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반 칸국
Erivan Khanate에리반 칸국 ( ) ت ( ) ( نن 자낫에이라반 | |||||||||
---|---|---|---|---|---|---|---|---|---|
1747–1828 | |||||||||
![]() 에리반 칸국 시대 1800년 | |||||||||
상황 | 칸국 이란의 종주권[1] 아래 | ||||||||
자본의 | 예레반 | ||||||||
공통 언어 | 페르시아어(공식), 아르메니아어, 아제르바이잔어, 쿠르드어 | ||||||||
역사 | |||||||||
• 설립 | 1747 | ||||||||
• 확립되지 않음 | 1828 | ||||||||
|
The Erivan Khanate[a] (Persian: خانات ایروان, romanized: Xānāt-e Iravān; Armenian: Երեւանի խանութիւն, romanized: 예레바니 자누티언(Arevani xanut'iwn, 아제르바이잔어: یəəə roman roman roman roman roman romanized, 로마자[2][b]: Irrvanvan xanlıi)은 18세기 이란 아프샤리드에 세워진 칸국이다.면적은 약 19,500km이며2,[2] 현재의 중부 아르메니아, 이드르 주, 현재 터키의 카르스 주 카즈만 지역, 그리고 현재의 아제르바이잔 나크치반 자치공화국의 샤루르와 사다라크 지역에 해당한다.
에리반 [2]지방 수도는 19세기 러시아-이란 전쟁 동안 코카서스에 있는 이란 방어군의 중심지였다.지난 러시아-이란 전쟁에서 이란이 패배한 결과, 1827년[4] 러시아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투르크멘차이 조약에 따라 1828년 러시아 제국에 양도되었다.그 직후, 옛 에리반 칸국과 인접한 나히반 칸국의 영토가 합병되어 러시아 제국의 아르메니아 주가 되었다.
역사
행정부.
이란 통치 기간 동안 왕(샤)들은 여러 주지사를 임명하여 그들의 영토를 통치하게 하여 행정 중심지를 만들었다.이들 주지사는 보통 "칸" 또는 "베글라베그"[5]라는 칭호뿐만 아니라 "사르다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었다.칸국이 세워지기 [6]전에 이란인들은 에리반 주(초크후르에 사드라고도 함)를 이용하여 대략 같은 지역을 통치했다.사파비드 시대의 지방과 잔드와 [3]카자르 시대의 행정 기관 모두 척후르에 사드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카자르 시대에는 1828년 [7]러시아가 점령할 때까지 왕실의 카자르 왕조가 에리반 칸국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에리반 칸국의 지방 정부 수반들은 중앙 지배 [8]왕조와 직결되었다.행정적으로 칸국은 페르시아어를 공용어로 [9][10][11]하는 마알스라고 불리는 15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다.지역 관료제도는 [12]테헤란에 위치한 중앙 정부의 관료제를 본떠 만들어졌다.
나크치반 칸국과 함께, 이 지역은 이란 아르메니아 (페르시아 [13][c]아르메니아라고도 알려져 있음)의 일부를 구성했다.에리반 칸국은 이란령 [15]아르메니아 대부분을 차지했다.이란의 지배하에 있던 역사적인 아르메니아 주변은 카르틀리-카헤티 [13]왕국뿐만 아니라 카라바흐와 간자 칸국가의 일부였다.
이벤트 및 러시아 개최
나데르 샤 (재위 1736년-1747년)는 이 지역을 에리반, 나크치반, 카라바흐, 간자 [16]4개의 칸국으로 구성했습니다.1747년 그가 죽은 후, 그 영토는 [17]잔드의 일부가 되었다.잔드 시대 이후 이란 카자르족에게 넘어갔다.카자르 기간 동안, 칸국은 꽤 [2]번영했다고 여겨졌다.러시아가 카르틀리-카헤티를 합병하고 1804-1813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을 일으킨 후, 에리반은 [2]코카서스에서 다시 한 번 이란 방어의 중심이 되었다.
1804년 러시아 장군 파벨 치치아노프가 에리반을 공격했지만 압바스 미르자가 이끄는 이란군이 [2]격퇴했다.1807년, 파트 알리 샤 비자르 왕(재위 1797년-1834년)의 중앙 이란 정부는 호세인 칸 사르다를 에리반의 새 주지사(칸)로 임명하고 그를 아라스 [7][18]강 북쪽에 있는 이란군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했습니다.
