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풍보이 (TV시리즈)
Kampung Boy (TV series)캄풍보이 | |
---|---|
장르. | 코미디 드라마 |
작성자 | 선반 |
테마 음악 작곡가 | 데이브 앤드류, 패리드 알리 |
원산지 | 말레이시아 |
오리지널 언어 | 말레이어(말레이시아 해제) 영어(국제판) |
No. 계절의 | 2 |
No. 에피소드의 | 26 |
생산 | |
생산위치 | 북아메리카, 필리핀 |
러닝타임 | 26분 |
제작사 | 레이스우드 스튜디오 마티네 엔터테인먼트 측정 방송 네트워크 시스템 |
디스트리뷰터 | 이텔 |
해제 | |
원본 네트워크 | 아스트로 리아 아스트로 케리아 |
오리지널 릴리즈 | 1999년 9월 14일 2000년 9월 12일 ( | –
외부 링크 | |
웹사이트 | |
프로덕션 웹 사이트 |
캄풍보이는 말레이시아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로 1997년에 첫 방송되었다.어린 소년 맷의 모험과 캄풍(마을)에서의 삶에 관한 내용이다.이 시리즈는 지역 만화가 래트의 자서전인, 가장 잘 팔리는 그래픽 소설 "The Kampung Boy"를 각색한 것이다.안시상을 수상한 두 시즌과 2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이 시리즈는 캐나다와 독일과 같은 60개국에 배급되기 전에 말레이시아 위성 텔레비전 방송국인 아스트로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이 시리즈는 1999년 9월 14일에 방영되기 시작했고 2000년 9월 12일에 종영되었다.
캄풍보이의 주요 주제는 전통적인 농촌 생활방식과 현대 도시 생활방식의 대비다.이 시리즈는 마을의 생활습관을 건강하고 지적인 어린이의 발달에 재미있고 도움이 되는 환경으로 홍보한다.새로운 가치와 기술이 받아들여지기 전에 한 사회가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현대화 문제를 제기한다.
라트의 애니메이션은 서양의 애니메이션과 유사하고, 현지식 구어 영어와는 다른 것에 대한 동남아시아 관객들의 질문이 제기되었지만, 기술적인 작업과 신선한 콘텐츠로 찬사를 받았다.말레이시아 애니메이션 비평가들은 자국 애니메이터들이 열망해야 할 기준으로 캄풍보이를 내세웠고, 문화학계 학자들은 이 시리즈를 말레이시아 역사를 보존하기 위해 현대 기술과 문화 관행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여겼다.
오리진스
1979년 자전적 그래픽 소설 캄풍 소년이 출간되었다.말레이 소년이 캄풍(마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이야기는 작가인 라트(Lat)를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만화가"[1]로 자리매김하면서 상업적이고 비판적인 성공임이 입증되었다.캄풍 보이의 성공은 라트가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해 다른 매체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자극했다.[1]
The Kampung Boy의 애니메이션 각색을 위한 씨앗은 1993년 Measat Broadcast Network Systems의 설립자인 Lat와 Ananda Crismman의 대화에서 뿌려졌다.[2]1990년대 동안 서구와 일본의 만화가 국내 텔레비전 채널에 넘쳐났고,[3] 라트는 말레이시아와 그 젊은이들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폭력과 농담 때문에 이 영화들을 비난했다.[4][5]젊은 세대들이 정적 흑백 도면보다 컬러풀한 애니메이션을 선호한다는 것을 인식한 라트는 말레이시아 어린이들 사이에서 지역적 가치를 홍보하기 위해 현지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열렬히 원했다.[6][4]크리슈난의 회사가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 라트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 후,[7][8] 만화가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만화를 텔레비전 화면에 적응시키는 계획을 시작했다.[4]
생산
래트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보고 싶은 몇 가지 이야기를 상상한 다음, 해외를 찾아 제작에 도움을 청했다.캐나다 오타와에 있는 레이스우드 스튜디오는 파일럿 에피소드 애니메이션을 담당했다.로스앤젤레스의 월드 스포츠와 엔터테인먼트도 참여했다. 노먼 싱어는 제작을 주관했고 제럴드 트립은 래트가 대본을 쓰는 것을 도왔다.밥독 프로덕션은 또 다른 5개의 에피소드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일을 맡았다.[9]그러나 크리슈만과 라트는 그 결과물을 생산하는데 2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것에 실망했다.[8]그들은 조종사가 "느린 동작"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다.래트는 레이시우드가 그의 의견을 의심의 여지 없이 받아들이면서, 제작 기간 동안 너무 자주 자신을 수용했다고 믿었다.그들은 비록 느린 속도가 정적인 만화 그림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좋은 애니메이션은 종종 "신속하고, 빠르게 움직이고, 액션과 환상으로 가득 차 있다"[10][9][11]는 것을 그에게 알리지 못했다.
