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야시오 해류
Oyashio Current오야 시우, 옥호츠크 또는 쿠릴레 해류로도 알려진 오야시오(親潮, "Parental Traise")는 서북태평양에서 남하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순환하는 차가운 아북극성 해류다. 오야시오 해류의 물은 북극해에서 발원하여 베링해를 거쳐 남쪽으로 흘러 베링 해협을 지나 북극해의 찬물을 태평양과 오호츠크 해역으로 운반한다. 일본 동부 해안에서 쿠로시오 해류와 충돌하여 북태평양 해류(또는 표류)를 형성한다. 영양분이 풍부한 오야시오는 해양 생물을 공급하고 기르는 부모( (, oya)로서의 은유적인 역할로 이름이 붙여졌다.[1][2]
조류는 러시아 극동의 기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주로 나무 생육의 북방한계선을 시베리아 내륙에서 도달할 수 있는 위도에 비해 10도까지 남쪽으로 이동한다. 오야시오 해류의 물은 아마도 냉수 함량이 매우 높고, 어떤 지역에서는 매우 높은 조수(최대 10m(33ft))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어장이 될 것이다. 이것은 영양소의 이용 가능성을 더욱 높여준다. 그러나 오야시오 해류는 또한 블라디보스토크를 계절에 따라 가장 적도가 높은 항구로 만들고 겨울에도 쇄빙선을 계속 개방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조수는 얼음이 그렇게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것은 옥호츠크해를 통한 물고기 수확량에 상대적으로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빙하 기간 동안, 해수면이 낮아지면 베링 육교가 노출되었을 때, 오늘날 오야시오가 영향을 미치는 지역에서는 전류가 흐를 수 없었다. 빙하 조건의 시작과 함께 냉각의 수준은 비슷한 위도에서 지구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적었다. 이로 인해 잠재적으로 빙하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강설량을 가진 동아시아의 유일한 지역인 도호쿠와 홋카이도는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대부분 빙하가 빙하되었던 기간 동안 높은 고도를 제외하고는 광택이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빙하의 부족은 현재의 기후가 대부분의 유럽보다 훨씬 더 춥지만, 동아시아가 플리오세 나무 생성의 96%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유럽은 27%[citation needed]만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참고 항목
참조
- ^ Qiu, Bo (2001). "Kuroshio and Oyashio Currents". Encyclopedia of Ocean Sciences (PDF). Academic Press. pp. 1413–25.
The upwelled, nutrient-rich water feeds the Oyashio from the north and leads to its nomenclature, parent (oya) stream (shio).
- ^ Glattstein, Judy (1996). Enhance Your Garden with Japanese Plants. Kodansha International. p. 16. ISBN 978-1-56836-137-6.
[...] currents whirl around and ascend, and nourish microscopic plankton. Oyashio is thus the parent of fishes.
- Reddy, MPM(2001): 서술적 물리 해양학. 테일러와 프란시스, ISBN 90-5410-706-5, 페이지 3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