호세인 칸 사르다르는 당시 현 국왕 파트 알리 샤 카자르 [19]정부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유능한 행정가로서, 그의 오랜 통치 기간은 칸국을 모범 [2]지방으로 만든 번영의 시대로 여겨진다.테헤란 중앙정부를 모델로 한 그의 지방관료제도는 효율적이며 이란 [2][12]통치에 대한 아르메니아인들의 신뢰를 회복시켰다.
1808년 현재 이반 구도비치 장군이 이끄는 러시아군은 다시 한 번 도시를 공격했다; 이 시도 역시 [2]격퇴되었다.1804년부터 1813년까지의 전쟁을 끝낸 굴리스탄 조약에 의해, 이란은 코카서스 영토의 대부분을 잃었다; 에리반과 타브리즈는 [2]이제 러시아에 빼앗긴 영토를 되찾으려는 이란군의 주요 본부였다.
약 10년 후, 굴리스탄 조약을 위반하여, 러시아인들은 에리반 [20][21]칸국을 침략했다.이것은 두 사람 사이의 마지막 적대감을 촉발시켰다; 1826-1828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이 전쟁 초기에, 이란인들은 1813년에 잃었던 많은 영토를 되찾는 데 성공했지만, 1827년 러시아의 공세로 우세한 러시아 포병들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결국 압바스바드, 사르다라바드, 그리고 [2]에리반에서 이란인들은 패배했다.에리반은 1827년 [2]10월 2일 러시아에 의해 납치되었다.1828년 2월, 이란은 투르크멘차이 조약에 서명하도록 강요받았고, 이로 인해 칸국은 러시아에게 [2]양도되었다.소련이 멸망한 후, 아라스 강은 이란과 아르메니아 [2]사이의 국경이 되었고 지금도 남아 있다.
주도
보도에 따르면 에리반 시는 카자르 [2]시대에 "매우 번영했다"고 한다.그것은 대략 1평방마일을 차지했고, 반면 직접 주변(정원 포함)은 약 18마일을 [2]더 연장했다.케텐호펜 외 연구진에 따르면, 이 도시 자체에는 3개의 마할, 1,700채 이상의 집, 850채 이상의 가게, 거의 10개의 모스크, 7개의 교회, 10개의 욕실, 7개의 카라반세라이, 5개의 광장, 2개의 바자르, 그리고 2개의 [2]학교가 있었다.호세인 칸 사르다르의 통치 기간 동안 에리반의 요새는 전국에서 가장 [22]강했다고 한다."높은 땅"에 위치하고 두꺼운 성벽과 해자와 대포로 둘러싸인 거대한 요새는 [2]한동안 러시아의 진격을 막는데 도움을 주었다.이 도시의 가장 유명한 두 모스크 중 하나는 사파비드 시대에 1687년에 지어졌고, 반면 이 도시의 가장 큰 모스크인 블루 모스크는 칸국 설립 후 18세기에 지어졌으며,[23] 그 시대의 중요한 건축 잔재로 여겨진다.칸의 궁전은 [2]모스크들 중 한 곳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호세인 칸 사르다르의 통치 기간 동안, 에리반의 인구는 꾸준히 [24]증가했습니다.러시아 정복 직전 인구는 [25]2만 명에 육박했다.대조적으로, 러시아 통치가 수립된 지 약 70년 후인 1897년에, 아르메니아인 정착지와 함께, 에리반은 겨우 14,000명의 [25][d]거주자만 가지고 있었다.
인구 통계
투르크멘차이 조약 제3조에 따르면, 이란인들은 잃어버린 코카서스 영토의 세금 기록을 러시아인들에게 [14]넘겨야 했다.그러나 이러한 기록은 이들 지역에 거주했던 가족 및 세금 할당량("부니체")을 나타냈을 뿐이므로 [14]이란 아르메니아를 포함한 이들 지방에 거주했던 사람들의 "정확한 집계"는 아니었다.
그래서 러시아인들은 즉시 "아르메니아 주"[14]로 개명된 에리반 칸국의 인구에 대한 철저한 통계를 실시했다.이반 쇼팽은 에리반에서 새로 수립된 러시아 정부의 행정 센서스(카메랄 노에 오피사니)를 수집한 조사팀을 이끌었다.에리반 칸국의 페르시아 행정 기록과 인터뷰에 따르면, 카메랄노에 오피사니는 러시아 [14]정복 전과 직후의 상황에 대해 이란 아르메니아를 구성하는 영토에 대한 "통계적 또는 민족적 자료의 유일한 정확한 출처"로 여겨진다.