1995년 라트와 크리슈만은 마티네 엔터테인먼트를 고용해 프로젝트를 완성했으며, 라트는 마티네 직원들과 긴밀히 협력하기 위해 쿠알라룸푸르와 로스앤젤레스를 왕복 비행하기 시작했다.마티네의 작가들과 애니메이터들로 이루어진 팀에서의 그의 경험은 긍정적이었다; 그들은 레이시우드보다 더 적극적이어서 그의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고 실행 가능한 대본과 스토리보드로 만들었다.[9]프랭크 사퍼스타인 감독이 대본을 다듬으며 최종 편집을 진행했다.[8]그러나 라트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키스하는 등장인물들과 서양 속어의 사용과 같은 몇몇 제안들을 무시하면서 문화 묘사에 관한 최종적인 발언들을 했다. 이는 말레이시아 대중들에게 불쾌한 일이었기 때문이다.그는 또한 미국 예술가들이 말레이시아 카트가 멕시코 카트와 동일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하면서, 불록 카트와 같은 물체의 묘사에 있어 정확성을 강화했다.[9]
이 스토리보드는 필리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마닐라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번역했다.래트는 이번에도 여러 번 필리핀으로 여행을 가서 애니메이터들에게 조언하고 모든 것이 정확하게 묘사되도록 했다.[12]일단 애니메이션이 완성되면 베트남으로 인화물을 보내 처리하게 된다.마침내, 이 영화들은 영어로 된 음성 녹음과 말레이시아 바하사를 위해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크리슈난의 스튜디오로 전달되었다.[10]래트와 마찬가지로, 사퍼스타인은 관련 국가들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며 노력을 조정하고 생산 기준이 떨어지지 않도록 확실히 했다.[13]그의 첫 12회를 위한 사퍼스타인의 노력은 래트가 이 프로젝트를 위해 마티네와 계속 함께 일하도록 설득하기에 충분했다.[8]
전체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4년이 걸렸다.[8] 각 에피소드는 약 35만 달러(약 100만 말레이시아 링깃)의 비용이 들었고, 부분적으로 Measat이 자금을 지원했으며,[11] 제작하는 데 4~5개월이 걸렸다.[14]이 파일럿은 1997년 2월 10일 TV1을 통해 방영되었고, 이 시리즈는 2년 반 후에 아스트로 리아를 통해 방영되기 시작했다.[15]킨더채널(독일)과 텔레툰(캐나다)은 런던 소재 배급사 이텔을 통해 판권을 사들인 뒤 시리즈를 방영했으며,[11] 이 시리즈는 말레이시아에서 첫 방영된 이후 60여 개국에서 방영되고 있다.[16]Measat는 약 10년 후에 투자를 회수할 것으로 예상된다.[11]캄풍보이는 말레이시아에서 유래했지만 제작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이뤄졌다.[17]콘셉트는 현지였지만 애니메이션 측면에서는 해외 연출로 해석할 수 있었다.이로 인해 말레이시아 스튜디오가 애니메이션 작업에 참여하기 위해 고용되었더라면, 말레이시아 산업은 외국의 애니메이션 전문 지식과 방법론을 통해 이익을 얻었을 것이라는 탄식이 나왔다.[18]
성격.
