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의 왕

King of Hungary
헝가리 사도왕
Royal coat of arms of the Kingdom of Hungary (1915-1918; angels).svg
Emperor karl of austria-hungary 1917.png
마지막 왕위 계승
샤를 4세
세부 사항
스타일.교황폐하
제1군주스테파노 1세
마지막 군주샤를 4세
형성1000년 12월 25일
폐지1918년 11월 16일
사는곳부다 성
임명자유전적인
가식자카를 대공

헝가리 왕(헝가리어: magyar kiraly)은 1000년부터 1918년까지 헝가리 왕국국가 원수였다.1758년 교황 클레멘스 13세에 의해 "헝가리의 아포스토리 왕"(아포스토리 마자르 키랄리)이라는 칭호 스타일이 승인되었고 [1]이후 헝가리의 모든 군주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타이틀의 설정

서기 1000년 이전에는 헝가리는 왕국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헝가리의 통치자헝가리인의 대공으로 불렸다.헝가리의 초대 왕 스테파노 1세는 교황 실베스터 2세가 보낸 왕관과 신성 로마 황제 오토 3세의 동의를 얻어 1000년 12월 25일(또는 1001년 1월 1일)에 왕위에 올랐다.

스테판 1세의 대관식 이후 헝가리와 아르파드 왕조모든 군주는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그러나 헝가리의 모든 통치자가 왕이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테판 보크스카이와 프란체스코 2세 라코치는 헝가리 대공으로 선포되었고, 야노스 후냐디, 라요스[2] 코수트, 미클로시 호로시 세 명의 헝가리 총독도 있었다.

대관식이 합법적이기 위한 법적 요건

13세기부터 왕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절차가 확립되었다.다음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서는 헝가리의 합법적인 국왕이 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왕국의 무결성에 대한 일정 수준의 보호를 의미했다.예를 들어, 헝가리의 성관을 훔치는 것은 더 이상 합법적인 왕이 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첫 번째 요구 사항(에스테르곰 대주교에 의한 대관식)은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특별 허가를 바탕으로 칼록사 대주교 베르톨드에 의해 왕위에 오른 벨라 3세에 의해 확정되었다.대관식 후에 그는 이 대관식이 왕을 왕위에 앉히려는 에스테르곰 대주교들의 관습적인 주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1211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에스테르곰 대주교 요한과 칼록사 대주교 베르톨드와의 영유권 이양에 대한 합의를 확인하는 것을 거부하였고, 그는 에스테르곰 대주교만이 헝가리 국왕의 왕관을 쓸 권리가 있다고 선언했다.

1301년 5월 헝가리 국왕 찰스 1세는 에스테르곰 대주교에 의해 임시 왕관을 쓰고 에스테르곰에서 왕위에 올랐다.이것이 1309년 6월에 그의 두 번째 대관식을 가져왔다.당시 성관은 사용되지 않았고, 그는 부다에서 에스테르곰 대주교에 의해 왕관을 썼다.그러나, 그의 마지막 세 번째 대관식은 1310년 세케스페헤르바르에서 신성왕실과 에스테르곰 대주교에 의해 거행되었다.그리고 왕의 대관식은 절대적으로 합법적으로 여겨졌다.

한편, 1439년, 룩셈부르크의 엘리자베스 여왕은 그녀의 시녀 중 한 명에게 비제그라드 궁전에서 신성왕관을 훔치도록 명령하고, 그녀의 갓 태어난 아들 라디슬라프 5세의 대관식을 홍보했는데, 이것은 에스츠곰 대주교에 의해 합법적으로 행해졌다.

마티아스 코르비누스신성 로마 황제 프레데릭 3세의 소유였던 신성 왕관을 반환하기 위해 협상했을 때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다.그것이 반환된 후, 마티아스는 합법적으로 왕위에 올랐다.

왕위 계승

레오폴드 2세의 대관식. 1790년 마르틴 대성당 포즈니, 1563년부터 1830년까지 헝가리 대관식 장소

모든 전통적인 군주제에서와 같이, 상속자는 이전 헝가리 왕의 남성 계통을 통해 내려왔다.헝가리 전통에 따라 이 권리는 대개 동생들에게 넘어갔다가 이전 왕의 아들에게 넘어갔고, 이는 여러 차례 집안 분쟁을 일으켰다.최초의 헝가리 왕가의 창시자는 895년 카르파티아 분지로 그의 백성들을 이끌었다.400년 이상 통치한 그의 후손들은 성 스테판 1세, 성 라디슬라우스 1세, 앤드류 2세, 그리고 벨라 4세였다.1301년 아르파드 왕가의 마지막 일원이 사망했고, 카를 1세는 스테파노 5세의 딸인 친할머니 메리 명의로 왕좌를 주장했다.1395년 찰스 1세의 손녀인 마리아가 사망하면서 직계가 다시 끊어졌고, 마리아의 남편 지기스문트는 왕실의 이름으로 귀족들에 의해 선출된 후 계속 군림하였다.

에, 마티아스 코르비누스는 왕국의 귀족들에 의해 선출되었고, 귀족 가문에서 온 최초의 헝가리 군주가 되었다.같은 일이 수십 년 후에 모하크 전투에서 루이 2세가 죽은 후 1526년에 선출된 존 자폴랴에게 일어났다.

그 후 합스부르크 왕가는 왕위를 물려받았고 오스트리아로부터 1918년까지 거의 400년 동안 헝가리를 통치했다.