이란 아르메니아에서는 무슬림(페르시아계, 터키계, 쿠르드족)이 인구의 80%를 차지하는 반면 기독교계 아르메니아인은 [26][e]인구의 20%를 차지했다.카메랄노에 오피사니에 따르면, 정착한 무슬림과 반 정착한 무슬림 인구는 74,[28]000명이 넘습니다.하지만, 이 숫자에 결함이 있는데, 이는 이란의 [28]패배 직후에 떠난 정착하고 반 정착한 이슬람교도들에 대한 설명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예를 들어,[28] 기본적으로 페르시아의 지배 엘리트와 군 장교 조직 전체가 패전 후 이란 본토로 이주했다.게다가, 많은 투르크와 페르시아 병사들이 1826-1828년 전쟁에서 죽었고, 이는 러시아의 에리반과 나크치반 칸국 [28]정복으로 이어졌다.추정치에 따르면, 약 20,000명의 이슬람교도들이 이란 아르메니아를 떠났거나 1826-1828년 전쟁 [28]중에 살해되었다.조지 부르누티안 역사학 교수에 따르면, 따라서 이란 아르메니아에 있는 페르시아와 투르크의 합계 인구는 [28]7만 4천 명이 아닌 약 9만 3천 명으로 당연하게 여겨질 수 있다.
러시아의 침공과 정복 이전 이란 아르메니아(반정착, 유목민, 정착민 포함)의 총 무슬림 인구는 11만7천명이 [29]넘었다.이들 중 약 3만5천명은 러시아군이 결정적으로 [29]도착한 후 나타나지 않았다(즉, 이민, 전쟁 중 사망).
민족 집단 | 세어보세요 |
---|---|
아르메니아인[f] | 20,073 |
쿠르드족 | 25,237 |
페르시아 엘리트/군대[g] | 10,000 |
터키계(정착 및 반정착)[h] | 31,588 |
터키계(유목민)[i] | 23,222 |
총 | 110,120 |
러시아 정권이 이란령 아르메니아를 장악한 뒤 민족 구성이 바뀌면서 [33]4세기 만에 아르메니아 민족이 다시 다수를 차지하기 시작했다.10만 명 이상의 무슬림 약 35,000명이 이 지역에서 이주한 반면 이란과 터키에서 온 약 57,000명의 아르메니아인들은 [34]1828년 이후에 도착했다.이러한 새로운 중요한 인구학적 변화 때문에, 1832년에 아르메니아인의 수는 [26]이슬람교도들의 수와 일치했다.어쨌든, 터키계 아르메니아인들이 다시 한 번 동 [35]아르메니아에서 확고한 다수를 차지하게 된 것은 크림 전쟁과 1877-1878년 러시아-터키 전쟁 이후일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리반 시는 20세기까지 [35]이슬람교도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1890년대 [38]러시아 제국 말기에 출판된 브록하우스와 에프론 백과사전에 따르면, 1890년대 에리반 인구의 2%가 러시아인, 48%가 아르메니아인, 49[j]%가 아데르베이자니 타타르족이었다.여행자 H. F. B. 린치에 따르면,[2] 1890년대 초 에리반 시는 약 50%가 아르메니아인이었고 50%가 이슬람교도였다.H. F. B. 린치는 그가 같은 [39]10년 안에 그 도시를 방문했을 때 무슬림들 중 일부는 페르시아인이라고 생각했다.반면 현대 역사학자 조지 본누션과 로버트 H에 따르면 Hewsen, Lynch는 많은 사람들이 [2]페르시아인이라고 생각했다.
페르시아인
페르시아인들은 그 지역의 엘리트였고 정착한 [28]인구의 일부였다.이 특정한 문제에서 "페르시아인"이라는 용어는 칸국의 지배 계층을 의미하며,[27] 반드시 그 집단의 인종 구성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그래서 칸국의 [27]지배적인 "페르시아" 엘리트들 중에는 "페르시아인"과 "터크인"이 있었다.이 지배 엘리트들은 주로 주지사의 가정 구성원, 그의 가까운 동료들, 장교단, 페르시아 지방 관료 조직의 구성원들, 그리고 몇몇 부유한 [24]상인들이었다.페르시아의 지배 엘리트들은 칸국의 [27]무슬림들 사이에서 소수였다.러시아의 정복으로 이어진 1826-1828년 전쟁 동안, 많은 페르시아 지배 엘리트들이 죽었습니다; 나머지 숫자는 기본적으로 러시아가 그 [28][24][k]지방을 결정적으로 지배한 후에 이란으로 이주했습니다.
