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살려두다

Keep a Child Alive
아이를 살려두다
Keep a child alive logo.png
포메이션2003
창시자레이 블레이크, 앨리샤 키즈
안토니오 루이스 기메네스
웹사이트keepachildalive.org

KCA(Keep a Child Alive, KCA)는 아프리카와 인도의 HIV/AIDS 영향을 받는 지역사회에 건강관리, 주거 및 기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다.[1][2] Co-founded by Leigh Blake and Alicia Keys, the organization aims to "realize the end of AIDS for children and families, by combating th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HIV."[3] Keep a Child Alive organizes the annual fundraiser gala The Black Ball, established in 2004, where celebrities and philanthropists gather to support and raise awaren대의에 [1]충실하다 최초의 블랙볼 이후, 이 단체는 HIV/AIDS 치료를 위해 2,870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다.[4]

배경

KCA 공동 설립자 겸 회장인 레이 블레이크는 2003년 케냐 맘바사의 에이즈 연구 및 가족 돌봄 클리닉에서 만난 후 이 계획을 처음 시작하게 되었다. 앤이라는 이름의 한 여성은 세 살짜리 아들 브린을 진료를 위해 데려왔고, "자녀를 위해 미국에서 복용하는 약"을 받을 때까지 떠나기를 거부했다.[5] 음악과 영화 산업에 종사하는 그녀의 배경을 이용하여 에이즈 전염병에 이미 관여하게 된 블레이크는 앤에게 에이즈 치료제에 대한 대가를 지불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게 해서 '어린이를 살려두다'는 생각이 탄생했다. 그 약들은 뉴욕대학병원 에이즈연구부를 통해 연간 약 1만2천 달러였는데, 당시는 샤피크 에사지 박사를 통해 클리닉의 진료를 감독하고 있었다. 이윽고 소문이 퍼지기 시작했고 블레이크와 에사지의 친구들은 기부를 제의했다. 첫 번째 기부자는 피터 엣지였고, 곧 KCA 공동 설립자 겸 글로벌 대사 알리샤 키스이먼 등과 함께 어린이들을 후원하며 그 대의에 동참했다. 2003년에 Keep a Child Alive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블레이크의 비전을 이끌어낸 케냐의 클리닉은 KCA가 현재 아프리카와 개발도상국 전역에 건설하고자 하는 다른 시설의 모델이 되었다.[5]

KCA의 공동 설립자인 앨리샤 키스는 어머니의 친구가 에이즈로 사망했을 때 8살 때 에이즈 바이러스의 영향을 처음 받았다. 그녀는 수년 후 남아프리카를 방문했을 때 에이즈 전염병의 광범위한 영향을 직접 발견했는데, 이 여행은 Keep a Child Alive를 공동 창립한 계기가 되었다. 키즈는 에이즈 활동가 레이 블레이크와 친구가 되어 에이즈 바이러스의 세계적 영향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키즈와 레이는 에이즈에 감염된 엄마와 아이들과 함께 남아공 병원을 방문했는데, 그곳에서 키스는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질병에 대한 자원과 교육의 부족에 직면했다.[6] 키즈는 에이즈 감염 어린이들에 대한 돌봄을 홍보하기 위해 우간다, 케냐와 같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을 방문했다.[7][8][9] 그녀의 아프리카에서의 작품은 다큐멘터리인 아프리카 앨리샤: 모국으로의 여행에 기록되었다.[10]

미션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에이즈에 의해 죽은 이미 3천만 명의 사람들과 그 질병으로 위협받고 고아가 된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현재 HIV/AIDS에 걸린 사람은 3330만 명으로, 15세 미만의 어린이 230만 명이 살고 있다. AIDS가 예방 가능하고 치료 가능한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290만 명이 에이즈 관련 원인으로 사망했는데, 이 중 15세 미만 어린이 38만 명을 포함하면 분당 1명의 어린이가 사망하는 것과 맞먹는 것이다.[11]

KCA의 노력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남아 있기 때문에 특히 계속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계 인구의 10분의 1이 조금 넘는 인구가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이곳은 전체 감염자 2450만 명 중 200만 명이 어린이인 HIV에 감염된 전체 인구의 64%가 살고 있다. 2003년 말 이후 ARV요법 이용이 8배 이상 늘어난 반면 치료가 필요한 사람은 30%에 불과하다.

KCA는 ARV 치료 접근성 향상 외에도 영양 프로젝트, 진단 테스트, 의료 종사자 교육, 상담, 에이즈 고아 돌봄이 가능한 자금 지원 사이트 등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아프리카에만 1490만 명의 에이즈 고아들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660만 명의 에이즈 고아들이 있다.

