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하비 호
Lake Mojave모하비 호 | |
---|---|
위치 | 캘리포니아 샌버너디노 카운티 모하비 사막 |
좌표 | 35°14′28″N 116°04′49″W / 35.24113°N 116.08017°W좌표: 35°14′28″N 116°04′49″W / 35.24113°N 116.08017°W / |
호수형 | 빙하호(이전) |
일차유입 | 모하비 강 |
분지 국가 | 미국 |
지표면 표고 | 288m(945ft) |
참조 | [1][2] |
모하비 호수는 모하비 강이 공급한 고대 호수로, 홀로세 강을 통해 캘리포니아 샌 버나디노 카운티의 모하비 사막의 실버 호수와 소다 호수 분지를 점령했다. 그것의 배출구는 결국 블라이스 북쪽의 콜로라도 강으로 비워졌을지도 모른다.
지리
모하비 호수는 샌버나디노 카운티에 존재했다. 라스베가스의 도시는 모하비 호수에서 북동쪽으로 140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3]
서쪽으로는 모하비 호수가 분지에서 가파르게 솟아 있는 산과 접해 있었다. 동부는 충적팬과 페디멘트가 돋보이는 더욱 부드럽다.[3]
호수
모하비 호수는 최대 스탠드에서 표면적이 300 평방 킬로미터(120 평방 미)이고 부피는 7 입방 킬로미터(1.7 cu)이었다.[4] 모하비 호수에는 A 스탠드와 B 스탠드 등 두 개의 호수 수준 스탠드가 따로 있었다. A 스탠드는 해발 고도 287m(942ft), B 스탠드는 고도 285.4m(936ft)에 있다.[5] 그 호수는 깊이가 약 10미터(33피트)나 되었다.[6]
15명의 충적팬들이 소다 산맥과 마주보고 있는 모하비 호숫가에 인접해 있다.[7] 현재 실버레이크 유역의 북서쪽에는 40km(25mi)의 만이 존재하며, 파도타기 테라스와 해변 능선을 포함한다.[8]
모하비 호수가 이전에 존재했던 오늘날 은호와 소다 호수가 존재한다.[3] 소다호는 북쪽으로 경사져 실버호보다 높은 고도에 놓여 있어 물이 먼저 실버호를 채우는 경향이 있다.[9] 해변의 능선과 해안선은 실버 호수 유역에 과거 호수가 존재함을 증명한다.[10] 주요 해변 능선 단지는 엘 카피탄 해변 능선 단지로 이름이 붙여졌으며 자갈과 모래가 들어 있다.[11]
모하비 호수의 퇴적물과 두 개의 후임 분지가 켈소 던의 모래 공급원의 일부가 될 수 있다.[12] 사구 퇴적 연대를 보면 퇴적 사건이 모하비 호수의 수위가 안정적이지 않았던 시기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3]
수문학
유입
모하비 강은 모하비 강 유역에 이르는 주요 강이다.[3]
모하비 강의 대부분의 물은 결국 남서쪽으로 201km(125mi) 떨어진 샌버너디노 산맥에서 나온다.[3] 강수는 극지방 제트기류의 남쪽 이동에 반응하여 증가했다;[14] 이것과 홍수는 아마도 모하비 호수의 형성에 기여했을 것이다.[15]
모하비 강은 약 2-150만 년 전 모하비 사막으로 흘러들어간다. 모하비 강은 이전의 남하 코스가 횡단 산맥의 상승에 의해 막혔을 때였다.[16] 모하비 강은 항상 모하비 호수에서 끝나지 않았다; 그 역사의 다른 지점들에서는 하퍼 호수, 마닉스 호수, 크로네즈 호수, 맨리 호수에 도달했다.[14] 모하비 호수는 마닉스 호수에서 넘쳐나는 물에 의해 현재 약 2만년 전에 도달했다.[17] 모하비 호수가 형성될 수 있으려면 오늘에 비해 물의 흐름은 최소한 10배 이상 높아야 할 것이다.[18]
유출
암반으로 둘러싸인 수로는 실버 호수 북쪽의 만에서 뻗어 모하비 호수의 출구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폭이 3.0미터(10피트) 미만일 때도 있다. 이 채널은 4.8km(3mi) 떨어진 드라이 레이크 플레이아로 종착한다.[9] 이 유출로 인해 플레이스토세 후기 모하비 호수의 수위가 안정되었다.[19]
한때는 모하비 호수에서 넘쳐나는 물이 담수 두몬트 호수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이후 배척 연구 결과 그 지역이 지하수 지원 습지임이 밝혀졌다.[17] 모하비 호수의 물은 결국 아마르고사 강과 죽음의 계곡에 닿았다.[20]
