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69c
Kepler-69c![]() | |
검출 | |
---|---|
검출자 | 케플러 우주선 |
검출일 | 2013년 4월 18일 |
트랜짓(케플러 미션 방식) | |
궤도 특성 | |
0.64+0.15 −0.11[1][2] AU | |
편심 | 0.14+0.18 −0.1[1][2] |
242.4613 ± 0.006[1][3][2] d | |
기울기 | 89.85+0.03 −0.08[1][2] |
별 | 케플러-69 |
물리적 특성 | |
평균 반지름 | 1.71+0.34 −0.23[3] R지구 |
덩어리 | 2.14 MEarth[4] |
평균 밀도 | 2.36gcm–3[4] |
0.73 g[4] | |
온도 | Teq: 325 K (52 °C, 125 °F) 표면: 548 K (275 °C, 527 °F)[nb 1] |
케플러-69c[3][5][6](KoI-172.[2][7]02)는 미 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선이 발견한 태양과 비슷한 별 케플러-69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슈퍼 지구 외계 행성이다.그것은 지구에서 약 2,430광년 떨어져 있다.
케플러-69c는 공전주기가 약 242.46일이고 질량은 지구의 2.14배이며 반지름은 지구의 약 1.7배이다.최초 발견에 따르면 생명체가 살 수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최신 분석 결과 케플러-69c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영역의 안쪽 가장자리 바깥에 존재하며, 따라서 온도와 조건이 너무 뜨거워서 금성과 흡사해 살 [4]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계행성의 발견은 2013년 4월 NASA에 의해 케플러 우주선 데이터 [3]공개의 일부로 발표되었다.이 외계행성은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 생기는 조광 효과를 측정하는 통과법을 이용해 발견됐다.
물리적 특성
질량, 반지름 및 온도
케플러-69c는 지구보다 반지름과 질량이 크지만 거대 얼음 행성인 천왕성과 해왕성보다는 작은 외계 행성이다.추정 평형 온도는 325K(52°C; 125°F)이지만 표면 온도는 548K(275°C; 527°F)로 훨씬 더 높을 수 있다.질량은 약 2.14이다.MEarth 반지름 1.71R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금성과 유사하지만 더 거대하기 때문에 "슈퍼 금성"[4]이라고 불립니다Earth.[4][3]
호스트 스타
이 행성은 총 두 개의 행성이 공전하는 케플러-69라는 이름의 (G형) 별을 돌고 있다.별의 질량은 0.81이다.M☉ 반지름 0.93R표면온도는 5638 K이고 나이는 98억 년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는 아마도 수명이 다했음을 의미한다☉.그에 비해, 태양은 약 46억 살이며[8] 표면 온도는 5778 [9]K이다.
이 별의 겉보기 등급, 즉 지구 관점에서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는 13.[3]7입니다.따라서 케플러-69는 너무 어두워서 육안으로 볼 수 없다.
궤도
케플러-69c는 242일 주기로 태양 광도의 약 80%를 지구 거리의 0.64배로 주성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이것은 금성의 공전 주기 및 태양계 거리와 매우 유사합니다.
거주가능성 제안

이 외계행성은 케플러-62e, 케플러-62f와 함께 행성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지역인 항성의 "거주 가능 영역" 안에 있다고 언론에 발표되었다.이 행성은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 중 가장 지구와 비슷한 행성 중 하나이며, 과학자들에 따르면 "외계 [10]생명체를 수용할 수 있는 최고의 후보"라고 한다.
항성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이 행성의 입사 플럭스 값에 대한 오차 막대는 지구의 1.91배로+0.43
−0.56 상당히 큽니다.명목상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행성은 너무 가까이 그 별에 살 수, 어떤 불확실성들은 가능성은 그것이 실제로가 거주 가능한 지역의 가장 안쪽 지역에서 가장 낮은 에러 바 측정, 135S🜨은 화려한 플럭스도 충분히 끓어서 없어지다에 높이일 것이다 심지어 함께 한 사막 planet,[11] 하지만 거짓말을 할 수 있기 위한 것이다.조금도바다.좀 더 최근의 분석은 이 행성이 태양계에서 가장 살기 힘든 곳 중 하나로 알려진 금성과 더 유사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그러한 [4][dubious ]유기체가 살 수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검출
2009년, 나사의 케플러 우주선은 광도계로 별을 관찰하고 있었는데, 이 광도계는 행성이 주성 앞을 가로지르며 어둡게 하는 통과 현상을 감지하는 기구이다.이 마지막 실험에서, 케플러는 케플러-69를 포함한 케플러 입력 카탈로그에서 5만 개의 별을 관찰했습니다; 예비 광도 곡선은 분석을 위해 케플러 과학 팀에 보내졌고, 케플러 과학 팀은 관측소에서 추적 조사를 위해 분명한 행성 동반성을 선택했습니다.2009년 5월 13일에서 2012년 3월 17일 사이에 잠재적 외계 행성 후보들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졌다.케플러-69c의 경우 대략 242일(궤도 주기)마다 일어난 각각의 통과를 관찰한 결과, 결국 행성체가 242일의 주기적인 통과를 일으킨다는 결론을 내렸다.이 발견은 케플러-62의 행성계와 함께 2013년 [3]4월 18일에 발표되었다.
