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바노테이션
Labanotationlabanotation(문법적으로 올바른 형태의 "Labannotation" 또는 "Laban 표기법"은 드물다)은 인간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기록하는 시스템이다.발명가는 1920년대 운동에 관한 그의 표기 사상을 발전시킨 유럽 현대 무용의 중심인물인 루돌프 폰 라반(1879~1958)이었다.[1][2]
역사
이 주제에 대한 라반의 첫 번째 책은 1928년 독일어로 Schriftttanz (Swrited Dance)라고 출판되었다;[3] 프랑스어와 영어로 된 유사한 버전이 1930년에 나왔다.[2]몇 년 후 라반의 관심은 다른 문제로 쏠렸고 그는 그의 표기법을 세상에 알렸다.[2]1930년까지 라반의 딸 아즈라(아즈라엘아)와 함께 탄츠슈라이브스튜브(최초 무용 표기국)를 설립한 독일의 무용가 겸 안무가 겸 페다고그 알브레히트 크누스트는 최초의 전속 키네토그래머 이동 공증인이었다.[4]1946-1950년 크누스트는 그의 주요 작품인 Das Handbuch der Kinetographie Laban(키네토그래피 라반 설명서)을 독일어로 8볼륨으로 썼으며,[4] 1951년에 활자화된 탄소 복사본이 영어로 나타났다.[2]앤 허친슨 게스트(Ann Hutchinson Guest)와 전 시구르드 리더(Sigurd Leeder)의 제자로, 전 라반 학생 이르마 베츠(Irma Betz)가 가르친 다양한 실무자들 간의 시스템 차이를 연구하여, 라반, 크누스트(Knust), 리더(Leeder)와 개인적으로 운동의 세부사항과 협의할 기회를 가지며, 그것을 더 발전시켰다.[2]그 두 체제는 다소 다르다.
라반의 표기법은 라반 무브먼트 분석, 로봇공학, 인간 무브먼트 시뮬레이션 등 다른 응용 분야에서도 무용 표기법의 한 종류로 사용된다.Labanotation을 사용하면 어떤 형태의 인간 움직임도 기록할 수 있다.그 근거는 자연적인 인간의 움직임이며, 모든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이 표기법은 해부학적 분석, 문자 코드, 스틱 피겨, 음악 노트, 트랙 시스템 또는 워드 노트에 기초한 다른 이동 표기 시스템과 대조되는 공간 모델과 개념의 측면에서 움직임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 시스템은 시간적 패턴, 행동, 평면도, 신체 부위, 공간의 입체적 사용을 정확하고 정확하게 묘사한다.라반의 표기법은 결국 현대의 라바노테이션과 키네토그래피 라반으로 진화했다.
Labanotation과 Kinetography Laban은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Labanotation은 미국과 영국의 Labanotation, 그리고 Kinetography Laban은 독일과 다른 유럽 국가에서 각각 진화했다.[4]서로 다른 진화 경로의 결과, 키네토그래피 라반은 창시 이래 크게 변하지 않은 반면, 라바노테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진화했다.예를 들어, 무용 표기국 회원들의 지시에 따라, 동작의 동기나 의미를 전할 수 있도록 라바노테이션 제도를 확대하였다.반면 키네토그래피 라반 실무자들은 운동을 기술하기 위해 공간적 설명만으로 기존 표기법의 제약 내에서 일하는 경향이 있다.[5]
키네토그래피 라반 국제평의회는 라바노테이션과 키네토그래피 라반 간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 표준화하며 제거하기 위해 1959년에 창설되었다.덕분에, 하나 또는 둘 다 현재 전 세계에서 거의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어느 한 시스템의 실무자들이 읽을 수 있다.
주요개념
Labanotation은 추상 기호를 사용하여 다음을 정의한다.
- 이동 방향 및 수준
- 움직임을 하는 몸의 일부분
- 이동[6] 기간
- 이동의 동적 품질
이동 방향 및 수준
방향 기호의 모양은 공간의 9가지 다른 방향을 나타내고, 기호의 음영은 이동 수준을 명시한다.
각 "방향 기호"는 신체 부위 또는 사지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의 선의 방향을 나타낸다.[7]즉, "방향 표시는 사지가 기울어져야 하는 방향을 나타낸다."[8]
방향 기호는 높음, 중간, 낮음(또는 깊음)의 세 가지 수준으로 구성된다.
움직임을 하는 몸의 일부분
라바노테이션은 사실, 즉 운동의 틀에 대한 기록으로, 그것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호는 수직 스태프 위에 놓이고, 스태프의 수평 치수는 신체의 대칭을 나타내며, 수직 치수는 지나가는 시간을 나타낸다.
직원의 기호 위치는 기호가 나타내는 신체 부위를 정의한다.스태프의 중심선은 신체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오른쪽은 신체의 오른쪽을 상징하며, 왼쪽은 상징을 나타낸다.
이동 기간
스탭은 아래에서 위로 읽히고 기호의 길이는 이동의 지속시간을 규정한다.서양 음악 표기법에 따라, Labanotation은 막대선을 사용하여 이동 점수의 시작과 끝에 측정값과 이중 막대선을 표시한다.댄서의 출발 위치는 점수 시작 시 더블 바 라인 앞에 주어질 수 있다.