1916-1917년에는 수위를 낮추기 위해 출구 채널이 더 깊어졌다. 그 이전에, 그 해협 바닥의 높이는 2,867 미터(9,407 피트)이었다.[21]
기후
그 지역의 현재 기후는 덥고 건조하다.[22]
평균적으로 여름 온도는 30 °C(86 °F)를 넘는다.[22]
연평균 강수량은 약 78밀리미터(연간 3.1밀리미터)이다. 대부분 겨울과 초봄에 떨어지며, 여름 동안 캘리포니아만과 멕시코만에서 약 1/4이 온다. 이 낮은 강수량은 연간 2,000–2,500 밀리미터의 높은 증발율과 대비된다(연간 79–98).[22]
생물학
모하비 호수에서 많은 아노돈타 캘리포니엔시스 포탄이 발견되었다.[23] 파코투스 민물 조류는 초기 홀로세 호수 단계에서 발달했다.[24] 모하비 호수의 배척지로는 림노시브레드베리(Limnoccythere bradburyi)[25]와 림노시브 세리오투베로사(Limnoc시브레)가 있다.
모하비 호수는 피니언 주니퍼와 조슈아 나무 삼림지대가 330미터(1,080피트)의 고도와 사막 식물의 혼합으로 둘러싸여 있었다.[11]
오늘날 이 지역의 식물은 크레오소테 덤불, 소금부시, 오푼티아 등을 포함한다. 씻은 곳과 강 테라스에는 더 많은 초목이 있다.[22]
연대기
모하비 호수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22,000년에서 9,000년 사이에 존재했다.[26]
웰스 연대기에 근거해 보면, 현재와 그 이후로는 2만 7천년 전에 가득 찬 호수가 A해안선 아래로 요동쳤다. 그 호수는 현재에 이르기 전까지 21,900 - 19,750년 그리고 16,850 - 13,850년 전에 안정적이었다. 초기 단계는 모하비 1호라고도 알려져 있고, 이후 단계는 모하비 2호라고도 알려져 있다.[4] 대체 연령대는 모하비 1호의 경우 20,900 - 19,600년, 모하비 2호의 경우 16,500 - 13,400년이다.[27] 비록 많은 물이 모하비 호수 분지의 부피 부족으로 데스 밸리까지 계속되었을 것이지만, 아프톤 캐년의 형성 이후 마닉스 호수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은 모하비 호수의 발전에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28][29]
현재 13,600년에서 11,500년 전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면서 모하비 호수는 A-해안을 버리고 B-해안선까지 떨어졌다.[11] 모하비 호수는 현재 8700년 전까지만 해도 B해안에 안정되어 있었다.[30] 다른 추정치는 현재보다 약 9,700년 전에 건조되었다고 가정한다.[27]
모하비 호수가 사라진 것은 홀로세 초기의 기후 변화 때문이다.[26] 바람의 침식은 모하비 호수가 남긴 해변과 델타 퇴적물에 영향을 미쳐 애올리언 퇴적물을 형성했다.[31]
현재 모하비 호수의 분지에는 호수가 형성되는 경우가 드물다. 1916-1917, 1938-1939, 그리고 1969년에 개별적인 사건이 발생했다.[3] 이 후자의 호수 단계는 사진으로 찍혔고 그것은 토노파와 조수철도를 잠궜다.[32] 다른 주입은 3,910 ± 152년과 470 ± 160년 전에 발생했다.[12] 이 호수의 부활은 샌 버나디노 산맥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강수량에 달려 있으며,[33] 기후적으로 리틀 빙하시대와 다른 빙하 팽창 에피소드와 관련이 있다.[34] 그러한 호수의 존재는 기후적 요인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얕은 호수 분지에 의해서도 제한되었고, 수위는 약간만 증가했을 뿐 증발에 강한 증가를 초래했다.[35]
고고학
꾸준한 식량과 담수 공급은 물론 도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암석의 존재도 초기 인간들을 모하비 호수로 끌어들였다.[36] 호수의 수위가 낮아지자, 사람들은 호수에 도달하기 위해 점점 더 아래로 이동했다.[37]