터키어
투르크족은[l] 칸국에서 가장 큰 집단이었지만, 그들은 정착, 반 정착, [28]유목의 세 갈래로 구성되었다.페르시아의 지배 엘리트들과 비슷하게, 그들 중 많은 수가 [28]1826-1828년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죽었다.칸국에 정착한 주요 투르크 그룹은 바야트족, 캉갈루족, 아이룸루족, 아크 코윤루족, 카라 코윤루족, 카자르족, 그리고 "터키 카자크족"[41]이었다.약 3만 5천 명에 이르는 많은 수의 터키인들은 일종의 [29]유목민이었다.쿠르드족과 마찬가지로, 몇몇 터키계 집단들은 여름과 [29]겨울을 나기 위해 이주한 특정 지역을 가지고 있었다.투르크 유목민들은 [42]기병들에게 제공한 가축 사육, 수공예품, 말들로 인해 페르시아의 지방 관리들에게 중요했다.정착한 터키인들이 농업 분야의 [43]노동자들 중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쿠르드족과 함께, 유목민 투르크 그룹은 그들의 목축적인 삶의 [44]방식을 위해 칸국의 영토의 약 절반을 사용했다.주요 투르크 [45]그룹 사이에 경쟁이 있었다.많은 투르크 족의 유목민 특성으로 인해, 그들은 많은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그들은 칸국의 중앙과 북부 지역에 풍부하게 존재했고, 그곳에서 그들은 "주변 방목지를 통제했다".[45]투르크 유목민과 [45]쿠르드족 사이에는 전통적인 적대감이 있었다.카라파흐와 아이룸루는 가장 큰 터키 유목민 집단이었다; 그들 대부분은 1828년 [46]이후 압바스 미르자의 도움으로 아제르바이잔에 재정착했다.
쿠르드족
Kameral'noe Opisanie는 쿠르드족에 대해 10,000명 이상의 다양한 부족 거주자를 열거하고 있으며, 러시아 [28]합병 후 약 15,000명이 이주했다고 기록하고 있다.따라서 전쟁 전 쿠르드족 인구는 [28]2만5000명이 넘는다.쿠르드족은 전통에 따라 유목민으로, 많은 수의 투르크 [47]집단과 비슷했다.쿠르드족은 유목민인 투르크족과 함께 칸국의 절반 가량을 목가적인 [44]생활방식으로 사용했다.쿠르드족은 주로 수니파, 시아파, 예지디 [48]등 3개 종교단체로 구성되어 있었다.쿠르드족과 투르크 [45]유목민 사이에는 전통적인 적대감이 있었다.
아르메니아인
기독교계 아르메니아인은 칸국에서 약 20%를 차지하는 소수파를 형성했고, 어느 [26][m]지역에서도 다수를 형성하지 못했다.아르메니아인의 절대 다수는 전체 인구의 약 80%이며, 커크-불라그, 카르비-바사르, 수르말루, [49]사르다라바드의 지역(마할)에 위치하고 있었다.서아시아의 다른 소수민족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그들의 "종교와 행정 중심지"[49] 근처에 살았다.주도인 [49]에리반에도 아르메니아인이 있었다.보도에 따르면 샤루르와 사들루 지역에는 아르메니아인이 없었고 가르니-바사르,[49] 괴카, 아파란, 탈린, 사이이들리-아크사흘리, 베디-바사르에는 극소수만이 있었다.
많은 사건들이 그 지역에서 아르메니아인 인구의 멸망을 가져왔다.14세기 중반까지 아르메니아인들은 동부 아르메니아에서 [50]다수를 차지했다.14세기 말, 티무르의 선거 운동 이후, 이슬람은 지배적인 신앙이 되었고, 아르메니아인들은 [50]동부 아르메니아에서 소수 민족이 되었다.
1605년 샤 아바스 1세가 아르메니아 고지대에서 인구의 대부분을 추방한 것은 그 후 한 가지 사건으로 25만 명에 달하는 아르메니아인들이 이 지역에서 [51]쫓겨났다.그의 왕국의 변경 지역에 다시 인구를 채우기 위해, 샤 아바스 2세 (1642–1666)는 투르크 강갈루 부족의 귀환을 허락했다.나데르 샤 (재위 1736년-1747년) 치하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이 과도한 세금과 다른 처벌로 고통받았을 때, 많은 사람들이 특히 [52]인도로 이민을 갔다.
이슬람교도들과 아르메니아인들 모두 다양한 직업들을 수행했지만,[33][2] 칸국의 무역과 직업들을 지배한 것은 아르메니아인들이었다.따라서 그들은 이란 [2]행정부에 중요한 경제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아르메니아인들은 기독교 러시아인들을 동정했지만, 그들은 전체적으로 그들에게 무관심했다; 시골과 도시 아르메니아인들 모두, 즉각적인 관심사는 사회 경제적 "웰빙"[53]에 국한되었다.칸국의 생활 조건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한, 대부분의 아르메니아인들은 어떠한 [53]행동도 취할 충동을 느끼지 않았다.1808년 러시아가 이란으로부터 도시를 빼앗으려는 두 번째 시도로 또 다른 공성전을 벌였을 때 아르메니아인들은 "일반 중립"[54]을 보였다.