이 시리즈의 주인공은 매트라는 아홉 살짜리 소년인데, 그는 보통 사롱 펠리카트와 하얀색 싱글렛을 입는다.넓은 코, 작은 눈, 지저분한 검은 머리를 뽐내며, 키가 작고 둥근 소년은 어렸을 때 그의 창조자인 라트를 닮았다.[19]맷은 여동생 아나(Ana)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아버지와 어머니 야프(Yap)와 야(Yah)와 함께 집에서 살고 있다.그들의 핵가족 구조는 그 마을에서 지배적이다.야프의 어머니 오파는 그들과 함께 사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집에서 자주 볼 수 있다.[20]마트의 친구인 보와 탁도 자주 등장하는데, 그의 이름은 말레이어 보타크(bald)의 성분이다.[21]두 가지는 전통적인 와양꿀릿(그림자극)의 만화 캐릭터를 본떠서 만들어졌다.[19]보씨는 두 사람 중에서 더 총명하고, 탁씨는 뽐내는 성향이 있다.[11]다른 조연으로는 노마(전 시 출신 소녀)와 휴 부인(매트의 스승)이 있다.[22]
등장인물들의 말레이어와 영어 목소리는 말레이시아 성우들이 더빙했다.아역 배우들은 젊은 배역을 위해 고용되었지만,[10] 마트, 아나, 보, 탁은 20대 초반의 배우들에 의해 목소리를 높였다.[23][24]어떤 배우들은 다양한 역할을 연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성우 감독은 휴 여사와 야후의 역할을 연기하는 책임을 맡고 있었다.처음에, 음성 재능은 영어 버전을 더빙하기 위해 로스앤젤레스에 고용되었지만, 그들은 "자메이카 억양으로 빠져들었다".[10]비록 이 사운드트랙은 시리즈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제작자들은 너무 웃겨서 낭비할 수 없다고 느꼈고, 시리즈가 시작되기 일주일 전에 방송되었던 <[10]캄풍 보이 만들기>에 포함시켰다.[25]
설정
캄풍보이는 1950년대의 삶을 원작으로 한 반면, 애니메이션은 1990년대를 배경으로 했다.[14]풍경과 디테일이 과장되어 있지만, 애니메이션은 말레이시아 마을을 묘사하고 주민들의 삶을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다.[26]우니시 세인스 말레이시아 통신학교의 로하니 하심 박사는 이 시리즈를 "농촌 말레이 유년기의 상세한 오락"이라고 불렀다.[27]마트의 마을 배치와 주택 양식은 말레이시아 페라크의 시골 지역에 있는 마을 사람들이 강을 끼고 있어 마을 사람들의 필요에 따라 물을 공급한다.아이들은 주변의 정글에서 놀고, 어른들은 들에서 일하며 도시로 통근한다.[28]
극동 경제 리뷰 저널리스트 S에 따르면, 사퍼스타인은 시리즈에서 따뜻하고 부드러운 색상의 사용을 감독했다; 이 색 구성표는 "부드럽고 껴안고 싶은 느낌"을 주는 [10]Winnie the Pooh의 그것 이후에 모델링되었다.자야산카란, 애니메이션에.[8]이 쇼의 많은 비주얼은 라트의 예술 스타일을 따랐다.윤곽은 대담하게 그려지며, 배경에서 물체를 돋보이게 하며, 특히 갈색, 녹색 및 노란색을 주된 색상으로 많이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효과.마지막 두 가지 색깔은 자연을 묘사하는 데 많이 사용되어 서로 잘 대비되고 배경과 중간지대를 구분한다.집의 주된 색상이 되는 것 외에도, 갈색은 등장인물들의 피부 톤으로 사용된다."짧고 둥근 모양"로 그려진, Mat과 그의 동료 Malays는 밝은 색상으로 강조된다.[19]
테마 및 표식
캄풍보이의 에피소드는 할리우드 만화를 연상시키는 구조를 따르고 있다.각 에피소드마다 두 이야기의 장면으로 프로그램이 전환되면서 테마가 서로 얽혀 있는 두 개의 분리된 이야기가 담겨 있다.에피소드가 끝날 때쯤이면 두 개의 실이 공통된 생각으로 해결된다.일반적으로 한 이야기는 캄풍아이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다른 한 이야기는 어른들에게 초점을 맞춘다.[29]캄풍보이의 창작자들은 서양과 일본 만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이디어를 베끼는 것을 삼갔다.1990년대 이후 제작된 다른 말레이시아 애니메이션들은 현지인들에게 친숙한 이미지와 주제를 그리는데 꼼꼼하게 충실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상위라의 주인공(1996)은 도라에몽과 현저하게 닮았고, 응갓단 타보(2002)의 곰과 벌은 톰과 제리의 그것과 비슷한 익살스러운 행동을 한다.라트가 이 프로젝트에 깊이 관여하면서 말레이시아 문화에 대한 묘사가 충실해졌다.[17]애니메이션 속 캄풍라이프는 초자연적인 미신(폰티아낙이나 여성 흡혈귀), 코코넛을 따기 위해 훈련된 원숭이, 시골에서 도시생활로 이행하면서 잊혀지는 전통 등 '진정한 푸른 말레이시아 요소'가 특징이다.[10][30]
