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텐(적색 왜소)

Kryten (Red Dwarf)
"크리텐"
적색 왜성 에피소드
Kryten (Red Dwarf).jpg
리스터, 림머, 캣은 추락한 선박 노바 5호에서 여성들을 만난다.
에피소드시리즈 2
에피소드 1
연출자에드 바이
작성자롭 그랜트 & 더그 네일러
오리지널 에어 날짜1988년 9월 6일 (1988-09-06)
게스트 출연
크리텐 역의 데이비드 로스
에스페란토 우먼 역의 요한나 하그리브스
토니 슬래터리(Android Actor) 역
에피소드 연대기
이전
"Me²"
다음
"Better Than Life"
에피소드 목록

'크리텐'은 시리즈 2의 첫 방송인 공상과학 시트콤 '레드왜성'의 7회 분화로[1] 1988년 9월 6일 BBC2에서 첫 방송됐다.[2]롭 그랜트더그 네일러가 쓰고 에드 바이 감독이 연출을 맡은 이 에피소드는 기계로이드 캐릭터 크리텐을 소개했다.이 에피소드는 1998년에 첫 번째 세 시리즈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다시 제작되었다.

플롯

적색 왜성은 추락한 우주선 노바 5호로부터 조난 전화를 받는다.아놀드 림머(크리스 배리), 데이브 리스터(크라이그 찰스), (대니쥘스)이 통화 내용을 확인하자 여성 승무원 3명을 제외한 승무원 전원이 사망했다고 신고하는 서비스 기계로이드 크리텐(데이비드 로스)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그들을 구조하기 위해 열심이지만 홀리(노르만 러브트)로부터 배우면 적색 왜성이 추락 현장에 도착하는데 24시간이 걸릴 것이다.노바 5호에 탑승한 후, 그들은 그 여성들 역시 죽었고 크리텐은 수 세기 동안 이것을 잊고 있었다는 것을 재빨리 알게 된다.

리스터는 이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납득시키자마자 크리텐이 어떻게 대처할지 의문을 품을 때 그를 적색 왜성으로 다시 데려오기로 결심한다.[3]일단 배에 올랐을 때, 림머는 그를 주로 리스터의 역겨움으로 이용했다.결과적으로, 리스터는 말론 브랜도와 제임스 딘이 주연한 영화를 보게 함으로써 크리텐을 스스로 살게 하려고 한다.그의 계획은 먹혀들지 않는 듯 보이지만, 크리텐의 초상화 요청으로 인해 화장실을 이용하면서 제독복을 입고 홀로그램을 그리게 되자 림머는 화가 난다.크리텐은 림머를 모욕하고 침대를 망가뜨리는 등 리스터의 과외와 반역자들에게 용기를 불어넣은 뒤 리스터의 우주 자전거를 빌려달라고 요청하고 속도를 내어 즐긴다.

생산

작가들은 거대한 적색왜성 선박이 스스로 충분한 이야기 자료를 만들어내지 못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 시리즈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수용하기 위해 작은 우주선인 블루 미젯이 승무원들을 서로 다른 장소에서 나르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그 새 배는 A에서 B로 갈 "하루하루의 차"를 기반으로 했다.소형선박은 소형선박 내부에 맞게 미니어처 승무원 모델이 제작됐고 적색왜성선 영상에 촬영이 추가됐다.[5]

데이비드 로스가 크라이튼 화장에 들어가는 데까지 최대 8시간이 걸렸다.

원래 주인공이 되기 위한 것이 아니었고 시리즈 2에서는 다시 볼 수 없는 크리텐의 첫 출연이다.데이빗 로스는 이 에피소드에서 크리텐을 연기했지만, 일정상 충돌로 인해 로버트 릴리언이 시리즈 III부터 정식 선수가 되었을 때 그 역할을 연기했다.[6]작가들은 이 관행을 공상과학소설의 진부한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로봇 캐릭터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했었다.[4]

크리텐의 등장은 머리가 각진 기계처럼 생긴 집사의 모습이었다.헤드 마스크는 메이크업 및 효과 팀에 가장 많은 문제를 제공했다.원래 마스크에 사용되었던 보형물 거품이 계속 떨어져 나갔고, 결국 라텍스 조각이 제작되었다.[7]처음에 데이빗 로스는 완전한 크라이튼 메이크업을 하는 데 8시간이나 걸렸다.설상가상으로 로스는 폐소공포증을 앓았다.[8]

요한나 하그리브스는 에스페란토 선생님으로 출연했고 토니 슬래터리안드로이드 텔레비전 쇼에서 안드로이드 배우의 목소리를 연기했다.[9]