위치들

Keep a Child Alive는 현재 5개국의 10개의 임상 및 고아 보호 사이트에 기금을 제공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말리, 인도, 케냐, 남아프리카, 짐바브웨의 추가 프로젝트에 대한 과거 자금 지원을 받은 인도, 케냐, 르완다, 우간다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 KCA 자금후원을 통해,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성공적으로 그들의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수준의 서비스와 자급자족성으로 확장되었다.

나라 위치 도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가페 고아원
Ithembalabantu("국민의 희망") 클리닉
페리나탈 HIV 연구단
고고 할머니들 아웃리치
Ikageng Itireleng AIDS부
블루루프 클리닉
더반
더반
소웨토
알렉산드리아 타운쉽
소웨토
갠드워스
우간다 카이로스 메디컬 센터
ALIVE 의료 서비스
마사카 헬스케어 센터
나마완고
캄팔라
마사카
에티오피아 아호페 고아원 아디스 아바바
르완다 아이스즈조 클리닉 키갈리
케냐 보무의료원
패밀리 케어 클리닉
냐눌라 어린이 커뮤니티 센터
마타레 센트럴
맘바사
맘바사
시야
나이로비
인도 찬드라칼 고아원
사하라 거주자 관리 및 재활 센터
하이데라바드
푸네
말리 희망 센터 클리닉 이니셔티브 시코로
짐바브웨 마삼반주 케어 트러스트 하라레

캠페인

어린이의 정령
어린이 정신 캠페인은 KCA의 첫 번째 주요 노력 중 하나로 "이 문제에서 대중이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는 방식을 재발견하는" "근거침입 광고 및 미디어 캠페인"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려는 것이었다.[5] TBWA/Chiat Day에 의해 KCA를 위해 만들어지고 마크 침례트가 촬영한 이 캠페인은 2005년 11월 3일 연례 블랙볼 기금 모금 행사에서 시작되었다. 'Spirit of a Child'는 패트릭 오닐과 니키 와인스타인의 뇌관으로, 아가페 고아원의 자녀들이 카니예 웨스트, 데이비드 번, 로레인 브레코, 레니 크라비츠, 신시아 닉슨, 나스, 존 레전드 등 유명 인사들과 짝을 이룬 모습을 담고 있다.

나는 아프리카인이다.
I Am African 캠페인은 지젤 번첸, 귀네스 팰트로, 데이비드 보위, 사라 제시카 파커, 스팅과 같은 유명 연예인들이 착용한 부족의 표시와 얼굴 페인트를 전용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이 개념은 2006년 여름 모델 겸 화장품 기업가인 임안이 아프리카가 모든 인류의 모국이라는 생각을 반영해 만들었다.[12] 마이클 톰슨에 의해 촬영된 이 광고는 처음에 9월에 콘데 나스트 잡지의 패션 부록에 등장했고 이후 언론, 블로그, 그리고 다른 사회 활동가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그리고 부정적인 관심을 받았다.[13]

마약 딜러 되기
Being A Drug Dealer는 마약 딜러라는 글자가 인쇄된 티셔츠를 사거나 일반적인 월간 기부를 함으로써 어린이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약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또 다른 KCA 캠페인이다.

Buy Life
Buy Life 캠페인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소비자 행동의 변화, 소비자 중심주의 및 비영리 환경에서의 구매 행위를 재배치하는 것을 추구한다. TBWA/Chiat Day가 만들고 Markus KlinkoIndrani가 촬영한 '더 많이 살수록 더 많이 살 수 있다'라는 태그라인과 함께, 이 일련의 유명 연예인들의 티셔츠에 개인화된 스캔 가능 바코드를 부착한 초상화는 유명인 포장의 상업성을 소비자들이 스캔하여 초절도 생명을 살 수 있는 리터럴 바코드로 바꾸어 놓는다.즉석에서 만족하다 캠페인에는 케이티 홈즈, 킴 카다시안, 어셔, 라이언 시크레스트, 알리샤 키즈, 재든과 윌로우 스미스, 스위즈 비츠, 세레나 윌리엄스, GK 레이드의 스타일링 등 유명인사들이 출연한다. KCA는 스마트폰 기기에 바코드 기술을 활용해 대중을 참여시키고 생명 구매를 독려하는 자선단체로는 처음이다.[14]