부분 아르메니아 자치
칸국 영토의 아르메니아인들은 멜릭-아그말리아 가문 출신의 에리반 멜릭의 직할 관할 하에 살았고, 그들은 샤의 승인으로 그들을 통치할 유일한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에리반의 멜리크 왕국의 시작은 1639년 마지막 오스만-사파비드 전쟁이 끝난 후에야 나타나며 오랜 전쟁과 침략 끝에 이란 아르메니아에서 전반적인 행정 조직 개편의 일부로 보인다.가족 중 처음으로 알려진 사람은 멜릭 길란이지만, "에리반의 멜릭"이라는 칭호의 첫 번째 확실한 소유자는 멜릭 아가말이었고, 그 집의 성이 그에게서 온 것일 수도 있다.그의 후계자 중 한 명인 멜릭 하콥 잔은 1736년 [2]무간 평원에서 열린 나데르 샤의 대관식에 참석했다.
에리반의 멜릭 아래에는 칸국의 다른 많은 멜릭들이 있었고, 아르메니아인들이 거주하는 각 멜릭은 그들만의 지역 멜릭을 가지고 있었다.에리반 자신들, 특히 마지막 멜릭 사하크 2세는 칸국에서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고 존경받는 사람들 중 하나였고 기독교도와 이슬람교도 모두 그들의 조언, 보호 그리고 중재에 대해 구했다.칸 자신 다음으로 중요한 그들은 에리반의 아르메니아인들 중 유일하게 이란 귀족의 옷을 입을 수 있었다.에리반의 멜릭은 오직 칸만이 부과할 수 있는 사형선고까지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완전한 행정, 입법, 사법권을 가지고 있었다.멜릭은 칸의 군대에서 아르메니아 보병 부대를 지휘했기 때문에 군사적인 기능도 행사했다.칸국의 다른 모든 멜리케와 마을 두목(탄로이터)은 에리반의 멜리케에 종속되어 있었고 칸국의 모든 아르메니아 마을들은 그에게 [2]연간 세금을 내야 했다.
칸 목록
- 1747-48 메흐디칸 카셈루
- 1748-50 하산 알리칸
- 1750-80년 호세인 알리 칸
- 1752-55년 칼릴 칸
- 1755-62 하산 알리 칸 카자르
- 1762-83년 호세인 알리 칸
- 1783-84년 골람 알리 (하산 알리의 아들)
- 1784년-1805년 모하마드 칸 카자르
- 1805-06 메흐디 콜리 칸 카자르
- 1806-07 아흐마드 칸 모카담
- 1807-28 호세인 콜리 칸 카자르
아제르바이잔의 역사학
2000년대 중반부터, 일부 아제르바이잔 난민들이 소련의 아르메니아 SSR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던 "서 아제르바이잔"의 개념은 역사가이자 정치학자 로렌스 브로어스가 에리의 "광범위한 페티시화"라고 설명하는 코카서스 칸국가의 새로운 관심사로 통합되었다.반 칸국은 "역사적으로 아제르바이잔 국가"[55]입니다.
아제르바이잔의 역사학에서는 에리반 칸국을 아제르바이잔의 자치적인 아제르바이잔 터키인들이 거주한 "아제르바이잔 국가"로 간주하고 있으며, 브로어스가 "투르크 판테온의 반신화적인 인물들의 매장지"라고 덧붙인다.[55]역사적 부정주의를 채용하는 과정에서 아제르바이잔 역사학 내에서도 그 [55]이전의 캅카스 알바니아의 역사적 실체와 같은 변형을 겪었다.아제르바이잔 역사학에서는 "Azerbaijani Turk"와 "무슬림"이라는 용어가 에리반 칸국가를 다룰 때 번갈아 사용되지만, 현대의 인구통계학적 조사에서는 "무슬림"이 페르시아인, 시아파, 수니파 쿠르드족과 [55]투르크족으로 구분된다.
브로어스는 아제르바이잔에서의 이 현상을 [56]나고르노카라바흐에 대한 주권과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으로 인해 이전에 가라앉은 두 지역의 만남의 지점에서 나타나는 지정학적 분점인 "와이드 아제르바이잔주의"의 일부로 간주한다.
