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칸도니아족

Lacandonia schismatica
라칸도니아족
Lacandonia.PNG
라칸도니아의 꽃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모노코츠
순서: 판다나목
패밀리: 삼나무과
속: 라칸도니아
종:
L. schismatica
이항식 이름
라칸도니아족
마르티네스 & 라모스

라칸도니아스미스마티카(Lacandonia schismatica)는 트뤼리과(Triuridae과)에 있는 균사체성 식물의 한 종이다(일부 분류학자들이 그 속을 별도의 계열, 즉 라칸도나과(Lacandona과).멕시코 남부 치아파스 주의 라칸돈 정글 지역이다.[1]이것은 극소수의 개체수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이 종을 연구하는 연구원들에 의해 멸종위기에 처한 것으로 여겨진다.[2]그리고 최근에 발견된 라칸도니아 브라질리아나와의 관계는 유일하게 알려진 꽃식물인데, 자연 개체군에서 생식용 꽃술의 공간 역전을 가지고 있다. 꽃의 중앙에는 수술대가 배치되어 있고, 그 주변의 고리에는 60에서 80개의 카펠이 배치되어 있다.[3]아마도 남성과 여성의 역행하는 위치보다 훨씬 더 주목할 만한 것이 바로 수분작용의 독특한 방식일 것이다.폴린 알갱이는 절대 다른 알갱이를 떠나지 않고, 폴린 튜브를 스탬펜의 길이를 통해 거꾸로, 콘센트를 가로질러, 그리고 아래에서 암술로 보낸다.[4]

라칸도니아 치스마티카라칸돈 정글의 약 200m(656ft) 고도에 있는 몇몇 작은 개체군에서 알려져 있다.그것은 이 열대우림 내의 그늘진 지역에서 자란다.게리트 다비드와 에스테반 마르티네스는 1990년 어떻게 이 식물이 소 목초지로의 서식지 전환을 잠식해 "극히 국지화되고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다.그들은 또한 이 종은 배양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그들은 야생에서 더 이상 발견되기 전에 다른 과학자들에게 이 독특한 유기체의 생물학을 연구하도록 장려한다고 설명한다.[5][6][7]

참조

  1. ^ 선별된 플랜트 패밀리의 Kew World Checklist
  2. ^ Davidse, G. & al. (eds.) (1994년)플로라 메소아메리카나 6: 1-543Nacional Autonoma de México, México, D.F.
  3. ^ Vergara‐Silva, Francisco; Espinosa‐Matías, Silvia; Ambrose, Barbara A.; Vázquez‐Santana, Sonia; Martínez‐Mena, Alejandro; Márquez‐Guzmán, Judith; Martínez, Esteban; Meyerowitz, Elliot M.; Alvarez‐Buylla, Elena R. (2003). "Inside‐Out Flowers Characteristic of Lacandonia schismatica Evolved at Least before Its Divergence from a Closely Related Taxon, Triuris brevistyli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164 (3): 345–357. doi:10.1086/368235. ISSN 1058-5893.
  4. ^ Mestel, Rosie (January 1995). "Is that a Pistil in Your Pocket?". Discover. 16 (1): 88-89.
  5. ^ 마르케스-구즈만, J, 바스케스-산타나, S, 엥글만, M, 마르티네스-메나, A, 마르티네스(1993) 등이 있다.라칸도니아 슈미마티카(라칸도니아과)의 꽃가루 발생과 수정.미주리 식물원 연보, 80(4): 891-897.
  6. ^ Davidse, G., Martines, E. (1990).라칸도니아 슈미마티카(라칸도니아과)의 염색체 번호.체계적 식물학, 15(4): 635-637.
  7. ^ 프란시스코 베르가라 실바, 실비아 에스피노사 마티아스, 바바라 A.암브로즈, 소니아 바스케스-산타나, 알레한드로 마르티네스-메나, 주디스 마스케스-구즈만, 에스테반 마르티네스, 엘리엇 M.마이어로위츠, 그리고 엘레나 R.알바레즈-부렐라(2003).라칸도니아 슈미스타카 특유의 바깥쪽 꽃은 적어도 밀접하게 연관된 세손인 트라이우리스 브레비스타일리스에서 분화되기 전에 진화했다.국제 식물 과학 저널, 164(3): 345-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