2013년 5월 9일, 미 하원 2개 분과위원회의 의회 청문회에서 "외계행성 발견:케플러-62e, 케플러-62f와 함께 외계행성 케플러-69c가 발견되면서 촉발됐다.앞서 발행된 사이언스지의 관련 특별호는 외계행성의 [12]발견에 대해 설명했다.
주목할 만한 외계 행성 – 케플러 우주 망원경 | |
---|---|
![]() 외계행성은 예술가들의 인상이다. | ![]() |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Staff (January 7, 2013). "Kepler KOI Search Results for KOI-172.02".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Retrieved January 11, 2013.
- ^ a b c d e Staff. "NASA Exoplanet Archive -KOI-172.02". Caltech. Retrieved January 11, 2013.
- ^ a b c d e f g Barclay, Thomas; et al. (2013). "A super-Earth-sized planet orbiting in or near the habitable zone around Sun-like star". The Astrophysical Journal. 768 (2): 101. arXiv:1304.4941. Bibcode:2013ApJ...768..101B. doi:10.1088/0004-637X/768/2/101. S2CID 51490784.
- ^ a b c d e f g Kane, Stephen; et al. (2013). "A Potential Super-Venus in the Kepler-69 System".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770 (2): L20. arXiv:1305.2933. Bibcode:2013ApJ...770L..20K. doi:10.1088/2041-8205/770/2/L20. S2CID 9808447.
- ^ Johnson, Michele; Harrington, J.D. (18 April 2013). "NASA's Kepler Discovers Its Smallest 'Habitable Zone' Planets to Date". NASA. Retrieved 18 April 2013.
- ^ Overbye, Dennis (18 April 2013). "2 Good Places to Live, 1,200 Light-Years Away". New York Times. Retrieved 18 April 2013.
- ^ Johnston, Wm. Robert (October 2, 2011). "List of Extrasolar Planets". JohnstonArchive.com. Retrieved January 11, 2013.
- ^ Fraser Cain (16 September 2008). "How Old is the Sun?". Universe Today. Retrieved 19 February 2011.
- ^ Fraser Cain (September 15, 2008). "Temperature of the Sun". Universe Today. Retrieved 19 February 2011.
- ^ Moskowitz, Clara (January 9, 2013). "Most Earth-Like Alien Planet Possibly Found". Space.com. Retrieved January 9, 2013.
- ^ L. Kaltenegger; D. Sasselov; S. Rugheimer (2013). "Water Planets in the Habitable Zone: Atmospheric Chemistry, Observable Features, and the case of Kepler-62e and -62f". arXiv:1304.5058v1 [astro-ph.EP].
- ^ Staff (3 May 2013). "Special Issue: Exoplanets". Science. Retrieved 18 May 2013.
{{cite web}}
: CS1 maint: 작성자 파라미터 사용(링크)
메모들
- ^ 케플러-69c가 거주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된 이후 개량된 모델에 근거합니다.
외부 링크
- NASA – 미션 개요
- 케플러 – 발견 – 요약표 – NASA.
- 거주 가능 지역 갤러리
- 케플러 – 새로운 행성계의 발견(2013).
- 케플러 – 행성/대화성 목록 (2013) – NYT.
- 비디오 (02:27)– NASA, "Hability Zone"에서 새로운 행성 3개 발견(2013년 4월 18일)
- 케플러 KOI 데이터 검색.
- KOI-172.02 외계행성 아카이브 데이터/칼텍
- KOI-172 스타 온 스타 파인더 / KPGraham
- 외계 행성 – 데이터 / Johnston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