이 만화 시리즈는 등장인물들의 활동, 특히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디어를 탐구한다.[21]로하니는 이 쇼의 장르를 코미디 드라마로 분류했다.[1]그녀에 따르면 캄풍보이의 주요 테마는 향수로써, 시골의 어린 시절을 도시환경에서 자라나는 것보다 훨씬 더 흥미롭고 창의적인 경험으로 묘사하려는 라트의 의도를 담고 있다고 한다.[26]몇몇 에피소드는 캄풍 생활 방식을 옹호한다."앤타라 재규어와 라칸" ("챔피언 혹은 친구들 사이")에서 매트와 그의 친구들은 마을에서 열심히 일하면서 생긴 그들의 강인함 때문에 도시 축구 팀을 패배시킨다."SiMat Mansia Pintar" ("Smart Like a Flying Fox")는 캄퐁의 오염되지 않은 환경이 더 건강하고 더 똑똑한 아이의 양육을 촉진한다고 시사한다.노마는 "매트 메인 와양" ("그림자는 안다")에서 도시에서 도착하며, 비록 처음에는 캄퐁을 경멸하지만, 그녀는 그녀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부드러움에 사로잡힌다.[31]
현대 기술과 태도가 이러한 목가적인 캄풍 생활 방식에 침입한 것도 이 시리즈의 주요 주제다.[21]몇몇 에피소드들은 도시 생활과 관련된 전기 제품들과 아이디어들을 마을 사람들에게 소개한다.[8][10]예를 들어 자동차의 편리성 대 전통적인 불럭카트 사용의 편의성은 「Naik Keretaku」("아빠의 운전 시험")의 등장인물들에 의해 논의되고 있다.캄풍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 쇼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현대 생활의 측면도 긍정적인 시각으로 묘사하고 있다.노파인 오파는 밴을 운전하고 텔레비전을 고치는 데 능숙하고 능력 있는 현대 여성으로 묘사된다.[32]이 도시는 '나이크 케레타쿠'[33]에서 마트와 중국인 소년의 만남과 우정 형성에서 알 수 있듯이 말레이시아 시골 마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문화와 사상의 관문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시리즈는 또한 1950년대에서 1990년대에 일어났던 말레이시아 농촌 사회의 변화를 탐구한다.예를 들어, 플래시를 통해, "야, 카힌칸 카미!" ("Gone With Kahwin")는 도시 거주자들에 의해 더 이상 행해지지 않는 전통적인 결혼 풍습을 보여준다.가족 관계는 농촌 사회에서 강한 것으로 보인다.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 깊은 관심과 관심을 보인다.반대로 도시 생활에 몰두한 사람들은 공동체의 유대감을 잃어버린 것으로 묘사된다.마트의 가족은 말레이 가부장 사회의 규칙을 따르는 것으로 그려지지만, 현대적 가치는 그 묘사 속에 있다.야압은 아이 양육의 책임을 모두 야에게 맡기지 않고, 아나가 마트를 보살피는 동안 그가 아나를 돌본다.비록 이 시리즈는 여성 캐릭터들을 주부로서 제시하지만, 말레이 여성의 전통적인 가족 역할이 남자의 역할만큼이나 평등하고 가치 있다는 것을 "Nasib Si Gadis Desa" ("It's a Girl's Life")에서 강조하고 있다.이 에피소드에는 우주탐사, 과학 등 경력단절 여성들의 업적도 언급된다.[34]
전반적으로 로하니는 라트의 만화 시리즈가 "빠르게 말레이 전통과 순수함을 사라지게 한다"는 이야기를 미묘하게 녹화하고 있다며 시청자들에게 주변의 사회적 변화를 고려해 보라고 조언했다.[27]그녀에 따르면, 만화가의 관심사는 관객들이 도시화의 속도를 고려하도록 영감을 주고 새로운 가치의 채택이나 거부가 자신들에 의한 일반적인 결정임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었다.[35]이 쇼는, 그녀의 생각으로는, 사회에 도움이 될 경우에만 변화를 주의 깊게 검토하고 채택해야 한다고 제안한다.나아가 새로운 사상과 문화의 채택은 점진적인 과정이 되어야 하며, 사회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36]
리셉션, 레거시 및 성과
캄풍 소년은 1999년 프랑스에서 열린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 출품되었다.이 영화의 에피소드 중 하나인 "오, 톡!"은 13분 이상의 텔레비전 시리즈로 최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37]이 에피소드는 마트의 공포의 대상이 된 으스스한 반얀 나무에 관한 것이었다.[8]애니메이션의 현지 콘텐츠와 캄풍 라이프스타일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매력 때문에 말레이시아 만화학자 물리아디 마하무드는 자국 내 캄풍 보이의 성공을 기대했다.[21]
