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서린 미첼
Katharyne Mitchell캐서린 미첼(Katharyne Mitchell, 1961년 2월 20일생)은 미국의 지리학자로서 현재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사회과학 학장을 맡고 있다.[1]
배경
미첼은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자랐고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미술과 고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그녀는 앨런 프레드의 지시로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지리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미첼은 이전에 워싱턴 대학교 지리학 교수였으며, 2004년부터 2007년까지 공공 인문학의 심슨 교수로 취임했다.[2]그녀는 성에서 초빙 교수였다. 2000-2001년 옥스퍼드 대학의 캐서린 대학과 허트포드 대학.
장학금
구겐하임과[3] 브로처 재단[4] 펠로우쉽의 수혜자인 미첼의 연구는 이주, 시민권, 비판적 인종 이론, 초국가주의, 도시 정치 지리학, 비판적 인도주의 연구, 교육, 종교의 지역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있다.그녀의 현재 연구는 유럽의 현재 난민 상황의 맥락에서 이주, 믿음, 성소의 공간을 조사한다.[5]그녀는 또한 보노의 ONE 캠페인에 관한 출판물을 포함하여, 늦은 신자유주의의 맥락에서 유명인 인도주의와 박애주의에 대해 글을 썼다.[6]
미첼이 2004년에 쓴 책 "신올리베리아 선을 넘다: 태평양 연안 이주와 메트로폴리스"는 "도시 및 초국가적 연구에 중요한 공헌"으로 간주된다.[7]2008년 편집된 책인 '공공의 장학금 실천: 아카데미 너머의 경험과 가능성'은 테리 이글턴, 하워드 진, 도린 매시, 마이클 부라웨이, 돈 미첼과 같은 학자들의 작품을 한데 모아 '공공의 지식인이란 것이 진정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최고의 책 중 하나'[9]로 불려왔다.[8]
주요 개념
- 초국가주의 – 그녀의 경력 내내, 미첼은 초국가적인 과정과 담론에 대한 지리적인 이해를 발전시켰다.그녀의 초국가주의 이론은 자본주의의 세계적 과정을 국경을 초월한 움직임과 혼합된 공간과 함께 볼 것을 요구한다.미첼의 초기 연구는 밴쿠버의 초국가적 이주와 도시 변화에 대한 공간 민족학에서 이 이론을 발전시킨다."혁신적"과 "자연적으로 부유한"으로 불리는 [10]이 인종학은 밴쿠버와 같은 태평양 연안 도시로 이주하는 중국인들의 관행이 "시민권", "가정" 그리고 "문화적 차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을 어떻게 복잡하게 만들어 왔는지를 보여주었다.[11]미첼은 초국가주의의 영역을 이해하는 것이 신자유주의 정책과 실천의 상승을 파악하는 데 결정적이라고 보여준다.더 최근에, 미첼의 연구는 교회 망명 및 유럽의 이주민과 난민들을 위한 성소의 공간이라는 맥락에서 초국가주의를 탐구해왔다.그녀는 또한 국경과 영토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도전되고 재정의되는 초국가적 토폴로지 개념을 발전시켰다.[12]
- 디아스포라 – 미첼은 디아스포라(diaspora)가 반드시 정치적으로 진보적인 의제와 동일시된다는 가정을 비판해 왔다.그녀는 문화 연구 내에서 어떻게 디아스포라가 혼성, 무한성과 같은 관련 개념과 함께 전복적인 제3의 공간으로 기념되어 왔는지를 보여준다.그러나 헤게모니 규범에 대한 언어적, 문화적 붕괴로서 디아스포라에 집중하는 것은 디아스포라 및 기타 한계주체적 주체가 자본 축적을 목적으로 전략적으로 사용되어 온 방식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미첼은 주장한다.미첼은 디아스포릭을 잠재적인 저항의 장소로 유지하면서도, 그러한 제3의 공간에 대한 무비판적인 확언에 대해 주의를 기울인다.[13]
- 다문화주의 – Mitchell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설명은 후자를 자유주의적 개념이자 정치적 저항의 잠재적 현장으로 간주한다.한편, 미첼은 자유주의 국가를 둘러싼 더 큰 정책과 담론의 일환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캐나다와 미국과 영국에서 다문화 시민권과 다문화 교육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보여주었다.밴쿠버와 같은 곳에서는 다문화의 교리가 인종적 마찰을 부드럽게 하고 자본주의 발전과 다양한 형태의 지배에 대한 저항을 제압하려고 시도해왔다.[14]그러나, 특히 교육에 관한 그녀의 연구에서, 미첼은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관행이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적, 디지털적, 문화적, 경제적 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보여주었다.[15]예를 들어, 캐나다에서 다문화에 대한 국가적 실험은 주 차원의 신자유주의 행위자들에 의해 점점 더 실패로 여겨지고 있다.세계화의 정치 경제적 맥락에서 볼 때, 미첼은 오늘날 다문화와의 교류가 현실 세계 관행에 기초한다면 잠재적으로 진보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미첼은 다문화교육의 전략에 대한 그녀의 실험에서 이것을 증명했다.학교 아이들에게 지도 제작 기술을 가르치면서, 그녀는 그들이 공간적 부정의 형태에 도전할 수 있고, 존재, 행동, 그리고 아는 다른 다문화적인 방법들을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6]
선택한 게시물
![]() |
- 2019. 주요 이주 지역 안내서(Rece Jones 및 Jennifer Fluri와 공동 편집).런던:에드워드 엘가 프레스.
- 2018. 일꾼 만들기: 교육의 급진적 지역.런던: 명왕성 프레스.