문화참고

  • 하워드 구달은 호주의 드라마 이웃을 염두에 두고 안드로이드의 주제곡을 썼다.비슷한 가사와 곡조가 담긴 이 곡은 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다듬어졌다.[10]
  • 리스터는 말론 브랜도 반군 연설을 포함한 이 영화들이 그의 비굴한 프로그래밍을 깨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크리텐이 <야생 원>, <이유 없는 반란군>, <이지 라이더>와 같은 고전적인 반란 영화를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크라이튼은 말론 브란도를 에피소드 마지막 줄에서 인용했다.림머는 "무엇에 반항하는 거야?"라고 물었고, 크리텐은 영향을 받은 목소리로 "뭐가 있지?"[11]라고 대답한다.
  • 적색왜성 대원들이 테이블 주변의 해골들을 만나는 장면에서, 림머는 원래 "닭 맥너겟보다 고기를 덜 먹는다!"고 말한다.맥도날드에 대한 언급 없이 이 대사는 "치킨 너겟"으로 편집되었다.[12]

리셉션

원래 1988년 9월 6일 영국 텔레비전 채널 BBC2에서 오후 9시 저녁 9시 방송으로 방영된 이 에피소드는 평균 시청률을 기록하며 시청자들의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13][14]한 평론가는 "크리텐이 좀 과하지 않다면 이 에피소드는 훌륭한 작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PO-ish."[15]이 에피소드 역시 1992년 '적색왜성지' 독자 투표에서 1.4%의 득표율로 22위를 기록하는 등 팬들의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이로써 시리즈 2편 중 가장 낮은 순위에 올랐다.[16]

리마스터링

시리즈 I부터 III까지의 리마스터링은 1990년대 후반에 실시되었다.[17]시리즈 전반에 걸친 변화에는 그림의 색 등급과 필름 작업,[18][19] 컴퓨터만들어내는 적색[20] 왜성의 특수 효과, 그리고 더 많은 시각 및 오디오 향상 등이 포함되었다.[20]"크리텐"에 특화된 변화들은 크리텐이 리스터의 우주 자전거를 적색 왜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우주로 날려 보내는 새로운 결말을 포함한다.[21]

참고 항목

  • 최초적색왜성 소설인 인피니티는 이 에피소드부터 사건의 확대 버전을 다루고 뒷이야기를 바탕으로 전개된다.[22]
  • "Backwards"는 크리텐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시리즈 III 에피소드다.

메모들

  • 림머가 홀로그램으로 사물을 만지는 모습은 비록 다른 홀로그램에 불과하지만 처음 보는 에피소드다.

참조

  1. ^ "TV.com — Kryten summary". tv.com. Retrieved 24 January 2008.
  2. ^ "British Sitcom Guide — Red Dwarf — Series 2". sitcom.co.uk. Retrieved 24 January 2008.
  3. ^ Howarth & Lyons(1993) 페이지 52.
  4. ^ a b "Red Dwarf Series II Writing". reddwarf.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pril 2008. Retrieved 7 January 2008.
  5. ^ "Red Dwarf Series II Effects". reddwarf.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06. Retrieved 7 January 2008.
  6. ^ 시리즈 II 에피소드 가이드, 적색 왜성 스메가진, 1992년 7월 5일 발행, 플리트웨이 에디션 Ltd, ISSN 0965-5603
  7. ^ "Red Dwarf Series II Casting". reddwarf.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06. Retrieved 7 January 2008.
  8. ^ 인터뷰:데이비드 로스, 적색 왜성 스메가진, 1992년 3월 1일자, 플리트웨이 에디션 Ltd, ISSN 0965-5603
  9. ^ "Kryten cast and crew". IMDb. Retrieved 24 January 2008.
  10. ^ "Red Dwarf Series II Music". reddwarf.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06. Retrieved 7 January 2008.
  11. ^ "Kryten movie connections". IMDb. Retrieved 8 January 2008.
  12. ^ ""Red Dwarf" Kryten (TV Episode 1988) – Goofs – IMDb>". IMDb. Retrieved 7 March 2018.
  13. ^ "BBC Programme Catalogue — RED DWARF –". BBC. Retrieved 7 December 2007.[데드링크]
  14. ^ "Red Dwarf Series II Aftermath". reddwarf.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pril 2008. Retrieved 24 January 2008.
  15. ^ "Red Dwarf Episode Guide: Series II". reviewsbygavrielle.com. Retrieved 24 January 2008.
  16. ^ 독자 조사 결과, 적색 왜성 스메가진, 페이지 27, 1992년 12월 10일, 플리트웨이 에디션 Ltd, ISSN 0965-5603
  17. ^ "Remasters of the Universe". reddwarf.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anuary 2008. Retrieved 28 January 2008.
  18. ^ "Red Dwarf Series I Remastering". reddwarf.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08. Retrieved 30 January 2008.
  19. ^ Remastering Crew (2007). The End Re-Mastered DVD Commentary (DVD). Bodysnatcher DVD Boxset Red disc: BBC.
  20. ^ a b Remastering Crew (2007). 'Re-Dwarf' Documentary (DVD). Bodysnatcher DVD Boxset Red disc: BBC.
  21. ^ Remastering Crew (2007). Kryten text commentary (DVD). Bodysnatcher DVD Boxset, Blue disc: BBC.
  22. ^ Howarth & Lyons(1993) 페이지 206.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