브로어스에 따르면, "잃어버린 아제르바이잔 유산" 카탈로그에는 "기독교든 이슬람교도든 아르메니아에 있는 거의 모든 기념비와 종교 유적지 아래에 있는 터키인의 가장 가까운 모습"[55]이 묘사되어 있다.또, 2007년경부터, 아제르바이잔의 표준 지도에는 아르메니아어 아래에 빨간색으로 인쇄된 터키식 지명이 [55]표시되기 시작했다.수사학의 측면에서, 브로어스가 설명하듯이, 아르메니아 아래에 있는 아제르바이잔 족은 "향후 영토 주장으로 미래로 회귀한다"[55]고 한다.아르메니아 수도 예레반은 특히 이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에리반 요새와 사르다르 궁전은 소련이 도시를 건설하는 동안 파괴된 "아제르바이잔 유산의 잃어버린 상징"[57]이 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이라크 칸국' 또는 '에레반 칸국'이라고도 함
- ^ 사파비드 시대의 동등한 행정 기관인 에리반 주(州)는 "척후르에 사드"[3]라고도 한다.
- ^ 오르두바드는 19세기 [14]초에 중앙 정부에 의해 나크치반 칸국에 추가되었다.
- ^ 그 배경에는 주로 이란으로의 대규모 무슬림 이주, 높은 세금, 이 지역의 새로운 상업 중심지로서의 티플리스와 바쿠의 부상, 이란에 의해 시작된 "전쟁 경제의 계승" 그리고 물론 에리반의 전략적 중요성의 [25]종식이 있었다.
- ^ 또한 소수의 조지아인, 유대인, 체르카시아인, 러시아인, 코카서스의 다른 민족들도 있었다; 그들은 통계적으로 [27]중요하지 않았다.
- ^ 이 숫자에는 "Erevan의 집시들"[3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이 특정한 문제에서 "페르시아인"이라는 용어는 칸국의 지배 계층을 의미하며,[27] 반드시 그 집단의 인종 구성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그래서 칸국의 [27]지배적인 "페르시아" 엘리트들 중에는 "페르시아인"과 "터크인"이 있었다.
- ^ "터키타타" 또는 "터키"[32]로 언급됩니다.칸국에는 페르시아 농부들이 몇 명 있었는데, 그들 모두가 이 그룹에 속해 있었다.[31]
- ^ "터키타타" 또는 "터키"[32]로 언급됩니다.
- ^ "타타르"라는 용어는 러시아인들이 사용했으며, 자캅카시아의 [36]터키어 회교도(시아와 수니파)를 지칭했다.아르메니아인이나 조지아인들과 달리 타타르인들은 그들만의 알파벳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36]페르소아랍 문자를 사용했다.1918년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이 수립되고 "특히 소련 시대" 이후 타타르 그룹은 스스로를 "아제르바이잔"[36]이라고 칭했다.1918년 이전에는 "아제르바이잔"[37]이라는 단어는 이란의 아자르바이잔 지방을 지칭했습니다.
- ^ 실제로, 1837년에 출판된 "트란스카수스의 러시아 도메인 개요"의 통계 자료에 대한 그의 1840년 리뷰에서, 이반 쇼팽은 아르메니아 주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으로 페르시아인을 등록한 것에 대해, 이 지역에 "페르시아인"이 없었고, 이슬람 인구가 터키인 또는 쿠르드인이라고 언급했다.재고.[40]
- ^ '터크 타타' 또는 '터크'[32]라고도 합니다.
- ^ 우치킬리사의 교회 중심지인 카르비바사르 마할이 아르메니아인의 다수를 [35]차지했을 가능성이 있다.
레퍼런스
- ^ Bournoutian, George A. (2016). The 1820 Russian Survey of the Khanate of Shirvan: A Primary Source on the Demography and Economy of an Iranian Province prior to its Annexation by Russia. Gibb Memorial Trust. p. xvii. ISBN 978-1909724808.
Serious historians and geographers agree that after the fall of the Safavids, and especially from the mid-eighteenth century, the territory of the South Caucasus was composed of the khanates of Ganja, Kuba, Shirvan, Baku, Talesh, Sheki, Karabagh, Nakhichivan and Yerevan, all of which were under Iranian suzerainty.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Kettenhofen, Bournoutian & Hewsen 1998, 페이지 542-551.
- ^ a b 2008층, 페이지 86, 170
- ^ 뮤리엘 앳킨.러시아와 이란은 1780-1828 페이지 89; "예레반의 새로운 칸인 호신 콜리는 패트 알리 정부에서 가장 유능한 사람 중 하나였으며 1807년부터 1827년 러시아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예레반을 통치했다."