이 26부작 시리즈는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있었고 기술적인 세부사항과 내용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8][39]그것은 또한 미국의 만화 시리즈인 심슨과 유사하다는 비판을 불러 일으켰다; 관객들은 매트의 말레이시아 가족이 바트 심슨의 장애가 있는 미국 가정과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는 것을 알아챘다.비슷하게, 일부 비평가들은 캄풍보이에서 사용되는 영어가 영국 영어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말레이시아 영어와 실질적으로 다르다고 지적했다;[19][11] Daryl Goh 기자는 영어 목소리에 미국 억양을 감지했다.라트는 제작자들이 이 시리즈를 더 넓은 전 세계 관객들에게 마케팅하기 위해 "말레이 전통 관습, 현지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줄여야 했다고 설명했다.Rohani는 이 결정이 "유감스럽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이 애니메이션을 말레이 정통 제품보다 덜 만들었다.[19]
이 애니메이션은 본드대 인문사회과학대학의 파울레트 델리오스 박사가 문화 예술작품으로 간주한 것으로, 한 나라의 옛 생활 방식을 일깨우고 보존하며, 국제팀이 만들어 제작하고, 현대 기술을 통해 전 세계에 전시한 것이다.[40]로하니에 따르면 캄풍보이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농촌사회가 경험한 말레이 전통과 변천에 대한 기록이었다.[36]현지 설정을 사용한 몇몇 말레이시아 애니메이션들 중에서, 라트의 시리즈는 베테랑 영화감독 하산 압둘 무탈립의 관점으로 그 나라의 문화와 전통을 가장 잘 묘사하고 있다. 하산은 또한 시리즈 해외 마케팅의 성공이 캄풍 보이를 말레이시아 애니메이션 산업의 벤치마크로 만들었다고 말했다.[18]
참조
- ^ a b c 로하니 2005, 페이지 390.
- ^ 2001년 9월호 153~154호.
- ^ 2008년 12월 32일.
- ^ a b c 물리아디 2001, 페이지 146.
- ^ 불건전한 요소 2004.
- ^ 교차점: Datuk Lat 2003, 39:35–40:07, 41:09–41:41:41.
- ^ 캠벨 2007.
- ^ a b c d e f g h 자야산카란 1999 페이지 36.
- ^ a b c d 2001 페이지 154.
- ^ a b c d e f 고 1999.
- ^ 하산 2007년, 페이지 296.
- ^ 드못 2004.
- ^ a b 래트 카툰 시리즈 1996.
- ^ 물리아디 2001, 페이지 145.
- ^ 세네비라트네 2002.
- ^ a b 하산 2007, 페이지 292.
- ^ a b 하산 2007, 페이지 293.
- ^ a b c d e Rohani 2005 페이지 391.
- ^ Rohani 2005, 페이지 397.
- ^ a b c d 물리아디 2001, 페이지 147.
- ^ Rohani 2005, 페이지 391–392.
- ^ 할리자로2000번길
- ^ 찬드란 2005.
- ^ 할리자 1999a.
- ^ a b Rohani 2005, 페이지 392.
- ^ a b Rohani 2005, 페이지 389.
- ^ Rohani 2005, 페이지 392–394, 396, 398.
- ^ 하산 2007, 페이지 292–293.
- ^ Rohani 2005 페이지 396.
- ^ Rohani 2005, 페이지 394–395.
- ^ Rohani 2005, 페이지 393–394.
- ^ Rohani 2005 페이지 394.
- ^ Rohani 2005, 페이지 396–397.
- ^ 로하니 2005, 페이지 395.
- ^ a b 로하니 2005, 페이지 398.
- ^ 할리자 1999b.
- ^ 뮬리야디 2001, 페이지 147–148.
- ^ 2007년 만화가 이상, 페이지 257.
- ^ 델리오스 2000, 페이지 1
참고 문헌 목록
인터뷰/자체 의심
- Campbell, Eddie; Lat (subject) (15 January 2007). "Campbell Interviews Lat: Part 3". First Hand Books—Doodles and Dailies. New York, United States: First Second Boo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08. Retrieved 13 March 2010.
