한다. 그는 이 캄보자 왕을 기리기 위해 스므리티 그란트인 자가나답라카사를 작곡했다.

아데쉬.캄보야쿨라.바탄사 슈라이 자가나 나타 이티 파르시다.
아카리아드 다르마니반드마야트탐 드라디파야파야에어카블라이엔레셰[28]

이는 벵골 일부 지역의 캄보자 통치가 16세기 후반까지 계속되었을 것임을 보여준다.

참고 항목

참조

  1. ^ 사일렌드라 나트센 281페이지에 의한 고대 인도 역사 및 문명
  2. ^ 케임브리지 인도의 짧은 역사 페이지 145
  3. ^ 서벵골 구 가제터즈: 나드하 p.63
  4. ^ 고대 캄보자, 사람과 나라, 1981년, 페이지 296–309, 310, 닥터 J. L. 캄보지;
  5. ^ cf : "사카스와 함께 캄보하스의 수많은 부족들이 힌두쿠시를 건너 북부 인도 전역으로 특히 펀자브와 우타르프라데시 등으로 퍼져나갔다. 마하바라타(12.102.5)는 특히 캄보하스와 야바나가 마투라 국가를 정복했음을 증명한다. 캄보하스는 사카 마하크샤트라파 라주발라(인도 및 세계 1964 p 154 by Dr. Parkash)가 발행한 마투라 사자성당 비문에도 언급되어 있다.
  6. ^ 고대 캄보자, 사람과 나라, 1981년, 페이지 311, 닥터 J. L. 캄보지
  7. ^ RC 마금다르, 벵골 역사, 1943년, 페이지 133–134
  8. ^ 고대 캄보자, 인민과 나라, 1981년, 페이지 3-4, K. S. 다디
  9. ^ 인도인의 역사와 문화, 카나우즈 제국 시대, 54, 1964, R. C. 마금다르 박사와 A. D. 푸살카 박사
  10. ^ 에피그라피아 인디카, XXII, 1933–34, 페이지 150–158, 박사 N. G. 마금다르
  11. ^ 고대 캄보자, 사람과 나라, 1981년, p 315, p 315, 닥터 J. L 캄보지; 고대 인도, 1956년, p 382-83, 닥터 R. K. 무커지, 2005년, p 208-210, S 키르팔 싱
  12. ^ 비문 제5호
  13. ^
    하타스카라비파샤 상그레 바후다르파드
    아누드히크리트 빌루파탄 라야마사디하 피트람
    니히차란파다모부후부후우탄머딘타스메드
    아바드바니팔라 슈리마팔라데하 11
    (11절, 5번 비문)
  14. ^ 인도인의 역사와 문화, 카나우지 제국 시대, 페이지 55, A. D. 푸살카 박사, R. C. 마금다르 박사 엠파이어를 위한 투쟁, 페이지 24, 닥터 A. D. 푸살카, 닥터 R. C. 마금다르
  15. ^ 참조: Jejakbukti의 칸델라스, 2003, 페이지 48, R.K. Dikshit; 고대 인도, 2003, 페이지 651, 닥터 V. D. 마하얀; 벵골의 역사, I, 133; R. C. 마금다르 박사, 북인도의 왕조 역사, II, 676, H. 레이 박사; 벵골의 비문에 대한 몇 가지 역사적 측면, 페이지 399, B. C. 센; 고대 캄보자, 사람과 나라, 1981년, 페이지 312, 닥터 J. L. 캄보지; 벵골: 과거와 현재, Calcutta History Society의 P 77.
  16. ^ 고대 벵골의 역사, 1971년, p 127, 라메쉬 찬드라 마금다르 박사 - 벵골 박사(인도).
  17. ^ 인도인의 역사와 문화, 제국주의 카나우지 시대, 페이지 85, A. D. 푸살카 박사, R. C. 마금다르 박사
  18. ^ 고대 캄보자, 피플 앤 더 컨트리, 1981년, 페이지 315, 닥터 J. L. 캄보지
  19. ^ 고대 인도, 2003, p 651, 닥터 V.D. 마하얀
  20. ^ 고대 캄보자, 민족과 나라, 1981년, p 315-16, p. L. 캄보지 박사, 마가다 왕국의 쇠퇴, 페이지 413, B. P. 신하; 벵골 비문의 일부 역사적 면, 페이지 379-80, B. C. 센 등
  21. ^ 고대 인도 역사 및 문명 폰 사옌드라 나트 센 281페이지
  22. ^ 벵골 반달학회 제7권, 619호; 인도인의 역사와 문화, 제국령 카나우지 시대, 54권, 1964년, R. C. 마금다르 박사와 A. D. 푸살카 박사
  23. ^ Epigraphia Indiaca, Vol XXIV, 페이지 46, 닥터 J. C. Ghosh; 고대 캄보자, 피플과 컨트리(People and the Country)의 J. L. 캄보지 박사가 인용했다. 1981년, 페이지 334.
  24. ^ Some Historical Aspects of the Inscriptions of Bengal: Pre-Muhammadan Epochs, 1942, p 380, 383, Dr Benoychandra Sen – Bengal (India); Journal of the Varendra Research Museum, Vol.1–4 1972-1975/1976, p 109, Varendra Research Museum – Bangladesh; Ancient Kamboja, People and the Country, 1981, pp 318, 316 etc;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People, The 제황제 카나우지 시대, 54, 1964, R. C. 마금다르 박사와 A. D. 푸살카 박사, 마가다르 왕국의 쇠퇴, 413, B. P. 신하; 벵골의 비문, 379-80, B. C.
  25. ^ (벵골의 역사, 제1권, 페이지 281, 닥터 R. C. 마금다르
  26. ^ B. C. 378-79 페이지 벵골 비문의 역사적 측면
  27. ^ 작가인 안나푸르나 차토파디야는 아마도 북동쪽에서 온 외부 부족 공동체들 중 캄보하스를 포함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그들은 캄보하스와 항상 관련된 수많은 고대 산스크리트어 문헌에서 발견되는 사카스, 야바나스, 후나스, 카사스, 아비라스, 투루크샤카스로 구성된 북서부 부족 공동체에 포함되었어야 했다. 의심의 여지 없이 캄보하스는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푸라나, 그리고 다른 고대 문헌들이 풍부하게 보여주고 있는 처럼 우타라파타에 속한다. 캄보자 위치 참조
  28. ^ (산스크리트 MSS, Vol V, No 1790;, R. L. Mitra, 고대 캄보자, 사람과 나라, p 208, Dr. J. L. Camboj )

외부 링크

  • Chowdhury, AM (2012). "Chandra Dynasty, The". In Islam, Sirajul; Jamal, Ahmed A. (eds.).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Second ed.).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 Chowdhury, AM (2012). "Mahipala I". In Islam, Sirajul; Jamal, Ahmed A. (eds.).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Second ed.).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 Alam, Aksadul (2012). "Trailokyachandra". In Islam, Sirajul; Jamal, Ahmed A. (eds.).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Second ed.).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 Chowdhury, AM (2012). "Pala Dynasty". In Islam, Sirajul; Jamal, Ahmed A. (eds.).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Second ed.).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 Chattopadhyay, Rupendra Kumar (2012). "Dandabhukti". In Islam, Sirajul; Jamal, Ahmed A. (eds.).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Second ed.).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 Bhattacharyya, PK (2012). "Kamata-Koch Behar". In Islam, Sirajul; Jamal, Ahmed A. (eds.).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Second ed.).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