- 2017. 자유, 신앙, 인도주의적 통치: 유럽 교회 망명지의 공간 정치.Space and Polity 21(3): 269-288.
- 2016. New Washington Consensus: 밀레니얼 자선사업과 글로벌 시장 주제 만들기(Making of Global Market Tubjects) (Matthew Sparke와 단독으로)Antiode 48(3): 724–749.
- 2015년. 이제 시간이다:H. 메릴과 L.의 현 위험 순간에서의 기억의 문화 정치호프만 (eds)위험 공간: 문화 파워 인 더 에브리데이, 조지아 대학교 출판부, 21-37.
- 2014. 풀뿌리와 선물: 도덕 권위, 미국 자선단체, 교육에서의 활동주의(Chris Lizotte와 공동으로)푸코 연구 18, 66-89
- 2013. 세대간 매핑과 기억의 문화정치(Sarah Elwood와 단독으로).Space and Polity 17(1) : 33–52.
- 2012. 어린이 정치 지도 제작:발음 약속과 비표현 이론의 한계 (사라 엘우드와 단독으로)환경과 계획 D: 사회와 공간 30(5): 788–804.
- 2011. 마르세유의 불타기: 프랑스 두 도시의 통합과 배제의 비교 네트워크미국 지리학자 협회 연보:404–423.
- 2010. 비지배적 공간: 글로벌 보안과 깨진 창의 지정학정치 지리 29(5): 289–297.
- 2009년. 프리블랙 퓨처스.Antiode 41(s1): 239–261.
- 2008. 공적 장학금 실천: 아카데미 이상의 경험과 가능성 (편집자)옥스퍼드: 블랙웰 출판사.
- 2007. 정체성의 지역: 친밀한 코스모폴리탄.인문 지리 31(5): 706–720.
- 2006. 유럽연합의 신자유주의 정부성: 교육, 훈련, 그리고 시민권의 기술.환경과 계획 D: 사회와 공간. 24(3): 389–407.
- 2005. 베일링, 세속주의 및 신자유주의 주제:터키와 프랑스의 국가 내러티브와 수프란틱 욕망(Banu Gokarikel과 단독으로).글로벌 네트워크 5, 2: 147-165.
- 2004. 네올리베랄선 건너기: 태평양 연안 이주와 메트로폴리스.필라델피아:템플 대학 출판부.
- 2004. 생명의 일: 사회 재생산의 지역(샐리 마스턴, 신디 카츠와 공동 편집).옥스퍼드: 블랙웰 출판사.
- 2003. 정치지리학 동반 가이드(존 A와 공동편집) 애그뉴와 제라드 툴).옥스퍼드: 블랙웰 출판사.
- 2001. 초국가주의, 신자유주의, 그림자국가의 부상.경제사회 30(2): 165–189.
- 1997. 초국가적 담론: 지리를 다시 들여온다.안티코드 29(2): 101–114.
- 1993. 다문화주의, 아니면 자본주의의 통일색?안티코드 25(4): 263–294.
참조
- ^ "Social Sciences Dean Katharyne Mitchell steps in to leadership, asks others to step up, too".
- ^ "Public Scholarship Archive - Simpson Center for the Humanities". simpsoncenter.org.
- ^ "John Simon Guggenheim Foundation Katharyne Mitchell".
- ^ "Fondation Brocher - Katharyne Mitchell". www.brocher.ch.
- ^ "European migrant crisis influenced by faith groups pursuing 'alternative justice'".
- ^ Mitchell, Katharyne (July 2016). "Celebrity humanitarianism, transnational emotion and the rise of neoliberal citizenship". Global Networks. 16 (3): 288–306. doi:10.1111/glob.12114.
- ^ "Katharyne Mitchell: Crossing the Neoliberal Line - Print". www.temple.edu.
- ^ "Book Review: For Contributors to This Collection, "Public" Is the Defining Identity – JCES". jces.ua.edu.
- ^ "Practising Public Scholarship: Experiences and Possibilities Beyond the Academy". Wiley.com. 27 October 2008.
- ^ "Katharyne Mitchell: Crossing the Neoliberal Line". www.temple.edu.
- ^ Waters, Johanna L. (1 March 2006). "Crossing the Neoliberal Line: Pacific Rim Migration and the Metropoli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6 (1): 212–214. doi:10.1111/j.1467-8306.2006.00510_6.x. S2CID 128608391.
- ^ Mitchell, Katharyne; Kallio, Kirsi Pauliina (2 January 2017). "Spaces of the Geosocial: Exploring Transnational Topologies". Geopolitics. 22 (1): 1–14. doi:10.1080/14650045.2016.1226809.
- ^ Mitchell, Katharyne (October 1997). "Different Diasporas and the Hype of Hybridity".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15 (5): 533–553. CiteSeerX 10.1.1.496.4652. doi:10.1068/d150533. S2CID 144917376.
- ^ Mitchell, Katharyne (October 1993). "Multiculturalism, or the united colors of capitalism?". Antipode. 25 (4): 263–294. doi:10.1111/j.1467-8330.1993.tb00220.x.
- ^ Mitchell, Katharyne (26 December 2017). "Educating the National Citizen in Neoliberal Times: From the Multicultural Self to the Strategic Cosmopolitan".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28 (4): 387–403. doi:10.1111/j.0020-2754.2003.00100.x. JSTOR 3804388.
- ^ Mitchell, Katharyne; Elwood, Sarah (July 2012). "Engaging Students through Mapping Local History". The Journal of Geography. 111 (4): 148–157. doi:10.1080/00221341.2011.624189. PMC 4306806. PMID 25635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