이동은 "한 지점에서 다음 지점으로의 전환", 즉 하나의 "방향 목적지"로 표시된다.[9]
공간 거리, 공간 관계, 무게의 전이, 무게 중심, 턴, 신체 부위, 경로 및 평면도 모두 특정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점프는 지지 기둥에 기호가 없는 것으로 표시되며, 신체의 어떤 부분도 바닥에 닿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동의 동적 품질
동적 품질은 종종 노력 표시의 사용을 통해 표시된다(Laban Movement Analysis 참조).
네[10] 가지 노력의 범주는
- 공간: 직접/간접
- 중량: 강/경량
- 시간: 급/지속
- 흐름: 바운드/자유
Labanotation의 역학관계는 신체적 또는 정서적 동기에 기인하는 에너지의 상승 또는 하강을 나타내는 기호(예: 물리적으로 강력한 대 강렬한 감정 상태)를 통해서도 나타난다.
모티브 표기법
모티브 설명 또는 선호 용어인 '모티프 표기법'은 같은 계열의 기호와 용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 라바노테이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Labanotation은 동작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되어 동작이 생성되거나 수행된 대로 재현될 수 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모티프 표기법은 운동 순서의 전체적인 구조나 필수적인 요소를 묘사하는 핵심 요소와 레트모티프를 강조한다.춤 즉흥연주를 위한 구조를 설정하거나 운동개념에 대한 교육적 탐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춤에 국한되지 않고 모티프 표기법은 골프채를 휘두를 때, 극 중 캐릭터의 주요 특징이나 치료 시간에 사람의 움직임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참조
- ^ McCaw, Dick (2011). "The Laban Sourcebook". London, New York: Routledge Taylor & Francis. p. 1. ISBN 9780415543330.
- ^ a b c d e Hutchinson Guest, Ann (2015). "Early Development and Publications in Kinetography Laban/Labanotation" (PDF). New York: Dance Notation Bureau Library.
- ^ McCaw 2011, 페이지 98, 129, 138, 160.
- ^ a b c McCaw 2011, 페이지 162.
- ^ 앤 허친슨 게스트와의 인터뷰(2012년 8월).
- ^ Janis Pforsich가 작성한 "Laban Movement Analysis" 핸드북.판권 제니스 포리히 1977년
- ^ 허친슨, 앤 라바노테이션 또는 키네토그래피 라반:분석 및 기록 운동의 체계(1954, 1970, 1977년.뉴욕:극장 예술서. 164-170쪽
- ^ 크누스트, 알브레히트.키네토그래피 라반 사전(레이보노테이션)제1권(1979년).플리머스: 맥도널드와 에반스. 페이지 14
- ^ 허친슨, 앤 라바노테이션 또는 키네토그래피 라반: 분석 및 기록 운동의 체계(1954, 1970, 1977년.뉴욕:연극 예술 책 15, 29페이지.
- ^ 라반, 루돌프, 로렌스 F. C. 노력 (1947)런던:맥도날드와 에반스.
추가 읽기
- Guest, Ann Hutchinson (2005). Labanotation: the system of analyzing and recording movement (4th ed.). Routledge. ISBN 978-0-203-62612-2.
- 허친슨게스트, 앤(1983).당신의 움직임: 움직임과 춤의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뉴욕: 고든과 블러드.
- 허친슨게스트, 앤(1989년).안무-그래픽; 15세기부터 현재까지의 무용 표기법의 비교.뉴욕: 고든과 블러드.
- 크누스트, 알브레히트. (1948a)라반 키네토그래피(Part I)의 개발.이동. 1: 28–29.
- 크누스트, 알브레히트(1948b).라반 키네토그래피(Part II)의 개발.이동. 1: 27-28
- 크누스트, 알브레히트. (1979a)키네토그래피 라반 사전(레이보노테이션) 제1권: 텍스트.A에 의해 번역되었다.크누스트, D. 배들리 랑, S. 아치부트, 그리고 나.워치텔.플리머스: 맥도널드와 에반스.
- 크누스트, 알브레히트(1979b).키네토그래피 라반 사전(레이보노테이션) 제2권: 예.A에 의해 번역되었다.크누스트, D. 배들리 랑, S. 아치부트, 그리고 나.워치텔.플리머스: 맥도널드와 에반스.
- 라반, 루돌프(1975)라반의 춤과 동작 표기법 원리.로데릭 란지가 편집하고 주석을 달았다.런던:맥도날드와 에반스. (1956년 처음 출판)
- 라반, 루도프. (1928년)슈리프트탄즈Wein: 유니버설.
- 프레스턴 던롭, V. (1969년)실용 키네토그래피 라반런던:맥도날드와 에반스.
- El Raheb, Katerina; Ioannidis, Yannis (2012). "A Labanotation Based Ontology for Representing Dance Movement". Gesture and Sign Language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Embodied Communicatio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7206. pp. 106–117. doi:10.1007/978-3-642-34182-3_10. ISBN 978-3-642-34181-6.
- Longstaff, J. S. (September 1996). Cognitive Structures of Kinesthetic Space Reevaluating Rudolf Laban's Choreutics In the Context of Spatial Cognition and Motor Control (doctoral). City University London.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래버노테이션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댄스 표기국 웹사이트
- 키네토그래피 라반 국제협의회 웹사이트
- Laban Lab (Labanotation의 기초 배우기)
- 크누스트 사전(키네토그래피 라반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