헝가리 국왕이 사용한 기타 칭호

수세기에 걸쳐 헝가리 왕들은 몇몇 이웃 국가들의 왕관을 얻거나 차지했고, 그들은 그 나라들과 관련된 왕실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마지막 왕들의 시대까지, 그들의 정확한 스타일은 "신의 은총으로, 헝가리의 사도 왕,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라마, 세르비아, 갈리시아, 로도메리아, 쿠마니아, 불가리아, 트란실바니아의 대공, 스켈리스 백작"이었다.

"교황제"이라는 호칭은 1758년 교황 클레멘스 13세에 의해 확정되었고 이후 헝가리의 모든 왕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슬라보니아의 "이라는 호칭은 드라바 과 사바 강 사이의 영토를 가리켰다.그 호칭은 Ladislaus I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091년 "크로아티아 왕"이라는 칭호를 채택한 것도 라디슬라프 1세였다.콜로만은 1105년에 "달마티아 왕"이라는 문구를 왕실 스타일에 추가했다.

"라마의 왕"이라는 호칭은 1136년 벨라 2세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세르비아의 "이라는 칭호를 택한 것은 에메릭이었다."갈리시아의 왕"이라는 문구는 할리히에 대한 우월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반면, "로도메리아의 왕"이라는 호칭은 볼히니아를 가리키며, 두 호칭 모두 1205년에 앤드루 2세에 의해 채택되었다.1233년 벨라 4세는 당시 쿠만족(즉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이 정착한 영토에 대한 통치를 표현한 "쿠마니아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불가리아의 왕"이라는 문구는 스테파노 5세에 의해 왕실 스타일에 추가되었다.

트란실바니아는 원래 voivode에 의해 지배된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지만, 1526년 이후 오스만 제국, 그리고 나중에는 합스부르크 왕정의 반독립 공국이 되었다.1696년, 미하일 2세 아파피 왕자를 폐위시킨 후 레오폴트 1세는 "트란실바니아의 왕자"라는 칭호를 얻었다.1765년 마리아 테레사는 트란실바니아를 대공국으로 승격시켰다.

"세켈리스 백작"은 원래 헝가리 왕국의 고위 관리였지만, 나중에 트란실바니아의 왕자들에 의해 그 칭호가 사용되었습니다.이 호칭은 세켈리 가문의 요청에 따라 채택한 마리아 테레사의 통치 기간 동안 부활되었다.

재위 기간

헝가리 최장기 군주

# 이름. 통치. 지속
부터 로. 날들 년/일
1 프란츠 요제프 1세 1848년 12월 2일 1916년 11월 21일 24,825 67년 355일
2 지기스문트 1387년 3월 31일 1437년 12월 9일 18,515 50년 253일
3 레오폴트 1세 1657년 4월 2일 1705년 5월 5일 17,564 48년 33일
4 프란시스 1792년 3월 1일 1835년 3월 2일 15,705 43년 1일
5 루이 1세 1342년 7월 21일 1382년 9월 10일 14,661 40년 51일
6 마리아 테레사 1740년 10월 20일 1780년 11월 29일 14,650 40년 40일
7 스테파노 1세 1000년 12월 25일 1038년 8월 15일 13,747 37년 233일
8 페르디난도 1세 1526년 12월 17일 1564년 7월 25일 13,735 37년 221일
9 벨라 4세 1235년 10월 14일 1270년 5월 3일 12,620 34년 201일
10 카를로스 1세 1308년 11월 17일 1342년 7월 16일 12,294 33년 241일

헝가리 최단기

# 이름. 통치. 지속
부터 로. 날들
1 찰스 2세 1385년 12월 31일 1386년 2월 24일 55
2 라디슬라프 3세 1204년 11월 30일 1205년 5월 7일 158
3 오토 1305년 10월 9일 1307년 5월 c. 599
4 앨버트 1437년 12월 18일 1439년 10월 27일 678
5 샤를 4세 1916년 11월 21일 1918년 11월 16일 725
6 레오폴트 2세 1790년 2월 20일 1792년 3월 1일 740
7 스테파노 5세 1270년 5월 1272년 8월 6일 c. 814
8 벨라 1세 1060년 12월 6일 1063년 9월 11일 1,009
9 사무엘 아바 1041년 9월 1044년 7월 5일 c. 1,029
10 게자 1세 1074년 3월 14일 1077년 4월 25일 1,138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헝가리 왕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특정인에게만 적용되는 호칭으로 대문자로 표기되지만, 이 기사에서는 진실, 친절, 아름다움 의 개념을 대문자로 표기하는 철학적 글씨처럼 헝가리의 왕이나 주니어 킹스(Junior Kings)도 대문자로 표기되어 있다.
  2. ^ 코수스의 지위는 정부 형태(공화국 또는 군주제)에 대한 문제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애매했다.

레퍼런스

  • Korai Magyar Történeti Lexikon(9~14. szazad), fszerkest krist: 크리스토, 줄라, szerkestztk: 엥겔, 팔레, 페렌츠(Akademiai Kiado, 부다페스트, 1994).
  • Magyarorszgg Történeti Kronologiaja I-II.Azdetektl 1526-ig; 1526-1848, 1848-1944, fszerkest:: 벤다, 칼만, 칼마나이 키아도, 1982, 1993.
  • Magyar Történnelmi Fogalomtar I-II A-K; L-ZS, f fzerkest: : Bahn, Péter (부다페스트 곤돌라트, 1989년)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