현무암 바위의 정렬을 포함하여 모하비 호수에서 고고학적으로 추정되는 유적들이 발견되었다.[38] 해안에서 분기와 발사체가 발견되었고, 후자는 현재 약 1만~8,000년 전으로,[7] 고고학적 발견은 "레이크 모하비" 단지로 알려져 있다.[15]
이른바 '레이크 모하비 콤플렉스'는 기원전 9,000년에서 6,000년 사이에 활동했던 문화 시스템이다. 아마도, 그러한 문화는 클로비스[39] 문화에서 유래되었고 큰 포유류가 사라지고 초기 인류는 다른 음식의 원천을 찾아야 했을 때 형성되었을 것이다.[40]
참고 항목
참조
- ^ "Silver Lake".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 "Soda Lake".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 Jump up to: a b c d e f 오레 & 워렌 1971 페이지 2553.
- ^ Jump up to: a b 크넬, 월든-허트겐 & 커비 2014, 페이지 45.
- ^ 맥패든 외 1992, 페이지 79.
- ^ 웰스, 맥패든 & 도렌웬드 1987, 페이지 131.
- ^ Jump up to: a b 크넬, 월든-허트겐 & 커비 2014, 페이지 46.
- ^ 오레 & 워렌 1971 페이지 2558.
- ^ Jump up to: a b 오레 & 워렌 1971 페이지 2555.
- ^ 맥패든 외 1992년, 페이지 77.
- ^ Jump up to: a b c 맥패든 외 1992년, 페이지 81.
- ^ Jump up to: a b 클라크 1994 페이지 534.
- ^ 클라크 1994 페이지 537.
- ^ Jump up to: a b 가르시아 외 2014년 305페이지
- ^ Jump up to: a b 오웬 외 2007년, 페이지 89.
- ^ 가르시아 외 2014년 307페이지
- ^ Jump up to: a b 가르시아 외 2014년 308페이지
- ^ 오웬 외 2007, 페이지 90.
- ^ 웰스, 맥패든 & 도렌웬드 1987, 페이지 137.
- ^ Sharp, Robert Phillip; Glazner, Allen F. (1997-01-01). Geology Underfoot in Death Valley and Owens Valley. Mountain Press Publishing. p. 16. ISBN 9780878423620.
- ^ 오레 & 워렌 1971 페이지 2556.
- ^ Jump up to: a b c d 맥패든 외 1992, 페이지 80.
- ^ 오레 & 워렌 1971 페이지 2557.
- ^ Enzel 외 1992, 페이지 67.
- ^ 오웬 외 2007, 페이지 91.
- ^ Jump up to: a b 맥패든 외 1992, 페이지 78.
- ^ Jump up to: a b 클라크 1994 페이지 533.
- ^ 미크 1989, 페이지 9.
- ^ Meek 1989, 페이지 10.
- ^ 1992년 맥패든 외, 페이지 82.
- ^ 맥패든 외 1992, 페이지 87.
- ^ Enzel 외 1992, 페이지 65.
- ^ 클라크 1994 페이지 533,534.
- ^ Enzel 외 1992, 페이지 69.
- ^ Enzel 외 1992, 페이지 68.
- ^ 크넬, 월든-허튼 & 커비 2014, 페이지 43.
- ^ 크넬, 월든-후르트겐 & 커비 2014 페이지 49.
- ^ 오레 & 워렌 1971 페이지 2559.
- ^ 피츠제럴드 & 존스 2003 페이지 397.
- ^ 피츠제럴드 & 존스 2003 페이지 398.
원천
- Clarke, M.L. (1994). "Infra-red stimulated luminescence ages from aeolian sand and alluvial fan deposits from the eastern Mojave Desert, California". Quaternary Science Reviews. 13 (5–7): 533–538. doi:10.1016/0277-3791(94)90073-6.
