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세나어
Kasena language카세나 | |
---|---|
지역 | 가나 부르키나파소 |
민족성 | 카세나 |
원어민 | (25만 명 1998-2004년 인용)[1] |
라틴어, 골세 | |
언어코드 | |
ISO 639-3 | xsm |
글로톨로그 | kase1253 |
![]() 가나와 부르키나파소에 카세나족이 살고 있는 지역 |
카세나어(Kassena) 또는 카세나어(Kassena)는 카세나족의 언어로, 가나 북부의 동부 지역과 부르키나파소에서 사용되는 구르어족 언어입니다.
맞춤법
2021년 여름 부르키나베 앱 개발자인 위니트 아푸(Wenitte Apiou), 바바귀우에 미카렘 아쿠아부(Babaguioue Micareme Akouabou), 카셈 언어학자 페르낭 키(Fernand Ki)가 카세나 건축에서 발견되는 기하학적 패턴을 바탕으로 고안한 독립적인 30자 알파벳인 골세 알파벳(Goulsse alphabetes, 무레의 "글"알파벳은 관련된 무어 언어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습니다.[2]
음운론
톤
카세나는 높은 음, 중간 수준의 음, 낮은 음의 세 가지 음을 가지고 있습니다.성조 변화는 단어의 어휘적 의미나 문법적 기능을 변화시킵니다.[3]
어휘
A
„I“
á
„당신(PL)"
문법적
우
부정
우
퓨처
문법.
명사형 체계
카세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명사는 다섯 부류가 있습니다.이 클래스는 문법적 성별에 해당하며 단수 명사는 5개의 클래스가 있고 복수 명사는 5개의 클래스가 있을 정도로 개수 면에서 차별화되어 있습니다.[3]
성별 | SG | PL | 광택 |
---|---|---|---|
1 | 부 | bi | 아이들/아이들 |
2 | b ɪ의 | b ɪ나 | 연도(들) |
3 | 나가 | n | 발/발 |
4 | 피우 | 푸에루 | 유지(들) |
5 | b | b ʊm | 염소(들) |
대명사
인칭대명사/소유대명사
인칭대명사에는 두 부류가 있습니다.한 계급은 인간을 가리키는 반면, 다른 계급은 인간이 아닌 실체를 가리키는 것입니다.인칭대명사는 소유대명사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Kasena에는 소유대명사에 대한 특별한 형태가 없습니다.
인칭대명사
사람인 | SG | PL | 광택 |
---|---|---|---|
첫 번째 | A | 디 | 나/우리 |
두번째 | N | á | 너/너 |
3번째 | O | 바 | 그/그/그/그/그/그들 |
비인간 인칭 대명사
학급 | SG | PL |
---|---|---|
I | O | 바 |
Ⅱ | 라 | 야 |
III | 카 | ㅅ |
IV | K | T |
V | K | 라 |
강세 대명사
사람인 | SG | PL | 광택 |
---|---|---|---|
첫 번째 | 암 | dcbam | 나/우리 |
두번째 | nm의 | 쾅하는 소리 | 너/너 |
3번째 | w ʊm/w ʊntu | 쾅! | 그/그녀/그/그/그/그들 |
상호대명사
호혜성은 대명사 단 ɪ로 표현되며, 접두사나 접미사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바
3PL
그래서
맘에 들다
ɪ 같은 소리
각개의
„그들은 서로를 좋아합니다."
반사대명사
반사성은 t ɪ트 ɪ 또는 kat ɪ('-self') 중 하나가 더해진 인칭 대명사로 표현됩니다.
O
3SG
c ɔg
파괴하다
o
3SG
t ɪ t ɪ
자신
„그는 스스로를 파멸시킵니다."
상대 대명사
관계대명사는 접미사 -l ʊ가 붙은 비인간 개체의 인칭대명사를 기반으로 형성됩니다.
학급 | SG | PL |
---|---|---|
I | ʊ의 | 발 |
Ⅱ | ɪ의 | 얄의 |
III | 칼의 | ɪ의 |
IV | k ʊ | ɪ의 |
V | k ʊ | ɪ의 |
부정대명사[3]
학급 | 번호 | 어떤 | 몇개 | 조금도 |
---|---|---|---|---|
I | SG | ʊ하다 | --- | w ʊ ʊ w ʊ |
I | PL | 나쁜 | 바다아라 | 발 ʊ 발 |
Ⅱ | SG | ɪ 하다 | --- | d ɪ ɪ d ʊ |
Ⅱ | PL | 야돈 | 야다아라 | yal ʊ yal |
III | SG | 카도 | --- | 칼 ʊ 칼 |
III | PL | ɪ의 | ɪ다아라 | ɪ ʊ ɪ |
IV | SG | 쿠도 | --- | k ʊ ʊ k ʊ |
IV | PL | t ɪ돈이 없는 | ɪ다아라 | t ɪ ʊ t ɪ |
V | SG | 쿠도 | --- | k ʊ ʊ k ʊ |
V | PL | ɪ돈이 없는 | ɪ다아라 | d ɪ ɪ d ʊ |
지시대명사[3]
학급 | SG | 광택 | PL | 광택 |
---|---|---|---|---|
I | 우투타의 | 이것/ 저것 | 반투를 | 이것들/ 저것들 |
Ⅱ | d ɪntu | 이것/ 저것 | 옌투 | 이것들/ 저것들 |
III | 칸투 | 이것/ 저것 | ɪ누 | 이것들/ 저것들 |
IV | 쿤투 | 이것/ 저것 | t ɪntu | 이것들/ 저것들 |
V | 쿤투 | 이것/ 저것 | d ɪntu | 이것들/ 저것들 |
의문대명사[3]
학급 | SG who, what, who, which | PL who, what, who, which | 얼마예요 |
---|---|---|---|
I | w | 브래지어 | 바그라 |
Ⅱ | 라 | y | 야그라 |
III | k | s | ɪ그라 |
IV | k | t | t ɪ그라 |
V | k | 라 | d ɪ그라 |
구문
어순
카세나어에는 기본적인 SVO 어순이 있습니다.
에이다
에이다
디딤
어제,
ŋ에게
일을 PFV보다
„에이다는 어제 일을 했습니다."
참고문헌
- ^ Kasena at Ethnologue (2015년 18일) (구독 필요)
- ^ Brookes, Tim (August 23, 2022). "The Vanderbilt-Burkina Faso Connection". Endangered Alphabets. Retrieved January 30, 2023.
- ^ a b c d e f g h Niggli, Urs; Niggli, Idda (2008). Grammaire élémentaire du kasim. Burkina Faso: Société Internationale de Linguistique.
- ^ "The VP-periphery in Mabia languages Kasem". The VP-periphery in Mabia languages. Retrieved 2023-02-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