- ^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22칸국이란 중앙정부를 위해 군사 및/또는 행정 기능을 수행한 칸 또는 베글러베기라는 칭호를 가진 세습 또는 임명된 통치자들이 통치하던 지역을 말한다.19세기까지 트랜스카시아에는 9개의 칸국이 있었다.)"
- ^ Bournoutian 1980, 1-2페이지. "18세기 페르시아 아르메니아는 에레반과 나크치반(...)의 주 경계 또는 칸국(마할로 분할됨)으로 구성되었다.)"
- ^ a b 부르누티안 2002년, 페이지 215. "이란인들은 아르메니아 동부를 구하기 위해 이 지역에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고 유능한 주지사 호신 콜리 칸을 임명했다."
- ^ Bournoutian 2004, 페이지 519-520.
- ^ Swietochowski, Tadeusz (2004). Russian Azerbaijan, 1905-1920: The Shaping of a National Identity in a Muslim Commun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2. ISBN 978-0521522458.
(...) and Persian continued to be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judiciary and the local administration [even after the abolishment of the khanates].
- ^ Pavlovich, Petrushevsky Ilya (1949). Essays on the history of feudal relations in Armenia and Azerbaijan in XVI - the beginning of XIX centuries. LSU them. Zhdanov. p. 7.
(...) The language of official acts not only in Iran proper and its fully dependant Khanates, but also in those Caucasian khanates that were semi-independent until the time of their accession to the Russian Empire, and even for some time after, was New Persian (Farsi). It played the role of the literary language of class feudal lords as well.
- ^ Katouzian, Homa (2003). Iranian history and politics. Routledge. p. 128. ISBN 978-0415297547.
Indeed, since the formation of the Ghaznavids state in the tenth century until the fall of Qajars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most parts of the Iranian cultural regions were ruled by Turkic-speaking dynasties most of the time. At the same time, the official language was Persian, the court literature was in Persian, and most of the chancellors, ministers, and mandarins were Persian speakers of the highest learning and ability.
- ^ a b 부르누티안 1982, 페이지 86. "칸 호신 콜리 칸의 효율적인 행정은 곧 이 지역을 변화시켰다.그는 중앙정부의 관료주의를 본떠 부족과 정착된 집단으로 권력을 나누었다. 본질적으로 에레반 정부는 테헤란에 있는 정부처럼 세 개의 부서로 구성되었다.)"
- ^ a b Bournoutian 1980, 페이지 1-2.
- ^ a b c d e 부르누티안 1980, 페이지 2
- ^ 부르누티안 1980, 페이지 1-2, 10, 13.
- ^ Bournoutian 2006, 페이지 214–215.
- ^ Bournoutian 2006, 페이지 215
- ^ Bournoutian 2004, 페이지 519-520.사르다르-에 이라바NI; 초기 카자르 시대(b. ca. 1742년, d. 1831년)의 중요한 주지사. (...) 제1차 러시아-페르시아 전쟁(1804년-13년) 중 러시아의 진전에 맞서 강하고 충성스러운 총독이 에레반 요새를 지휘할 것을 요구하며 샤는 페르시아 북부군의 총사령관(사르)으로 오사인콜리를 임명했다.
- ^ 뮤리엘 앳킨.러시아와 이란은 (미네소타 프레스, 1980년) 페이지 89; "예레반과 나크자반의 칸은 둘 다 불성실을 이유로 1805년 국왕에 의해 제거되었다. (...) 예레반의 새 칸 호신 콜리는 예레반의 가장 유능한 칸 중 하나였고 알리 정부의 패트 통치자였다.
- ^ Cronin, Stephanie, ed. (2013). Iranian-Russian Encounters: Empires and Revolutions since 1800. Routledge. p. 63. ISBN 978-0415624336.
Perhaps the most important legacy of Yermolov was his intention from early on to prepare the ground for the conquest of the remaining khanates under Iranian rule and to make the River Aras the new border. (...) Another provocative action by Yermolov was the Russian occupation of the northern shore of Lake Gokcha (Sivan) in the Khanate of Iravan in 1825. A clear violation of Golestan, this 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ovocation by the Russian side. The Lake Gokcha occupation clearly showed that it was Russia and not Iran which initiated hostilities and breached Golestan, and that Iran was left with no choice but to come up with a proper response.
- ^ Dowling, Timothy C., ed. (2015).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ABC-CLIO. p. 729. ISBN 978-1598849486.
In May 1826, Russia therefore occupied Mirak, in the Erivan khanate, in violation of the Treaty of Gulistan.
