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가카츠난
Kuga Katsunan쿠가카츠난 | |
---|---|
![]() 쿠가카츠난 | |
태어난 | 1857년 11월 30일 일본 아오모리 히로사키 |
죽은 | 1907년 9월 2일 일본 가나가와시 가마쿠라 | (49)
직업 | 기자 |
장르. | 신문들 |
가쓰난 구가(陸uga, 1857년 11월 30일 ~ 1907년 9월 2일)는 메이지 시대 일본 제국에 거주하던 기자의 호칭이다.본명은 나카타 미노루였다.
전기
구가는 무쓰 국(현 아오모리 현) 히로사키 시에서 히로사키 번 남부 다이묘의 정식 의사로 태어났다.미야기 현 미야기 사범학교에 다녔으나 사쓰마 국 출신인 교장의 폭언으로 인해 부득이 그만두게 되었다.이로써 구 사쓰마·조슈 지역 출신들이 한바쓰 체제에 평생 반대하며 메이지 정부를 지배한 것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미야기를 떠나 법무부 법대에 입학했다.하지만 하라 타카시와 함께 학교의 방·이사회 정책에 반대하는 학생 시위로 제명되는 등 다시 졸업을 하지 못했다.
홋카이도에서의 짧은 기간 후, 쿠가는 불어를 공부하기 위해 도쿄로 돌아왔다.1883년 대평의회 문서국(다조칸)에서 근무하기 시작하여 이노우에 가오루와 친분이 생겼다.1885년 내각제가 성립된 후 내각관보국 편집과장이 되었다.1885년 쿠가는 프랑스 보수 정치 철학자 조셉 드 마이스테르의 작품 일부를 일본어로 번역했다.이 기간 동안 쿠가 자신의 정치 철학은 로쿠메이칸이 묘사한 것처럼 정부의 유럽화 프로그램에 대한 반대, 서구 만물을 맹목적으로 숭배하는 현재의 추세, 일본 역사와 일본의 도덕적 가치에 대한 거부 등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었다.[1]1888년 관직에서 물러났다.
구가는 1888년 4월 도쿄덴포(東京덴포, 도쿄텔레그래프)라는 신문을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나, 유사이름의 상업신문인 쇼쿄덴포(쇼쿄덴포, 공업텔레그래프)와의 독자 혼란으로 1889년 단순 닛폰(日本, 일본)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이 신문은 구가가 이상주의적인 일본 민족주의와 자유주의를 혼합한 플랫폼으로, 니혼슈기라는 꼬리표가 붙었다.[2]쿠가는 이렇게 썼다.
강대국들 틈에 서서 민족의 독립을 지키고자 한다면 민족주의("고쿠민슈기")를 함양하기 위해 항상 노력해야 한다...한 나라의 문화가 다른 나라의 영향을 받아 그 나라의 고유한 특성을 완전히 상실한다면, 그 나라는 분명 독자적인 기반을 잃게 될 것이다.[3]
쿠가는 자신의 신문을 사용하여 정치 보수주의자와 정부에 고착된 관료주의를 모두 공격했다.그 결과 정부 검열관의 분노를 끌어내는 피뢰침이었지만 폭넓은 독자층을 얻기도 했다.1889년과 1896년 사이에 정부 검열관은 쿠가의 신문을 총 260일 동안 30차례나 폐쇄했다.[4]쿠가의 정치 도덕에 관한 사설은 그의 논란이 많은 정치 이론의 전개에 영향을 끼쳤는데, 여기서 그는 일본의 천황은 절대적 임의의 정치 권력이 아니라 국민의 복지를 위해 존재하는 정부의 "조직"이라고 가정했다.[5]
쿠가는 1906년 결핵으로 쓰러질 때까지 신문사 사장 겸 주필로 계속 근무했다.
구가는 도쿄에서 가마쿠라로 이주하였으나 건강이 회복되지 못하여 1907년 사망하였다.
참조
- Hane, Mikiso (2001). Modern Japan: A Historical Survey. Westview Press. ISBN 0-8133-3756-9.
- Keene, Donald (1992). Dawn to the West: Poetry, Drama, Critic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1439-7.
- Klein, Susanne (2002). Rethinking Japan's Identity and International Role: Tradition and Change in Japan's Foreign Policy. Routledge. ISBN 0-415-93438-9.
- Tanaka, Stefan (1995). Japan's Orient: Rendering Pasts into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8133-3756-9.
- Van Wolferen, Karel (1990). The Enigma of Japanese Power: People and Politics in a Stateless Nation. New York: Vintage. ISBN 0-679-72802-3.
- Wakabayashi, Bob T (1998). Modern Japanese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88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