디지털 데스
디지털 데스 캠페인은 TBWA/Chiat Day가 만든 '김카다시안은 죽었다', '라이언 시크레스트도 죽었다' 등의 꼬리표가 달린 마커스 클링코앤인드라니가 관에 앉아 포즈를 취하고 있는 연예인들의 충격적인 이미지로 2010년 12월 1일 세계 에이즈의 날을 맞아 시작됐다. 영상아트는 공연예술/상호작용 차원이 동반되며, 스타들은 팬들이 100만 달러를 기부해 목숨을 되찾을 때까지 트위터페이스북에서 디지털 라이프를 희생한다. 이 캠페인에 출연한 다른 유명인사들 중에는 앨리샤 키즈, 레이디 가가, 저스틴 팀버레이크, 어셔, 세레나 윌리엄스가 있었다. 다프네 기네스는 "이번 캠페인은 매우 놀랍고 아프리카 에이즈 참사뿐 아니라 우리가 아끼는 일에 어떻게 길을 잃었는지도 관심을 끈다"[15]고 설명했다. 100만 달러 기부 목표가 엿새 만에 달성됐다.[citation needed]

기업 파트너

KCA는 매달 기부금의 큰 비중을 차지할 수 있는 것은 재단, 법인, 주요 개인 기부자의 더 큰 기부에 의존해 관리비와 관리비를 지원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5] KCA의 기업 파트너로는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Donna Karan, Time Warner Cable, Maybelline 등이 있다.[16]

모바일 모금

2008년 가을, Keep a Child Alive는 공동 창업자 및 글로벌 앰배서더 앨리샤 키스와 함께 모바일 기부 캠페인을 시작했다. 키들은 콘서트 참가자들에게 90999까지 문자 메시지를 보내면서 4만 달러 이상의 소액 기부금을 모금했다.[17] 모바일 기부 캠페인은 '아이 살리기' 모바일 기부재단과 'Mgive'의 파트너십을 통해 만들어졌다.[18]

참조

  1. ^ a b "Alicia Keys' Nonprofit Honors Oprah Winfrey". Nonprofit Quarterly. July 12, 2012. Retrieved March 22, 2018.
  2. ^ "Keep a Child Alive Raises Over $130,000 During BET Awards Show Through mGive- Mobile Donation Program". NonProfitPRO. July 1, 2009. Retrieved March 22, 2018.
  3. ^ "About Us". Keep a Child Alive. Retrieved March 22, 2018.
  4. ^ "Chance The Rapper & Salt-N-Pepa to Join Alicia Keys as Performers at Keep A Child Alive's Black Ball". Billboard. September 26, 2016. Retrieved March 25, 2018.
  5. ^ a b c d "Keep a Child Alive - Home". Keep a Child Alive.
  6. ^ "Alicia Keys Opens Up About Fighting HIV/AIDS, Black Ball Fundraiser". People. October 30, 2015. Retrieved March 25, 2018.
  7. ^ "For The Record: Quick News On Gwyneth Paltrow, Chris Martin, Obie Trice, Notorious B.I.G., Jessica Simpson & More". MTV News. April 10,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7, 2008. Retrieved December 16, 2008.
  8. ^ "Alicia Keys and 'Keep a Child Alive' Visit AHF's Ithembalabantu Clinic, Free AIDS Clinic in Durban, South Africa Run by AIDS Healthcare Foundation". PR Newswire. April 16, 2006. Retrieved December 4, 2006.
  9. ^ "Alicia Keys in Kenya for HIV Project". USA Today. Gannett Company. April 6, 2006. Retrieved July 17, 2009.
  10. ^ "Alicia Keys' Documentary "Alicia in Africa: Journey to the Motherland" Available..." Thomson Reuters. Reuters. April 7, 2008. Retrieved November 2, 2010.
  11. ^ (PDF). 2007-09-28 https://web.archive.org/web/20070928004635/http://keepachildalive.org/images/handbook.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7-09-28. Retrieved 2020-11-23. {{cite web}}: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12. ^ 기반, 로빈. 최신 유행의 원인으로 분장? 워싱턴 포스트 2006년 11월 3일: C2
  13. ^ 제임스, 캐린 세계를 구하기 위한 메가스타 출격: 저 할로들은 즉석에서 타니쉬를 할 수 있다. 뉴욕타임스 2006년 11월 13일: E3
  14. ^ 월리스, 에이미. "파리, 디지털 월드." [1] 뉴욕 타임스
  15. ^ 데이비스, 던 "김카다시안, 다프네 기네스 그리고 더 고 트위터-원인에 대한 침묵" 2010년 11월 30일 http://www.harpersbazaar.com/bazaar-blog/kim-kardashian-keep-a-child-alive-113010
  16. ^ "-= KEEPACHILDALIVE.ORG =-". 2007-01-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1-20. Retrieved 2020-11-24.
  17. ^ 2008년 가을 콘서트 투어 동안 모바일 기부를 통해 4만 달러를 모금한 앨리샤 키즈. 2008년 7월.
  18. ^ 모바일 기브닝- 비영리 기관에서 작동하게 만드는 방법.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