- Lat (2001). "Vignette: Notes of a Cartoonist Temporarily Turned Animator". In Lent, John (ed.). Animation in Asia and the Pacific. Indiana, United States: Indiana University Press. pp. 153–154. ISBN 0-253-34035-7.
학계 소식통
- Dellios, Paulette (2000). "Museums in the Global Kampung: Mixed Messages". Culture Mandala: The Bulletin of the Centre for East-West Cultural and Economic Studies. Queensland, Australia: Bond University. 4 (1): 1–8. ISSN 1322-6916. Retrieved 10 March 2010.
- Lent, John (2008). "Asian Animation and Its Search for National Identity and Global Markets 1". ASIFA Magazine: The International Animation Journal. Vol. 21, no. 1. Hertfordshire, United Kingdom: John Libbey Publishing. pp. 31–41.
- Muliyadi Mahamood (2001). "The History of Malaysian Animated Cartoons". In Lent, John (ed.). Animation in Asia and the Pacific. Indiana, United States: Indiana University Press. pp. 131–152. ISBN 0-253-34035-7.
- Rohani Hashim (2005). "Lat's Kampong Boy: Rural Malays in Tradition and Transition". In Palmer, Edwina (ed.). Asian Futures, Asian Traditions. Kent, United Kingdom: Global Oriental. pp. 389–400. ISBN 1-901903-16-8.
- Hassan Abdullah Muthalib (June 2007). "From Mousedeer to Mouse: Malaysian Animation at the Crossroads". Inter-Asia Cultural Studies: Southeast Asian Cinema. Hong Kong: Dow Jones & Company. 8 (2): 288–297. doi:10.1080/14649370701238755. ISSN 1464-9373. S2CID 54991062. IDNumber: 512199.
저널리즘 출처
- Chandran, Sheela (10 July 2005). "Smile with Shiera". The Star. Selangor, Malaysia: Star Publicat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0. Retrieved 19 August 2010.
- Crossings: Datuk Lat (Television production). Singapore: Discovery Networks Asia. 21 September 2003.
- DeMott, Rick (9 November 2004). "Nick Asia To Air Annecy Winning Kampung Boy". AWN.com. Los Angeles, United States: Animation World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ugust 2010. Retrieved 16 July 2010.
- Goh, Daryl (27 August 1999). "Lat's of Village People". The Star. Selangor, Malaysia: Star Publicat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05. Retrieved 26 August 2010.
- Haliza Ahmad (19 August 1999a). "'Kampung Boy' Arrives". The Malay Mail. Kuala Lumpur, Malaysia: New Straits Times Press. p. 11. ProQuest 326156898.
- Haliza Ahmad (24 December 1999b). "Annecy Awards '99 for Lat's Kampung Boy". The Malay Mail. Kuala Lumpur, Malaysia: New Straits Times Press. p. 15. ProQuest 326120280.
- Haliza Ahmad (24 July 2000). "Voices Behind Kampung Boy Characters". The Malay Mail. Kuala Lumpur, Malaysia: New Straits Times Press. p. 23. ProQuest 326158346.
- Jayasankaran, S (22 July 1999). "Going Global". Far Eastern Economic Review. Hong Kong: Dow Jones & Company. 162 (29): 35–36. ISSN 0014-7591. ProQuest 208233691.
- Manavalan, Theresa (4 July 1999). "Kampung Boy Hits Big Time". New Sunday Times. Kuala Lumpur, Malaysia: New Straits Times Press. p. 10. ProQuest 266437109.
- "Lat Cartoon Series to Debut on Astro TV". New Straits Times. Kuala Lumpur, Malaysia: New Straits Times Press. 26 November 1996. p. 9. ProQuest 269096934.
- "More than a Cartoonist". Annual Business Economic and Political Review: Malaysia. Kuala Lumpur, Malaysia: Oxford Business Group. 2 (Emerging Malaysia 2007): 257–258. January 2007. ISSN 1755-232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11. Retrieved 4 December 2010.
- Seneviratne, Kalinga (12 December 2002). "Asia's Animation Industry Spreads Its Wings". Asia Times Online. Hong Kong. Inter Press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04. Retrieved 19 August 2010.
{{cite news}}
: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 "'Unhealthy' Elements Invading Local Cartoon Industry, Says Lat". Financial Times. Kuala Lumpur: Financial Times Group. Bernama. 7 February 2004. p. 1. ProQuest 447834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