- Enzel, Yehouda; Brown, William J.; Anderson, Roger Y.; McFadden, Leslie D.; Wells, Stephen G. (1992-07-01). "Short-Duration Holocene Lakes in the Mojave River Drainage Basin, Southern California". Quaternary Research. 38 (1): 60–73. doi:10.1016/0033-5894(92)90030-M. ISSN 0033-5894.
- Fitzgerald, Richard T.; Jones, Terry L. (2003-01-01). "On the Weight of the Evidence from Cross Creek: A Reply to Turner". American Antiquity. 68 (2): 396–399. doi:10.2307/3557087. JSTOR 3557087.
- Garcia, Anna L.; Knott, Jeffrey R.; Mahan, Shannon A.; Bright, Jordon (2014-03-01). "Geochronology and paleoenvironment of pluvial Harper Lake, Mojave Desert, California, USA". Quaternary Research. 81 (2): 305–317. doi:10.1016/j.yqres.2013.10.008.
- Knell, Edward J; Walden-Hurtgen, Leah C; Kirby, Matthew E (January 2014). "Terminal Pleistocene-Early Holocene Spatio-Temporal and Settlement Patterns around Pluvial Lake Mojave, California". ResearchGate: Journal of California and Great Basin anthropology (34): 43–60. Retrieved 2017-03-18.
- McFadden, L.D.; Wells, S.G.; Brown, W.J.; Enzel, Y. (1992). "Soil genesis on beach ridges of pluvial Lake Mojave: Implications for Holocene lacustrine and eolian events in the Mojave Desert, Southern California". CATENA. 19 (1): 77–97. CiteSeerX 10.1.1.617.4675. doi:10.1016/0341-8162(92)90018-7.
- Meek, Norman (1989-01-01). "Geomorphic and hydrologic implications of the rapid incision of Afton Canyon, Mojave Desert, California". Geology. 17 (1): 7–10. doi:10.1130/0091-7613(1989)017<0007:gahiot>2.3.co;2. ISSN 0091-7613.
- Owen, Lewis A.; Bright, Jordon; Finkel, Robert C.; Jaiswal, Manoj K.; Kaufman, Darrell S.; Mahan, Shannon; Radtke, Ulrich; Schneider, Joan S.; Sharp, Warren (2007-05-01). "Numerical dating of a Late Quaternary spit-shoreline complex at the northern end of Silver Lake playa, Mojave Desert, California: A comparison of the applicability of radiocarbon, luminescence, terrestrial cosmogenic nuclide, electron spin resonance, U-series and amino acid racemization methods". Quaternary International. Dating Quaternary sediments and landforms in Drylands. 166 (1): 87–110. doi:10.1016/j.quaint.2007.01.001.
- Ore, H. Thomas; Warren, Claude N. (1971-09-01). "Late Pleistocene-Early Holocene Geomorphic History of Lake Mojave, Californi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2 (9): 2553–2562. doi:10.1130/0016-7606(1971)82[2553:LPHGHO]2.0.CO;2. ISSN 0016-7606.
- Wells, Stephen G.; McFadden, Leslie D.; Dohrenwend, John C. (1987-03-01). "Influence of Late Quaternary Climatic Changes on Geomorphic and Pedogenic Processes on a Desert Piedmont, Eastern Mojave Desert, California". Quaternary Research. 27 (2): 130–146. doi:10.1016/0033-5894(87)90072-X. ISSN 0033-5894.
추가 읽기
- USGS (13 January 2004). "Mojave National Preserve: Soda Lake". Geology in the National Park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3-11. Retrieved 2009-09-12.
- Philip Stoffer (14 January 2004). "Changing Climates and Ancient Lakes" (.html). Desert Landforms and Surface Processes in the Mojave National Preserve and Vicinity. Open-File Report 2004-1007. USG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trieved 2009-09-12.
- Philip Stoffer (14 January 2004). "The Mojave River and Associated Lakes" (.html). Desert Landforms and Surface Processes in the Mojave National Preserve and Vicinity. Open-File Report 2004-1007. USG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trieved 2009-09-12.