- ^ Hambly, Gavin (1991). "The traditional Iranian city in the Qājār period". In Avery, Peter; Hambly, Gavin; Melville, Charles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7).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52. ISBN 978-0521200950.
Erivan was renowned for its strong natural defences and the impressive fortifications maintained by its governor between 1807 and 1827, the famous sardār, Husain Qulī Khan, which were said to be the strongest in the country.
- ^ 케텐호펜, 부르누티안 & 휴센 1998, 542-551페이지. "(...) 페르시아 통치 말기 무렵인 1776년에 지어졌다."
- ^ a b c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49
- ^ a b c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62
- ^ a b c Bournoutian 1980, 12-13페이지.
- ^ a b c d e f 부르누티안 1980, 페이지 15
- ^ a b c d e f g h i j k l 부르누티안 1980, 페이지 3
- ^ a b c d Bournoutian 1980, 페이지 4
- ^ 부르누티안 1980, 페이지 12
- ^ a b c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63
- ^ a b c Bournoutian 1980, 페이지 1-17.
- ^ a b 부르누티안 1980, 페이지 14
- ^ Bournoutian 1980, 페이지 11-13.
- ^ a b c 부르누티안 1980, 13페이지
- ^ a b c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35 (note 25).
-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xiv.
- ^ Erivan.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c Dictionary.
- ^ Lynch, H. F. B. (1901). Armenia: Travels and Studies. Volume I: The Russian Provinces. London: Longmans, Green, and Co. p. 225.
- ^ 이반 쇼팽(1840).Нѣкоторыя замѣчания на книгу Обозрѣние российских владѣний за Кавказом; p. 6: "В Армянской области персиян вовсе нет.Тамошнее мусульманское народонаселение имеет происхождение татарское или курдинское", p. 111: "Ни одного персиянина нет в области".
- ^ 부르누티안 1980, 페이지 4, 15
- ^ Bournoutian 1980, 페이지 5~6.
- ^ 부르누티안 1992, 50페이지
- ^ a b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51
- ^ a b c d 부르누티안 1992, 53페이지
- ^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53-54
- ^ 부르누티안 1980, 페이지 4-5, 12
- ^ 부르누티안 1992, 54페이지
- ^ a b c d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61
- ^ a b Bournoutian 1980, 페이지 11, 13-14.
- ^ 러시아 및 소련 제국 민족 역사 사전 제임스 S.그린우드 올슨(1994), 페이지 44
- ^ William Charles Brice, Brill Academic Publishers, 1981 페이지 276의 이슬람 역사 지도책
- ^ a b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91~92
- ^ 부르누티안 1992, 페이지 83
- ^ a b c d e f g 브로어스 2019, 페이지 117
- ^ 브로어스 2019, 페이지 116
- ^ 브로어스 2019, 페이지 118
원천
- Bournoutian, George A. (1980). "The Population of Persian Armenia Prior to and Immediately Following its Annexation to the Russian Empire: 1826-1832". The Wilson Center, Kennan Institute for Advanced Russian Studies.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Bournoutian, George A. (1982). Eastern Armenia in the Last Decades of Persian Rule 1807-1828: A Political and Socioeconomic Study of the Khanate of Erevan on the Eve of the Russian Conquest. Undena Publications. pp. 1–290. ISBN 978-0890031223.
- Bournoutian, George A. (1992). The Khanate of Erevan Under Qajar Rule: 1795-1828. Mazda Publishers. pp. 1–355. ISBN 978-0939214181.
- Bournoutian, George A. (2002). A Concise 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Mazda Publishers.
- Bournoutian, George A. (2004). "ḤOSAYNQOLI KHAN SARDĀR-E IRAVĀNI". Encyclopaedia Iranica, Vol. XII, Fasc. 5. pp. 519–520.
- Bournoutian, George A. (2006). A Concise 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5 ed.). Costa Mesa, California: Mazda Publishers. ISBN 1-56859-141-1.
- Broers, Laurence (2019). Armenia and Azerbaijan: Anatomy of a Rival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978-1474450522.
- Floor, Willem M. (2008). Titles and Emoluments in Safavid Iran: A Third Manual of Safavid Administration, by Mirza Naqi Nasiri. Washington, DC: Mage Publishers. ISBN 978-1933823232.
- Kettenhofen, Erich; Bournoutian, George A.; Hewsen, Robert H. (1998). "EREVAN". In Yarshater, Ehsan (ed.). Encyclopædia Iranica, Volume VIII/5: English IV–Eršād al-zerāʿa.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pp. 542–551. ISBN 978-1-56859-0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